[목차] == [[뜨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뜨임)] Tempering [[금속]] 또는 [[유리]]의 열처리 과정 중 하나를 뜻한다. 퀜칭 처리 한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경하고 취약한 성질을 개선시키기 위해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A1변태온도 이하의 적당한 온도로 가열한 후 냉각(공랭)하는 방법이다. 의미가 확장되어서 제과 기술에서 [[초콜릿]]의 제조 과정 중 하나를 의미하기도 하는데 기본 원리는 같다. == 초콜릿 가공 기술 == 초콜릿 자체를 만들거나, 초콜릿을 응용해 간식류를 만들 때 초콜릿에 맛과 광택을 부가해주는 작업. 중탕해서 녹인 초콜릿을 거품기 등으로 저어 공기를 빼주고 데우는 과정이다. 보통 가정에서 할 때는 그냥 녹인 초콜릿을 데워 거품기 등으로 오랫동안 젓는 것으로 간단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 식물성유지[* [[카카오버터]]가 아닌 다른 식물로 만든 [[식용유]]]가 들어간 초콜릿의 경우 템퍼링이 굳이 필요하지는 않다. 명장 [[김영모]]가 낸 책에서 소개한 방법은 대략 다음과 같다. * 다진 다크초콜릿을 준비한 양의 1/2만 중탕하여 녹인다.[* 물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 초콜릿이 녹으면 덩어리를 제거하고 열을 고루 퍼뜨리기 위해 중탕을 45℃가 될 때까지 계속하며 젓는다.[* 50℃ 이상이 되면 눋거나 탄다.] * 45℃가 되면 불에서 내리고, 남은 초콜릿 1/2을 마저 넣고 28~29℃가 될 때까지 저으며 녹인 뒤, 다시 30~31℃로 온도를 높인다. * 초콜릿이 모두 덩어리 없이 녹으면 거품기[* 혹은 도깨비방망이를 사용한다.]로 저어 기포를 뺀다. * 다시 초콜릿을 중탕해서 온도를 45℃로 올렸다가 28~29℃로 낮추고 다시 30~31℃로 올리고 나면 '''템퍼링 완료.''' * 기름종이에 초콜릿을 묻혀 굳은 초콜릿이 깔끔하게 떨어지면 템퍼링 성공. 적당한 시간이 지나도 굳지 않으면 실패. == [[탬퍼링]]의 잘못된 표기 == [[탬퍼링]]의 철자는 tampering으로 "tamper + ing" 이며 tamper 는 외국어 표기법에 따라 한글 "탬퍼" 로 표기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탬퍼링)] [[분류:영어 단어]][[분류:기술]][[분류:초콜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