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74년 설립]][[분류:싱가포르의 기업]][[분류:공기업]] [include(틀:싱가포르 관련 문서)] ||<-2> {{{+1 '''테마섹홀딩스; 테마섹'''}}} [br] '''Temasek Holdings; Temasek''' || ||<-2> [[파일:테마섹홀딩스 로고.svg|width=300]] || || '''설립''' || [[1974년]] || || '''소재지''' || [include(틀:국기, 국명=싱가포르)] || || '''CEO''' || 딜한 필레이(Dilhan Pillay) || || '''주요포트폴리오''' || [[에어비앤비]], [[스탠다드차타드]], [[셀트리온]],[br][[DBS]]은행, [[메이투안]], [[로블록스]], [[싱가포르텔레콤]],[br][[싱가포르항공]], [[바이오엔테크]], [[PSA]] || || '''자산 총액''' || 약 389조 원(2,970억 달러)^^(2022년)^^ || || '''관련 웹사이트''' || [[http://www.temasek.com.s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1 Temasek Holdings; '''Temasek''' }}} [[싱가포르]] 재무부가 지분 100%를 가지고 있는 [[지주회사]]. 싱가포르의 수많은 기업들을 [[자회사]]로 두고 있다. [[국부펀드]]라고도 할 수 있으나, 정부가 지분을 가지고 있을 뿐 [[국민연금공단|국민연금]], [[한국투자공사]], GIC([[싱가포르]]), CPPIB([[캐나다]]), [[공공투자기금]]([[사우디아라비아]]) 등의 국가가 운영하는 펀드처럼 국부가 투자기반이 되는 것은 아니고 정부에 세금도 내고있다. [[1974년]] 설립되었다. [[https://www.temasekreview.com.sg/#performance-overview|실적(영어)]] == 상세 == 이름은 [[자바어]]로 [[싱가포르]]를 부르는 말인 테마섹(Temasek)에서 따왔으며 바닷가 마을이라는 뜻이다. 테마섹의 주요 목적은 [[싱가포르]]의 경제적 발전, 산업화 및 산업 다각화, 국가의 미래 산업 재원 마련을 싱가포르 국내외 소재 기업들에 대한 전략적 투자와 국가적으로 가장 내세울 수 있는 인재풀[* [[싱가포르]]의 교육열과 교육 수준은 세계 최상위 수준이며, 중국어/영어를 모두 구사하는 인재풀이 굉장히 두텁다.]을 바탕으로 이뤄내는 것이다. 싱가포르 외에도 [[뉴욕]], [[샌프란시스코]], [[브라질]], [[런던]], [[상하이]], [[베이징]], [[뭄바이]] 등에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투자 규모는 연간 수십조 원에 달한다. 외국인 직원 비율이 30퍼센트 이상이며 대다수가 [[골드만삭스]], [[JP모건]], [[모건스탠리]] 등 [[투자은행]] 인수합병 부서 또는 [[사모 펀드]] 출신이다. [[국민연금공단]]의 조직개편 모델이기도 하다. 다만 테마섹은 직접 투자가 주를 이루며 그 외 펀드 및 부동산 등 투자는 전체 포트폴리오의 10%에 미치지 못하는 등 고위험 고수익을 지향한다. 수익 추구 방식 또한 보유 지분에서 나오는 배당금과 투자차익이며 연금, 외환보유액 등이 주요 자금처인 연기금과는 굉장히 다른 투자방식을 가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과거 [[KEB하나은행|하나은행]]의 최대 주주이기도 했으며, 현재는 [[홈플러스]] ([[MBK파트너스]] 인수시 소수지분을 투자하였음)의 2대 주주이다. == 투자한 회사 == [[2020년]] [[블랙록]]의 지분 3.9%[* 약 35억 달러]를 포트폴리오에 더하며 최대주주 중 하나로 올라섰다. [[2021년]]에는 [[FTX]]에 약 3억 달러 가량을 투자했다. 그러나 [[2022년]] FTX가 몰락함과 동시에 투자금액을 전부 손실했다고 발표했다. [[캐피탈랜드 아쎈다스 리츠]]의 최대주주다. == 비판 == 전 최고경영자는 [[리셴룽]] 총리의 부인 호칭(何晶)으로 최악의 [[정경유착]]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다만 호칭은 [[싱가포르 국립대학]], [[스탠퍼드 대학교]] 대학원에서 수학하고 국방부 군수동원국장 등을 지낸 경영능력 자체는 뛰어난 사람이다.] 현재 CEO는 싱가포르 최고 로펌인 웡앤 파트너스의 설립자 중 하나인 Dilhan Pillay가 맡고 있다. 사실 [[싱가포르]]는 진짜로 국가와 기업이 한몸이나 다름없어서 실질적인 [[기업국가]]라는 비판도 받는다. [[싱가포르/경제]] 문서를 참고하면 알겠지만, 정부가 100% 지분을 소유하여 리콴유 일가가 지배하는 이 기업이 주요 산업 전반에 관여하고 있다. == 여담 == [[태국]]의 [[래퍼]] J Jetrin의 [[https://www.youtube.com/watch?v=3iPQhw4e2mc|Seventh heaven]]이란 곡의 가사 중에 '천국 7층으로 올라가면 테마섹도 없고 돈 쓸 필요도 없어'가 나온다.[* 여담이지만 [[GOT7]]의 [[뱀뱀]]이 [[한국의 방송]]에서 자주 불렀던 노래 중 하나다.] 업계 최고의 인재들이 모이는 집단인 만큼 내부 경쟁도 매우 치열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