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럽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감독)]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fff 100%, #FFFFFF)" {{{+1 [[키프로스 축구 국가대표팀|{{{#000000 '''키프로스 축구 국가대표팀'''}}}]]}}}}}} || ||<-3> {{{#FFFFFF '''εθνική ομάδα ποδοσφαίρου Κύπρου'''}}}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테무르 케츠바이아.jpg|width=100%]]}}} || ||<-2> {{{#FFFFFF ''' 이름 ''' }}} || '''{{{+1 테무르 케츠바이아}}}[br]Temur Ketsbaia''' || ||<-2> {{{#FFFFFF ''' 본명 ''' }}} ||테무르 케츠바이아[br]Temur Ketsbaia || ||<-2><|2> {{{#ffffff '''출생 ''' }}} ||[[1968년]] [[3월 18일]] ([age(1968-03-18)]세) || ||[[소련]]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그루지야 SSR]] 갈리 || ||<-2> {{{#ffffff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조지아)] || ||<-2> {{{#ffffff '''직업''' }}} ||[[축구선수]] (미드필더, 윙어 / ^^은퇴^^)[br][[코치(스포츠)|축구감독]] || ||<|2> {{{#ffffff '''소속''' }}} || '''선수''' ||FC 디나모 수쿠미 (1986 / ^^유스^^)[br][[FC 디나모 트빌리시]] (1987 / ^^유스^^)[br][[FC 디나모 트빌리시]] (1987~1992)[br][[아노르토시스 파마구스타 FC]] (1992~1994)[br]'''[[AEK 아테네 FC]]''' (1994~1997)[br][[뉴캐슬 유나이티드 FC]] (1997~2000)[br][[울버햄튼 원더러스 FC]] (2000~2001)[br][[던디 FC]] (2001~2002)[br][[아노르토시스 파마구스타 FC]] (2002~2007) || || '''감독''' ||'''[[아노르토시스 파마구스타 FC]]''' (2004~2009)[br][[올림피아코스 FC]] (2009)[br][[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조지아 대표팀]] (2009~2014)[br][[아포엘 FC]] (2015~2016)[br][[AEK 아테네 FC]] (2016)[br][[FC 오렌부르크]] (2017)[br][[아노르토시스 파마구스타 FC]] (2019~2022)[br][[키프로스 축구 국가대표팀|키프로스 대표팀]] (2022~ ) || ||<-2> {{{#ffffff '''국가대표''' }}} ||52경기 17골 ^^([[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조지아]] / 1990~2003)^^ || [목차] [clearfix] == 개요 == [[키프로스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 == 클럽 경력 == 자국인 [[FC 디나모 트빌리시]]에서 데뷔하여 104경기 23골을 기록하며 이름을 알렸다. 이를 바탕으로 진출한 [[아노르토시스 파마구스타]]에서는 '''76경기 36골'''이라는 뛰어난 성적을 기록하면서 당시 [[수페르리가 엘라다]] 우승 팀이었던 [[AEK 아테네 FC]]로 이적하였다. 이적한 첫 시즌은 부진하였지만 두 번째 시즌인 1995-96 시즌에는 31경기 15골을 넣는 맹활약을하며 최고의 외국인 선수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파일:테무르 케츠바이아 뉴캐슬 시절.png]] 이러한 모습에 1997년 자유 계약 상태가 되자 당시 [[EPL]]의 강호였던 '''[[뉴캐슬 유나이티드]]'''로 이적하게되었다. 뉴캐슬 이적한 후 [[디나모 자그레브]]를 상대로 골을 기록하는 등 무난한 성적을 기록하였다. 2000년 뉴캐슬을 떠난 이후 [[울버햄튼]]과 [[던디 FC]]에서 뛰었고 2002년 좋은 활약을 했었던 [[아노르토시스 파마구스타]]로 복귀하여 2004년부터 선수겸 감독으로 활약하였고 2007년 선수에서 은퇴하였다. == 국가대표 경력 == 1990년 5월 27일 [[리투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리투아니아]]를 상대로 데뷔하였다. 이후 2번째 경기였던 [[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몰도바]]를 상대로 첫 A매치 득점을 기록하였다. 이후 꾸준히 소집되어 17골을 기록하였고 2003년 [[유로 2004]] 예선 아일랜드 전을 마지막으로 국가대표에서 은퇴하였다. == 감독 경력 == 2004년 [[아노르토시스 파마구스타]]의 선수겸 감독으로 임명되어 2번의 [[프로타트리마 A 카티고리아스]]과 키프로스 클럽 '''최초로 [[UEFA 챔피언스 리그]] 본선 진출에 성공'''하였다. 2009년 사임한 이후로 [[올림피아코스 FC]]에 감독으로 부임하였지만 서포터들과의 갈등으로 3개월만에 사임하였다. 2009년부터 [[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조지아 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했지만 메이저 대회 진출에는 실패하였다. 2015년 키프로스로 돌아와 리그 우승을 차지하고 그리스와 러시아로 떠났지만 실패하였고 다시 키프로스로 복귀하였다. 2022년에는 키프로스에서의 호성적을 바탕으로 [[키프로스 축구 국가대표팀|키프로스 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분류:1968년 출생]][[분류:조지아의 축구선수]][[분류:조지아의 축구감독]][[분류:FC 디나모 트빌리시/은퇴, 이적]][[분류:아노르토시스 파마구스타 FC/은퇴, 이적]][[분류:AEK 아테네 FC/은퇴, 이적]][[분류:뉴캐슬 유나이티드 FC/은퇴, 이적]][[분류:울버햄튼 원더러스 FC/은퇴, 이적]][[분류:던디 FC/은퇴, 이적]][[분류:아노르토시스 파마구스타 FC/역대 감독]][[분류:올림피아코스 FC/역대 감독]][[분류:아포엘 FC/역대 감독]][[분류:AEK 아테네 FC/역대 감독]][[분류:FC 오렌부르크/역대 감독]][[분류: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키프로스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