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도네시아의 이동통신사)] ||<-2><#ffffff><:>텔콤셀[br]Telkomsel || ||<-2><#ffffff><:>[[파일:external/tantoguaul.files.wordpress.com/telkomsel.jpg|width=120]] || ||형태 ||주식회사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네시아)] || ||본사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사업 지역 ||[[인도네시아]], [[중앙아프리카]] 전역|| ||제품 ||3G WCDMA/2G GSM/[[LTE]] || ||홈페이지 ||[[http://www.telkomsel.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도네시아의 통신사. 회사 본명은 Telekomunikasi Selular. 줄여서 Telkomsel이라고 한다. 모기업이 인도네시아 최대 국영 통신사인 TELKOM의 버프를 받아서 통신 커버리지도 1위, 가입자도 1위. 이 통신사는 장점과 단점이 묘하게 공존한다. 장점이라면 엑셀이나 인도삿에 비해 인터넷이 잘 터진다는것. 인도네시아는 인터넷 환경이 열악해, 데이터를 사용해도 수시로 신호가 안잡히기 마련인데 텔콤셀은 비교적 안정적이라는 평이 있었으나 2022년 6월 기준 인도삿보다 안 터진다고. 단점이라면 시도때도없이 스팸 문자가 마구 날아온다는것. 텔콤셀 이용자라면 가입직후부터 CFC나 스타벅스, 심지어는 성인메시지까지 온갖 스팸에 시달릴 준비를 해야한다. 밈이 된 광고 [[인디홈]]을 만들기도 하였다. == 주파수 == 사용하는 주파수 권역은 GSM 900/DCS 1800/HSPA 2100. ~~[[LTE]]는 아직 시험 운용 중이라고 한다.~~ 2016년 8월 현재 [[LTE]]가 수도 [[자카르타]]를 비롯한 대부분의 대도시에서'만' 서비스 되고 있다. 다만 속도는 한국의 3g 정도이거나 그 이하이며, 서비스 자체는 그리 안정적이지 못하다. 후불제는 KartuHALO, 선불제는 simPATI와 KartuAs가 있는데, 보통 관광객의 경우에는 simPATI [[SIM]] 카드를 구매하고 개인 정보를 등록해서[* 법으로 이용자의 인적 정보를 통신사에 문자로 등록해야 SIM이 활성화되도록 해 놨다.] 사용하면 된다. 통신사에서 프로모션을 상당히 많이 진행하니까 프로모션 등록을 해서 사용하면 데이터 요금이나 국제 전화 요금을 아낄 수 있다. ~~프로모션을 알면 뭐해 한국 핸드폰으로는 USSD 코드를 입력해도 들어 먹지를 않는데...~~ == 요금 == 후불제 KartuHALO 같은 경우에는 신용카드 소지자나 유선 전화 명의자 등 거주자를 중심으로 사용하는데, 선불 요금제하고는 달리 패키지 서비스를 등록해서 쓰는 게 저렴하다. == 로밍 == 한국에서 [[SK텔레콤]] 이용자가 인도네시아에 가서 로밍을 할 경우 자동으로 선택되는 사업자인데, 이는 SK텔레콤이나 텔콤셀이나 Bridge Alliance 소속이라 그렇다고... [* 반대로 KT 사용자는 자동으로 [[인도삿|Indosat]] 로밍을 이용하게 된다.] == 국제 전화 == 국제 전화의 경우에는 다들 한국에서처럼 생각 없이 001로 입력하는데 001은 [[인도삿]] 국제 전화 식별 번호라서 텔콤셀 가입자가 사용하면 요금 폭탄 맞는다. 텔콤셀 사용자는 그냥 01017 눌러서 사용하면 분당 Rp.660이라는 저렴한 가격으로 국제 전화를 할 수 있다. ~~국제 전화가 1분당 75원~~ [[분류:인도네시아의 통신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