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항공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L8085.jpg|width=100%]]}}} || || 테일넘버 도색의 예시. HL8081이 사진 속 기체의 테일넘버다.[* 기종은 [[대한항공]]의 [[보잉 787 드림라이너|보잉 787-9]]이다.] || [목차] == 개요 == 정식으로 등록되어 운항하는 민항기의 수직미익, 기체의 끄트머리, 또는 날개에 도색하는 식별번호로, 한마디로 항공기의 [[차량 번호판]] 같은 존재다. 보통 항공기 하나당 한 개의 테일넘버를 배정받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차량 번호판도 교체가 가능하듯 비행기도 테일넘버가 바뀔 수 있다. == 표기 방식 == 등록된 국가마다 표기방식이 제각각인데, 일반적으로 A-BCDE 또는 AA1234의 표기 방식을 따른다. 앞에 알파벳 1-2글자[* 알파벳 1글자는 대개 선진국 내지는 강대국들이 선점한 경우가 많고, 대부분 알파벳 2글자 또는 알파벳 1글자 + 숫자 1자리 조합으로 국가를 표기한다. 소련의 경우 4글자인 CCCP를 사용했다.]는 국가 코드로 항공기가 등록된 국가를 표시하며, 숫자 또는 알파벳 4자리는 등록번호로 기체마다 제각각 다른 번호나 알파벳 조힙이 부여되게 된다. 숫자는 4자리를 사용하거나 숫자 3자리 뒤에 알파벳 1-2글자를 넣어 항공기가 소속된 항공사를 표기하는 게 대부분이다. == 국가별 표기 방식 == 아래 표는 주요 국가별 현재 사용하고 있는 테일넘버 형식들이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민국]]''' || HLXXXX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NXXXAB[* AB 자리에는 항공기가 소속된 항공사 코드가 들어간다.]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캐나다]]''' || C-ABCD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G-ABCD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F-ABCD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 D-ABCD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I-ABCD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JAXXXA[* 마지막 자리는 항공사 코드로, A는 [[전일본공수]], J는 [[일본항공]] 소속을 뜻한다.] 또는 JAXXXX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 || RA-XXXXX ||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width=25]] '''[[중화권]]''' || B-XXXX[* [[홍콩]], [[마카오]], [[대만]], [[중국|중국 본토]] 모두 B로 시작하는 테일넘버를 사용한다. 단, 자릿수에 차이를 두는 등 지역마다 차별화가 되어 있다.] || ||[[파일:북한 국기.svg|width=25]] '''[[북한]]''' || P-5XX[* 북한의 국가 코드는 P5를 배정받았으나, ~~한자리 국가 코드를 선점한 강대국 내지는 선진국마냥~~ P-5XX 포맷으로 적는다.] ||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5]] '''[[베트남]]''' || VN-AXXX[* 소형항공사는 VN-BXXX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