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테스코 가비 관련 틀}}}'''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include(틀:JRA상 최우수 3세 암말)] [include(틀:드림 호스 2000)]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sco_Gabby.jpg|width=100%]]}}} || ||<-2> 이름 || テスコガビー[br]Tesco Gabby || ||<-2> 출생 || [[1972년]] [[4월 14일]] || ||<-2> 죽음 || [[1977년]] [[1월 19일]] (5세)[* 당시 기준으로 6세.] || ||<-2> 성별 || 암컷 || ||<-2> 털색 || 검은색 (青毛, 아오게) || ||<-2> 아비 || [[테스코 보이]] (Tesco Boy) || ||<-2> 어미 || 키타노 류 (キタノリュウ) || ||<-2> 외조부 || [[몽타발]] (Montaval) || ||<-2> 생산자 || 후쿠오카 이와오 || ||<-2> 마주 || 나가시마 타다오 || ||<-2> 조교사 || 나카스미 요시오 (도쿄) || ||<-2> 성적 || 10전 7승 [7-1-1-1] || ||<-2> 총상금 || 1억 3561만 6000엔 || ||<|2> 주요[br]우승 || 팔대[br]경주 || [[오카상]] (1975)[br][[우준 빈마|오크스]] (1975) || || 중상 || [[케이오배 2세 스테이크스|케이세이배 3세 스테이크스]] (1974)[br][[케이세이배]] (1975)[br][[필리즈 레뷔|한신 4세 암말 특별]] (1975) || ||<-2> 주요 수상 || 1975년 (구) [[JRA상|유슌상]] 최우수 4세 암말[* 현 JRA상 최우수 3세 암말.]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000a010225/|[[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or.jp/horse/0000052450//|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경주마. 동기의 수말 [[카부라야 오]]와 함께 무모하다 싶을 만큼 빠른 페이스의 대도주가 특징으로 그것만으로 생애 통산 10전 7승을 거둔 2관마이다.[* 동기인 [[카부라야 오]]도 대도주만으로 2관을 달성했는데, 알다시피 사츠키상에서 초반 1000m를 '''58초 9'''라는 정신 나간 페이스로 질주하며 2착과 2마신 반 차로 우승했는데 당시 따라가던 말인 레이크 스프린터가 이 페이스를 따라가다가 오른쪽 뒷다리 골절 부상을 당하고 안락사되자 당시 레이크 스프린터의 기수였던 오시다 토시로(押田年郎)는 울면서 "저 말은 보통 말이 아니라 괴물이다"라고 인터뷰했고 사츠키상 이후 '광기의 도주마(狂気の逃げ馬)'라는 살벌한 별명으로 불렸다.] 1975년 오카상에서 2착을 '''대차로 뿌리치고''' 1착을 이룬 것이 너무나도 유명한 말.[* 현시점 G1급 경주 마지막 대차 우승마가 [[마루젠스키]]라면 테스코 가비는 마지막 팔대경주였던 G1급 경주 대차 우승마다. 다만 마루젠스키가 우승했던 경주가 팔대경주가 아니었던 아사히배라서 그런지 테스코 가비가 일본 최후의 G1급 경주 대차 우승마로 불리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참고로 [[우준 빈마|오크스]]에서도 8마신차로 승리하였다.] 당시 중계에서는 '''뒤에 누구도 오지 않는다!'''라는 멘트가 유명해서 대명사처럼 쓰이고 있다. 2013년 JRA의 오카상 CM에서도 해당 멘트를 인용하여, 다음과 같은 나레이션을 흘렸다. [youtube(hTFqSRcTesw)] >75년, 오카상. >「뒤에 누구도 오지 않는다」라고, 아나운서는 세 번 소리쳤다. >10마신조차 아닌, 역사적인 대차의 골. >테스코 가비. 스피드의 미학. >아름다움은, 언제나 다른 것을 두고 떠나간다. >벚꽃의 여왕으로… 오카상.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테스코 보이]][br]{{{-2 Tesco Boy}}}'''[br]{{{-2 1963}}}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2>프린슬리 기프트[br]{{{-2 Princely Gift[br]1951}}}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나스룰라[br]{{{-2 Nasrullah}}}'''|| ||블루 젬[br]{{{-2 Blue Gem}}}|| ||<|2>선코트[br]{{{-2 Suncourt[br]1952}}}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하이페리온(말)|하이페리온]][br]{{{-2 Hyperion}}}'''|| ||인퀴지션[br]{{{-2 Inquisition}}}|| ||<|4>키타노 류[br]{{{-2 キタノリュウ[br]1965}}}||<|2>[[몽타발]][br]{{{-2 Montaval[br]1958}}}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노스맨[br]{{{-2 Norseman}}}|| ||밸리내시[br]{{{-2 Ballynash}}}|| ||<|2>옥스퍼드[br]{{{-2 オツクスフオード}}}[br]{{{-2 1955}}}||'''라이징 플레임[br]{{{-2 Rising Flame}}}'''|| ||요시히로[br]{{{-2 ヨシヒロ}}}|| ||<-3>* 나스룰라 3×4 18.75%[br]* [[네아르코]] 4×5×5 12.5%[br]* 파로스, 페어웨이 5×5 6.25%[br]* 블랜드퍼드 5×5 6.25% || || 주요 반형제[* 중상마만 서술.] ||<-2> 토도로키 히류[* 오이 소속으로 1977년 쿠로시오배, 도쿄대상전 우승마, 1979년에는 중앙에 진출하기도 했다. 지방 23전 10승, 중앙 3전 0승.](父 크로켓)^^(1974)^^ || 모마 키타노 류는 현역 25전 1승의 평범한 성적이었고 모계 7대모는 [[코이와이 농장]]의 기초 수입 암말 킨드러(Keendragh,1898)다. == 생애 == 번식암말 10마리를 보유한 중소목장인 후쿠오카 목장에서 [[테스코 보이]]의 산구마가 이제 막 데뷔하는 해에 태어났다. 당시 암말로서 큰 몸집[* 현역 시절에는 480kg대의 마체중이었고 마지막 경주 때는 502kg을 찍었다.]에 발달된 근육, 검고 당당한 외모 덕분에 수말로 착각될 정도였다. 거기에 신체도 부드럽고 민첩해 목장을 방문한 조교사들은 모두 굉장하다고 입을 모았지만 암말인 것을 알게되면 놀라면서도 구매의사는 내지 않았다. 이 후 목장을 찾은 조교사 나카스미 요시오가 보고 웅장한 마체가 마음에 들어 구입을 결정하고 걸음걸이를 확인했을 때야 비로소 암말인 걸 확인했다고 한다. 아오모리현의 메이세이 목장에서 본격적인 조교가 이루어졌고 마주 나가시마 타다오의 이웃인 스위스 무역상의 13세 딸 가브리엘의 애칭 가비[* 이 후 가브리엘은 테스코 가비가 오크스에서 우승하고 난 후 기념 촬영에서 같이 사진을 찍었고 스위스로 돌아가기 전에 가비와 이별(ガビーとお別れ)이란 노래를 레코드판으로 내기도 했다. [[https://baka-records.hatenablog.com/entry/2020/03/21/193441|]]]에서 따온 테스코 가비란 이름이 붙여졌다. 1974년 9월, 동기 [[카부라야 오]]의 주전 기수이기도 한 스가와라 야스오가 기승해 데뷔, 이 후 전경기에 기승하게 된다. 데뷔전은 7마신차의 압승, 2주 후에 열린 경기에서는13/4 마신차로 역시 여유있게 승리했고 첫 중상 도전인 케이세이배 3세 스테이크스에선 레코드를 세우면서 6마신차로 승리하며 첫 해 3전 3승으로 최우수 3세 암말로 뽑혔다. 1975년의 첫 경기였던 케이세이배에선 14마리 중 유일한 암말로 출전, 아사히배 3세 스테이크스 2착마 이시노 마사루를 머리 차로 꺾고 연승을 이어갔다. 이어진 도쿄 4세 스테이크스에서도 7마리 중 유일한 암말로 출전했는데 여기에 [[카부라야 오]]도 나오게 된다. 두 말의 기수인 스가와라 야스오는 카부라야 오의 조교사 모기 타메지로의 소속이었기 때문에 이런 경우 보통 원 소속 말을 타게 되지만 "다른 마방의 말은 한번 내리면 다시 탈 수 있다는 보증이 없다" 고 생각한 모기 조교사의 배려로 스가와라는 테스코 가비를 선택한다. 두 도주마의 선두 싸움이 기대되었지만 테스코 가비는 선두 경쟁에 나서지 않고 2번째 위치[* [[카부라야 오]] 문서에도 나왔다시피, 사실은 카부라야 오의 약점을 감추기 위한 의도를 가지고 고의로 2번째 위치를 잡고 추월하려는 전략을 짰던 던 것이다.]에서 카부라야 오의 뒤를 쫓아가고 직선 주로에서 힘을 냈지만 코차 2착으로 첫 패배를 겪었다. 진영에서는 중마장과 위치의 불리에 의한 패배라며 아쉬워했지만 언론에서는 벌써부터 사상 최강의 암말이 나왔다는 평이 나올 정도였다. 3월의 한신 4세 암말 특별에서는 간사이 지역 첫 원정임에도 단승 지지율 87.2%라는 압도적인 1번 인기로 나와 레코드를 세우며 승리했다. || [youtube(FeHHERzCYDw)] || || 1975년 [[오카상]] 영상 || 이 후 클래식 초전인 [[오카상]]에서는 단승 배당 1.1배의 압도적 인기를 받았다. 패덕에서는 다소 초조한 모습을 보였지만 본 경기에서는 좋은 스타트를 끊고 일찌감치 선두로 나서며 직선 주로에서 다른 말들을 멀찍이 떨어뜨리고 2착마 조 켐프턴에 1.9초 차이의 1600m의 경주로서는 믿기 힘들 정도의 대차를 내며 충격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경기를 중계하던 [[스기모토 키요시]] 아나운서도 "뒤에서는 아무도 오지 않는다" 를 계속 연발할 뿐이었다. 스기모토 본인은 상상이상의 대차를 어떻게 표현해야 할 지 몰라 중계에 실패했다고 생각했었는데 팬들은 오히려 당시의 압승 구도를 잘 표현했다며 호평했다. || [youtube(Nwb245G0Xig)] || || 1975년 [[오크스]] 영상 || 진영은 [[우준 빈마]]에 직행하려 했지만 마주의 요청에 따라 오크스 트라이얼에 나갔는데 오카상까지의 조교가 무리였던지 이 경기에서는 3착을 기록했다. 이 패배와 거리연장, 컨디션 불량설 등으로 배당은 약간 떨어진 2.3배의 1번 인기를 받고 오크스에 출주, 경기에서는 무리없이 선두를 빼앗고 슬로우 페이스의 도주로 2착마 토쇼 펄에 8마신 차의 압승을 거두며 암말 2관을 달성했다. 기수 스가와라 야스오는 카부라야 오로 [[사츠키상]]과 [[도쿄 우준]]도 따내며 이 해 봄의 클래식 경주 완전제패를 이루어냈다. 오크스 4개월 후인 9월 17일, 게이트 연습 중 오른쪽 앞다리에 9바늘을 꼬매는 중상을 입었고 1970~75년 까지 암말 3관 경주의 하나였던 빅토리아컵을 준비하던 중 10월 29일에 오른쪽 뒷다리 염좌로 장기 휴양, 1976년 5월에 복귀전을 치르지만 11마리 중 6착을 기록한다. 또 18일 후에 오른쪽 토모(허벅지, 엉덩이 등 전체적인 부위) 통증으로 다시 장기 휴양하게 된다. 이 시점에서 진영에서는 충분한 업적을 쌓은 만큼 은퇴를 권유했지만 마주의 요구에 의해 현역 속행, 데뷔 전 조교를 받았던 메이세이 목장에서 복귀를 노렸다. 그러나 1977년 1월 19일 조교 중 갑자기 쓰러졌다. 앞다리가 다친 걸로 파악해 급히 수의사를 불렀지만 진단 결과 심장마비로 이미 죽었고 목장 내에 간소한 무덤이 마련되었다. 이 후 목장지가 변경되면서 2011년 부마 [[테스코 보이]]와 많은 명마들이 잠든 홋카이도 오마이 호스 파크로 이장되었다. == 기타 == * JRA의 [[오카상]] CM에 등장한 수록곡인 Buffalo Daughter의 [[https://www.youtube.com/watch?v=2kUXk4aaxCM|The Legend]]는 사실상 팬들로부터 테스코 가비의 테마곡 취급을 받게 되었다 * 기성은 매우 순종적이었고 일반적으로 예민한 암말임에도 아무데서나 쉽게 잠들 정도로 대담한 성격이었다고 한다. * 도주마로 유명하지만 기수 스가와라 야스오에 따르면 스피드의 차이로 자연스럽게 도망치는 모습이 된 것이라고 한다. 경마평론가 [[오오카와 케이지로]]는 도주마로서 스타트가 좋은 말은 아니지만 테스코 가비를 따라가면 이 쪽이 먼저 무너진다는 압박감이 있었기 때문에 도주의 형태가 된 것으로 평가했다. * 웅장하고 검은 마체 덕분에 글래머로 표현되기도 했다. 경마 아나운서 스기모토 키요시도 오카상 본마장 입장에서 테스코 가비를 초글래머로 소개했다. * 일찍 죽었기 때문에 번식 성적이 어땠을까 아쉬워하는 팬들이 많았다. 경마 혈통연구가 시라이 토오루(白井透)는 경주와 번식에서 모두 뛰어났던 [[쿠리후지]]를 예로 들며 "테스코 가비도 같은 길을 걸어야 했다, 서러브레드 안에 그 피 한방울이라도 남겨두고 싶었다" 고 말했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배당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1974년 {{{-1 (3세, 현 2세)}}} || || 9.15 || [[도쿄 경마장|도쿄]] || 3세 신마 || || 잔디 1200m || 2.9 || 1 || '''{{{#red 1착}}}''' ||<|3> 스가와라 야스오 || (타이트 매치) || || 9.29 || 도쿄 || 3세 스테이크스 || OP || 잔디 1400m || 2.4 || 1 || '''{{{#red 1착}}}''' || (안셀모) || || 10.20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케이오배 2세 스테이크스|케이세이배 3세 스테이크스]] || 중상 || 잔디 1200m || 2.0 || 2 || '''{{{#red 1착}}}'''[*레코드] || (이든 애로우) || ||<-10> 1975년 {{{-1 (4세, 현 3세)}}} || || 1.12 || 도쿄 || [[케이세이배]] || 중상 || 잔디 1600m || 1.6 || 1 || '''{{{#red 1착}}}''' ||<|6> 스가와라 야스오 || (이시노 마사루) || || 2.9 || 도쿄 || [[교도통신배|도쿄 4세 스테이크스]] || 중상 || 잔디 1800m || 3.6 || 2 || 2착 || [[카부라야 오]] || || 3.16 || [[한신 경마장|한신]] || [[필리즈 레뷔|한신 4세 암말 특별]] || 중상 || 잔디 1200m || '''1.0''' || 1 || '''{{{#red 1착}}}'''[*레코드] || (키슈 파이터) || || 4.6 || 한신 || '''[[오카상]]''' || 팔대경주 || 잔디 1600m || '''1.1''' || 1 || '''{{{#red 1착}}}''' || (조 켐프턴) || || 4.27 || 도쿄 || [[플로라 스테이크스|4세 암말 특별]] || 중상 || 잔디 1800m || 1.1 || 1 || 3착 || 토호 펄 || || 5.18 || 도쿄 || '''[[우준 빈마]] (오크스)''' || 팔대경주 || 잔디 2400m || 2.3 || 1 || '''{{{#red 1착}}}''' || (소셜 토쇼) || ||<-10> 1976년 {{{-1 (5세, 현 4세)}}} || || 5.2 || 도쿄 || 5세 이상 오픈 || || 더트 1200m || 1.5 || 1 || 6착 || 스가와라 야스오 || 키리 그리마 ||}}} [include(틀:오카상,grade=팔대경주)] [include(틀:오크스(일본),grade=팔대경주)] ---- [include(틀:케이오배 2세 스테이크스)] [include(틀:케이세이배)] [include(틀:필리즈 레뷔)]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죽은 경주마]][[분류:1972년 출생/경주마]][[분류:1977년 죽은 동물]][[분류:흑마]][[분류:테스코 보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