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양음악사)] ||<-2> '''{{{+1 테클라 봉다제프스카바라노프스카}}}[br]Tekla Bądarzewska-Baranowska''' || ||<-2>[[파일:1679748254814.jpg|width=330]] [* 봉다제프스카의 [[캐리커쳐]] ] || ||<|2> '''출생''' ||[[1823년]] [[9월 17일]] || ||[[폴란드 입헌왕국]] 므와바|| ||<|2> '''사망''' ||[[1861년]] [[9월 29일]] (향년 38세)|| ||[[폴란드 입헌왕국]] [[바르샤바]]|| || '''직업''' ||작곡가, 음악가|| || '''배우자''' ||얀 바라노프스키 ^^([[1852년]] 결혼)^^|| || '''자녀''' ||5명|| [목차] [clearfix] == 개요 == [[폴란드]] 출신의 작곡가이자 음악가. 세간에는 '바다르체프스카'라는 이름으로 잘못 알려져있는데 [[폴란드어]] 원문 Bądarzewska에서 ą는 '옹'으로 읽고 rz가 하나의 음가 /ʐ/[* 중국어의 권설음 zh와 비슷한 발음으로 혀를 뒤로 말아서 z 소리를 내면 된다. 언뜻 /ʃ/의 유성음인 /ʒ/와 비슷하게 들린다.]를 갖기 때문에 [[외래어 표기법/폴란드어|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봉다제프스카'이다.[* 엄밀하게 따지면 폴란드어의 비음은 일본어의 [[ん]]과 비슷하게 후행하는 자음에 따라 [[변이음]]인 [m\], [n\] 등으로도 실현되기 때문에 '봉다제프스카'보다는 '본다제프스카'가 더 일반적이다. [[https://forvo.com/word/b%C4%85darzewska/|들어보기]]] 참고로 뒤에 붙는 '바라노프스카'는 남편 얀 바라노프스키의 성을 붙인 것이다. == 생애 == 봉다제프스카는 [[바르샤바]]에서 북북서로 100km 떨어진 도시 므와바(Mława)에서 풀투스크 시장인 안제이 바다제프스키의 딸로 태어났으며,(바르샤바 출생이라는 말도 있다.) 출생 연도는 1829년과 1834년 두가지로 논쟁되었지만 당시 성당 세례명세서를 확인한바에 따르면 1823년 9월 17일로 확인되었다. 본격적인 음악 교육은 받지 않았지만, 살롱에서 피아노 연주가로서 활약하고 스스로 작곡도 하고 있었다. 1852년, 공무원 얀 바라노프스키(Jan Baranowski)[* 봉다제프스카가 죽고 얼마 지나지 않은 1863년, 현재 [[우즈베키스탄]]의 [[타슈켄트]]로 전근갔다고 한다. 봉다제프스카가 잊혀지게 된 것은 이것도 한몫했다.]와 결혼했다. 당시 기준으로 늦은 나이에 결혼했지만, 5명의 아이를 낳았으며, 1856년에 작곡한 [[소녀의 기도]]가 파리 음악 뉴스 잡지에 게재되고, 성 스타니슬라프 3급 훈장을 받을 정도로 인지도를 높였으며 소녀의 기도를 포함하여 35곡 정도를 작곡했지만, [[1861년]] 9월 29일에 [[바르샤바]]에서 요절했다. 이미 살아 생전에 훈장을 받을정도로 이름을 어느정도 알렸던 인물이었지만 일찍 세상을 떠난데다가, 기록이나 작품, 자료는 [[제 2차 세계대전]] 등으로 대부분이 소실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소녀의 기도 이외에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고, 특히 모국 [[폴란드]]에서는 인지도가 낮았다. 그나마 2000년대 이후 들어서 폴란드에서도 동아시아권에서 인기가 있는 작곡가라는 식으로 조명되기 시작하면서 [[금성]]의 분화구나 광장의 명칭에 이름이 붙어지는 등 조금씩 알려지고는 있지만 여전히 인지도는 낮은 편. 이것은 "기도"라는 말이 공산권의 영향하에 있던 폴란드에 부적절하다고 간주되었기 때문이라는 견해와, 음악에 높은 예술성을 추구한 시대에 음악 교육을 받지 못한 이 '소녀'에 대해 "천박한 아마추어 느낌을 벗어나지 못했다"고 19세기의 음악 사전이 혹평했다는 기록을 근거로, 당시의 '편견'을 이유로 하는 견해가 공존한다. 물론 이건 억측이 섞인것이 좀 있으며 기록이 구체적으로 남아있었다면 폴란드의 자랑스러운 작곡가로 추앙받았을것이다. 그나마 기록이 남아있었을지도 모를 폴란드 2공화국 시절에 조명이 제대로 되지않은게 안타까울 따름. == 사망 원인 == 어떤 사인으로 죽었는지 등에 대해 아무런 기록이 남아있지않고, 출신지도 [[바르샤바]]인지 바르샤바 근교에 위치한 음와바라는 곳인지 이견이 갈리고 있으며 심지어 자녀도 3명인지 5명인지, 사망 당시의 나이까지도 23세, 24세, 26세, 27세, 32세 등등 기록이 모두 제각각이다.[* 봉다제프스카의 무덤은 지금도 바르샤바에 남아있지만, 언제 태어났는지는 적혀있지 않고 [[https://bi.im-g.pl/im/32/58/18/z25529394V,Nie-zachowal-sie-wizerunek-Tekli-Badarzewskiej-Bar.jpg|1861년 9월 29일에 사망했다고만 적혀있다.]] 두루마리 부분에 적힌 글자는 La prière d'une vierge로 봉다제프스카의 대표곡인 소녀의 기도의 프랑스어 제목이다.] 그러다가 2022년 말에 언제 출생했는지 자료를 찾게되면서 38세에 사망한것으로 확정되었다. == 초상화 == [[파일:Tekla Bądarzewska-Baranowska.jpg]] 넷상에서 봉다제프스카의 초상화라고 알려진 사진이나, 사실 이 초상화는 같은 폴란드의 여성 작곡가인 [[https://en.wikipedia.org/wiki/Maria_Szymanowska|마리아 쉬마노프스카]]의 초상화이다. 봉다제프스카는 현재 공식적으로 남아있는 초상화나 사진은 없으며, 인터넷에서 봉다제프스카의 사진이나 초상화라고 돌아다니는 것들은 모두 다른 사람의 사진이나 초상화이다. 다만 봉가제프스키의 모습을 묘사한 당대 잡지 캐리커쳐는 남아있어서 이걸로 생김새를 추측하는 것은 가능하다. 참고로 이 사진은 음악사에 대한 고증을 잘 하기로 유명한 [[클래시컬로이드]]에서도 봉다제프스카를 소개할 때 나온 자료이다. 방영 당시에는 이 사진이 테클라 봉다제프스카에 사진으로 많이 떠돌아다녔기 때문. == 작곡한 곡들 == * [[소녀의 기도]] 나머지 곡들은 2차 세계 대전을 비롯한 전쟁들 때문에 소실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폴란드 내외에서의 노력으로 일부를 찾아내는데 성공했고, 2007년 일본에서, 2012년에는 폴란드에서 앨범이 발매되었다. 현재 유튜브에서 그녀가 작곡한 곡으로 추정되는 곡들은 Douce rêverie, L'écho des bois, L'espérance, In the Woods, [[https://youtu.be/RZRr15TnBUQ|Mazurka brillante]], Op.4, Prière exaucée, Le rêve d'un ange, La seconde prière d'une vierge, Souvenir à ma chaumière, Sympathie, Vision 등이 검색된다. 화려한 마주르카(Mazurka brillante)의 경우에는 소녀의 기도와 멜로디도 비슷하다. [[IMSLP]]에서 정리한 작품 목록도 함께 참고. [[http://imslp.org/wiki/Category:B%C4%85darzewska-Baranowska%2C_Tekla|#]] [[분류:폴란드의 작곡가]][[분류:1823년 출생]][[분류:의문사한 인물]][[분류:1861년 사망]][[분류:마워폴스키에 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