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프랑크인의 왕)] [include(틀:역대 메로베우스 왕조 국왕)] ||<-3><#483d8b> '''{{{#FFF 프랑크인의 왕}}}''' [br] {{{+2 {{{#FFF '''Theuderic IV | 테우데리크 4세'''}}}}}} || ||<|2><#483d8b> '''{{{#FFF 제호}}}''' ||<#483d8b> '''[[한국어|{{{#FFF 한국어}}}]]''' ||테우데리크 4세 || ||<#483d8b> '''[[프랑스어|{{{#FFF 프랑스어}}}]]''' ||Theuderic IV || ||<-2><#483d8b> '''{{{#FFF 생몰 년도}}}''' ||712년 ~ 737년 || ||<|2><-2><#483d8b> '''{{{#FFF 재위 기간}}}''' ||프랑크인의 왕 || ||<#fff>721년 ~ 737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메로베우스 왕조]] [[프랑크 왕국]]의 왕. == 행적 == 712년 [[다고베르 3세]]의 아들로 출생했다. 715년 아버지가 사망한 후 네우스트리아 귀족들이 [[킬페리크 2세]]를 왕으로 옹립했을 때 수도원으로 들어갔다. 721년 킬페리크 2세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자, 프랑크 왕국의 궁재 [[카롤루스 마르텔]]은 그를 수도원에서 꺼낸 뒤 왕위에 앉혔다. 그 후 카롤루스 마르텔은 내치를 안정적으로 이끌었고 732년 [[투르-푸아티에 전투]]에서 [[우마이야 왕조]]군을 격파해 [[기독교]]의 수호자로서 만인의 칭송을 받았다. 그동안 그는 궁정 구석에 박힌 채 조용히 살아갔다. 737년 테우데리크 4세가 사망했다. 카롤루스 마르텔은 왕을 세우기를 거부하고 왕좌를 비어뒀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는 기록이 미비해 분명하지 않으나, 왕으로 오르기 위해 사전 작업을 하려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 후 마르텔은 741년 사망할 때까지 왕이 없는 왕국의 궁재로서 전권을 행사했고, 뒤를 이어 궁재를 세습한 두 아들 카를로만과 [[피핀 3세]]는 743년 테우데리크 4세의 아들 [[킬데리크 3세]]를 왕으로 옹립했다. [[분류:프랑크인의 왕]][[분류:메로베우스 가문]][[분류:712년 출생]][[분류:737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