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로마 황제)] || '''{{{#FCE774 테오필락토스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9세기)]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CE774,#FCE774 로마 제국 제84대 황제}}}[br]{{{#FCE774,#FCE774 {{{+1 테오필락토스}}}[br]Θεοφύλακτος}}}'''}}}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ophylact_(811-813).png |width=100%]]}}} || || {{{#FCE774,#FCE774 '''이름'''}}} ||테오필락토스[br]Θεοφύλακτος[* [[그리스어]]]|| ||<|2> {{{#FCE774,#FCE774 '''출생'''}}} ||793년 || ||[[동로마 제국]] || ||<|2> {{{#FCE774,#FCE774 '''사망'''}}} ||849년 1월 15일 || ||[[동로마 제국]] || ||<|2> {{{#FCE774,#FCE774 '''재위 기간'''}}} ||{{{#000 로마 황제}}} || ||[[811년]] [[12월 25일]] ~ [[813년]] [[7월 11일]] '''(2년)''' || || {{{#FCE774,#FCE774 '''전임자'''}}} ||[[미하일 1세 랑가베스]] || || {{{#FCE774,#FCE774 '''후임자'''}}} ||[[레온 5세]] || || {{{#FCE774,#FCE774 '''부모'''}}} ||[[아버지]] : [[미하일 1세 랑가베스]][br][[어머니]] : [[프로코피아]] || || {{{#FCE774,#FCE774 '''종교'''}}} ||[[기독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동로마 제국]]의 황제. 811년 아버지 [[미하일 1세 랑가베스]]에 의해 공동 황제로 즉위했지만 813년 7월 11일 아버지와 함께 퇴위한 뒤 [[수도자]]로서 여생을 보냈다. == 생애 == 793년경 [[미하일 1세 랑가베스]]와 [[프로코피아]]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남자형제로 [[스타브라키오스(미하일 1세 랑가베스의 아들)|스타브라키오스]], [[이그나티오스|니키타스]], 누이로 고르고, 테오파노가 있었다. 811년 10월 2일에 마하일 1세 랑가베스가 황위에 오른 뒤 811년 12월 25일 스타브라키오스와 함께 공동 황제에 선임되었다. 그러나 813년 6월 22일 아버지가 베르시니키아 전투에서 [[크룸]]이 이끄는 불가르군에게 참패한 뒤 민심을 잃었다. 이에 미하일 1세는 아내 등 주변인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퇴위했다. 이때 그 역시 퇴위한 뒤 새로 즉위한 [[레온 5세]]에 의해 형제 니키타스와 함께[* 스타브라키오스는 그 전에 사망했다.] 거세된 후 수도원으로 보내졌다. 참회자 테오파네스에 따르면, 테오필락토스는 [[수도자]]로서 조용히 지내다가 아버지가 사망한 지 5년 후인 849년 1월 15일에 사망했고, 아버지가 묻힌 플라테 섬의 교회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고 한다. 또한 테오파네스는 그의 유해가 나중에 형제이자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가 된 이그나티오스에 의해 "투 사티루(tou Satyrou)"로 알려진 수도원으로 옮겨졌다고 기술했다. [[분류:동로마 황제]][[분류:9세기 집정관]][[분류:동로마 집정관]][[분류:퇴위한 군주]][[분류:793년 출생]][[분류:849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