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39386e 0%, #39386e 79%, #b31c31 79%, #b31c31 82%, #fff 82%, #fff 85%, #b31c31 85%, #b31c31 88%, #fff 88%, #fff 91%, #b31c31 91%, #b31c31 94%, #fff 94%, #fff 97%, #b31c31 97%, #b31c31);" [[파일:미국 국장 (원형).svg|height=21]] {{{#white '''[[미국|{{{#white 미합중국}}}]]의 도시[br]{{{+1 테메큘라}}}'''[br]Temecula }}}}}} || ||<-6>{{{#!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Temecula ,너비=100%,높이=300px)]}}}|| || '''국가''' ||<-5>[[파일:미국 국기.svg|height=15]] [[미국]]|| || '''주''' ||<-5>[[캘리포니아 주]]|| || '''카운티''' ||<-5>[[리버사이드 카운티]]|| || '''면적''' ||<-5>96.55㎢|| || '''인구''' ||<-5>110,003명[* 2020년 기준.]|| || '''인구밀도''' ||<-5>1,139.34/㎢|| || '''시간대''' ||<-5>UTC-08:00([[서머타임]] 적용)|| [목차] [clearfix] == 개요 ==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 카운티]]에 있는 시. == 역사 == 테메큘라 원주민들이 거주했던 곳으로, [[1797년]] [[10월]] [[스페인]] [[프란치스코회]] 선교사 후안 노르베르토 데 산티아고와 페드로 리살데 대위가 이 지역을 첫 방문한 것으로 기록되어있다. [[멕시코]]에서 테메큘라 목장을 펠릭스 발데스에게, 파우바 목장을 비센테 모라가에게 무상으로 불하하였다.[* 1775년부터 1846년까지 스페인과 멕시코는 황무지이자 국경지대였던 캘리포니아 지역에 퇴역군인들과 시민들이 정착할 수 있게끔 하는 정책의 일환으로 무상으로 토지를 나눠주었다.] [[미국-멕시코 전쟁]] 당시 호세 루고가 이끄는 군대와 카후이야 인디언들이 루이세뇨 인디언들을 쫓아 이 곳에 위치한 협곡까지 와서 약 100명을 죽였다. 전후, 미국인들이 이 곳으로 이주하기 시작했고, 이는 원주민들과의 잦은 마찰로 이뤄졌다. [[1852년]] 이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각서가 작성되었으나, [[미국 상원]]에서 비준하지 않았다. 이후, [[1850년]] [[캘리포니아]]가 미국의 주로 편입되는 과정에서 루이세뇨들이 멕시코가 무상으로 넘겨준 토지에 대해서[* 아피스가 리틀 테메큘라 목장의 소유권을 주장하면서 생긴 마찰이었다.] 반발하며 법적 절차를 밟았으나, 1851 캘리포니아 토지위원회에 의해 [[1853년]] 기각되었다. 루이세뇨들은 테메큘라 강 남쪽에 살았으나, 아피스의 목장이 루이스 울프에게 [[1872년]] 넘겨지면서, [[1875년]] 이 지역에서 강제 퇴거당했다. 콜튼에서 워너 목장으로 가는 길인 이 지역에서 역마차가 운영되었으며, 남부 캘리포니아의 내륙지역 첫 우체국도 이 곳에서 [[1859년]] [[4월 22일]] 만들어졌다. [[1882년]] 미국 정부는 테메큘라 시내에서 약 9.7km 떨어진 곳에 페창가 인디언 보호구역을 설치했으며, 남부 캘리포니아 철도회사에서 내셔널 시티로 가는 철도를 건설했고, [[1883년]]에는 샌 버나디노까지 가는 노선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홍수로 인해 철도가 흔적도 없이 사라지면서 기차역은 곳간으로 사용되다가 철거되었따. [[1904년]] [[노바스코샤]]에서 이주해 온 월터 베일이 몇몇 다른 사람들과 함께 테메큘라 목장, 파우바 목장, 리틀 테메큘라 목장 땅 절반을 소유하게 되면서 테메큘라는 다시 성장하게 된다. [[1906년]] 베일이 [[로스 앤젤레스]]에서 교통사고로 죽자, 그의 아들 말론 베일이 목장을 운영하게 되었고, [[1914년]] 테메큘라 제일은행을 설립했다. 베일 목장은 계속해서 주변 땅을 사들이면서 성장해 [[1947년]]에는 약 354 제곱키로미터에 달하는 땅을 소유하게 되었고, [[1948년]]에는 테메큘라 강에 댐을 설치해 베일 호수를 만들었다. [[1960년]] 중반부터는 베일 목장을 주변으로 경제가 활발해지면서 목축업과 농업이 성장했다. [[1964년]] 베일 목장은 카이저 알루미늄 회사와 애트나 의료보험 회사에 팔렸으며, 주변의 다른 땅과 함께 약 395㎢ 사들인 두 회사는 이 지역을 캘리포니아 목장으로 이름을 바꾼다. [[1984년]] 테메큘라 포도 재배 지역으로 선정되어 와인 생산지로 탈바꿈하게 되었고[* 첫 와인재배는 1967년에 이뤄졌다.], [[1989년]] [[12월 1일]] 시로 승격되었다. [[1990년]]부터 빠른 성장이 이뤄지면서, 값싼 집값과 와인생산지라는 이유로 도시로 외부인들이 급격하게 많이 유입되었다. [[2005년]] 주변에 위치한 레드호크 지역을 흡수하면서 약 9만명의 인구수를 보유한 시가 된다.[* 1970년 약 2,769명밖에 안되던 지역이었으니 30년동안 30배 이상 인구가 늘었다.] 하지만,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터지면서 부동산 압류 회수가 급격하게 늘었다. [[2012년]]에는 테메큘라 남부에 채석장을 설치하려는 움직임을 시정부와 페창가 부족들이 막아섰고, 페창가 부족들은 300만달러를 들여 이 지역을 사들인다. == 사회 == 테메큘라 거주민의 인종은 백인 55.6%, 히스패닉 27.6%, 아시아계 미국인 11.3%, 흑인 4.7%, 아메리카 원주민 1.5%, 태평양 섬주민 0.4%, 기타 10.2, 혼혈 16.3%으로 이뤄져있다. == 경제 == 대표적인 와인생산지로 관광업이 활성화되어있다. 약 40개의 와이너리가 위치해 있으며, 14㎢의 와인 농장이 있다. 이 외에도 골프코스들이 즐비해 골프 관광으로도 많이 찾는다. [[2002년]]에 페창가 부족들이 2억 6200만달러를 들여 세운 카지노가 시 바로 밖에 위치해있다. == 자매도시 == * [[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다이센초]]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height=15]] 레이츠헨담포르뷔르흐 [[분류: 미국의 도시]][[분류:리버사이드 카운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