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테라리아/아이템)][include(틀:테라리아)][목차] == 개요 == 소비 아이템(Comsumables)은 인벤토리에서 사용 직후 사라지는 아이템으로, 주로 설명란에 소비 가능(Consumable)이라고 적혀 있다. == 분류 == {{{#!folding 소비 아이템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테라리아/아이템/소비)]}}} === 영구 파워업 === ||<-2> '''{{{#fff {{{-2 이름}}}}}}''' || '''{{{#fff {{{-2 사용 모습}}}}}}''' || '''{{{#fff {{{-2 등급}}}}}}''' || '''{{{#fff {{{-2 효과}}}}}}''' || ||<-5> '''{{{#white {{{-1 체력 증가}}}}}}''' || || [[파일:Terraria/생명 수정.png]] || {{{-2 [[#생명 수정|생명 수정]]}}}[br]{{{-3 (Life Crystal)}}} || [[파일:Terraria/생명 수정/사용 모습.png]]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2 ▶ 최대 체력 +20(×15)}}}|| || [[파일:Terraria/생명 열매.png]] || {{{-2 [[#생명 열매|생명 열매]]}}}[br]{{{-3 (Life Fruit)}}} || [[파일:Terraria/생명 열매/사용 모습.png]] || [include(틀:t등급, n=7, bg=Lime)] ||{{{-2 ▶ 최대 체력이 400 이상일 때 사용 시 최대 체력 +5(×20)}}}|| ||<-5> '''{{{#white {{{-1 마나 증가}}}}}}''' || || [[파일:Terraria/마나 수정.png]] || {{{-2 [[#마나 수정|마나 수정]]}}}[br]{{{-3 (Mana Crystal)}}} || [[파일:Terraria/마나.png]] || [include(틀:t등급, n=2, bg=green)] ||{{{-2 ▶ 최대 마나 +20(×9)}}}|| ||<-5> {{{#!wiki style="width: 725px; height: 1px; " }}} || ==== 체력과 마나 증가 ==== 플레이어의 [[테라리아/시스템#체력|체력]]과 [[테라리아/시스템#마나|마나]] 한도를 증가시켜주는 중요한 아이템. 플레이어 생성 초기에는 체력이 100, 마나가 20이며 [[#생명 수정|생명 수정]]과 [[#마나 수정|마나 수정]]을 통해 하드모드 이전 최대 체력 400, 마나 200까지 올릴 수 있다. 하드모드 이후에는 [[#생명 열매|생명 열매]]를 통해 체력만 최대 500까지 올릴 수 있다. 이미 해당 아이템으로 올릴 수 있는 최대치를 달성했을 경우, 해당 아이템을 사용해도 아이템을 들어 올리는 모션만 나올 뿐 소모되진 않는다. [[#생명력 포션|생명력 포션]]과 장신구에 붙는 [[테라리아/시스템#수식어|수식어]] 'Arcane'이나 소서러 관련 갑옷을 통해 체력과 마나 수치를 더 올릴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당연히 장착 중에만 적용되며, 탈착하면 다시 사라진다. ===== 체력 증가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생명 수정)][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ife Crystal, 한=생명 수정, ID=29, 희소=green, 스택=99, 유형=소비\, 재료)][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지하|지하]],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의 [[:파일:Terraria/LifeCrystal(Example).gif|수정 하트]]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금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include(틀:t캡션, 이름=티타늄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6.67%)}}} || [[파일:Terraria/생명 수정/사용 모습.png]] || 사용하면 플레이어의 체력 한도를 20 올려주며, 400이 최대이다. 즉, 체력 한도를 최대로 만들려면 생명 수정이 15개 필요하다. 체력 한도를 최대로 만든 이후엔 남아도는 생명 수정을 손에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사슬|사슬]] 4개와 조합하여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하트 랜턴|하트 랜턴]]을 제작하거나, 상점에다 팔아서 돈을 챙기게 된다. [[테라리아/아이템/설치#쉬머|쉬머]]에 빠트리면 캐릭터의 체력 재생을 영구히 늘려주는 [[#활력의 수정|활력의 수정]]이 되므로 하나 더 남겨놓자.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생명 열매)][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ife Fruit, 한=생명 열매, v=1.2, ID=1291, 희소=lime, 과정=ⓗ, 스택=99, 유형=소비)][include(틀:t채집)] [[테라리아/지형#정글 지하|정글 지하]]의 [[:파일:Terraria/LifeFruit(Example).png|생명 열매]] (아무 [[테라리아/보스#기계 보스|기계 보스]] 격파 이후)}}} || [[파일:Terraria/생명 열매/사용 모습.png]] ||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3]] 버전 이후 기계 보스([[테라리아/보스#쌍둥이|쌍둥이]], [[테라리아/보스#파괴자|파괴자]], [[테라리아/보스#스켈레트론 프라임|스켈레트론 프라임]])를 적어도 하나 처치한 이후에 자라기 시작하며, 갓 잡았을 때는 느리게 번식하다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번식이 빨라진다. 사용하면 플레이어의 하트 1개의 수치인 체력 20이 25로 오르면서 노란색으로 바뀐다. 체력이 400 이상일 때만 사용할 수 있으며, 생명 열매 20개를 찾아 먹으면 체력 한도를 '''500'''까지 올릴 수 있다. [[테라리아/보스#플랜테라|플랜테라]]를 잡기 이전에 어느 정도 모아두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금속 탐지기|금속 탐지기]]의 탐지 대상 중에서 가치가 가장 높으므로(810) 만약 얻어뒀다면 생명 열매를 찾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생명 수정처럼 버프용 가구로 만들 순 없지만 판매가가 개당 금화 2닢이라서 체력 500을 달성한 뒤에는 팔아서 돈도 나쁘지 않게 벌 수 있다. ===== 마나 증가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마나 수정)][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ana Crystal, 한=마나 수정, ID=109, 희소=green, 스택=99, 유형=소비)][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별똥별, 문서=아이템/재료, h=14px)] (5) @ 손}}} || [[파일:Terraria/마나.png]] || 사용하면 플레이어의 마나 한도를 20 올려주며, 200이 최대이다. 따라서 필요한 별똥별은 45개. 참고로 버전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2|1.2]] 이전에는 별똥별 10개, 버전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3]] 이전에는 별똥별 5개가 필요했었으나, 1.3 이후 3개로 줄었다가,[* 따라서 마나 한도 200까지 소모되는 별똥별은 27개. 재료 소모가 가장 적었던 시기라서 초반에 마나 한도 올리기가 수월했었다.] 1.4.1 업데이트로 별똥별의 스폰율이 1.4배로 늘어남에 따라 마나 크리스탈의 재료로 소모되는 별똥별도 다시 5개로 돌아왔다. ==== 일회성 아이템 ==== 기존 아이템을 [[테라리아/아이템/설치#쉬머|쉬머]]에 담가서 얻는 일회성 아이템의 경우, NPC 판매가는 원본 아이템과 동일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악마의 심장)][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emon Heart, 한=악마의 심장, 사진=Terraria/DemonHeart.png, ID=3335, 희소=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스택=9999, 과정=ⓗ, v=1.3.0.1, 유형=소비)][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보물 가방 (월 오브 플레시), 사진=TreasureBag(WallofFlesh).png, 문서=아이템/소비, h=16px)] ({{{#E80 100%}}})[br](악마의 심장 사용 이전)}}} 장신구 칸이 한칸 늘어난다. [[테라리아/보스#악마의 심장|전문가 모드 아이템]] 항목 참조.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고급 전투 기법)][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Advanced Combat Techniques, 한=고급 전투 기법, 사진=Terraria/AdvancedCombatTechniques.png, ID=4382, 희소=green, 스택=9999, v=1.4.0.1, 유형=소비)][include(틀:t낚시)] [[테라리아/이벤트#블러드 문|블러드 문]]}}} 사용하면 맵의 모든 NPC들이 영구적으로 방어력이 6 올라가고 공격력이 20% 증가한다. 월드당 한 번만 사용 가능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횃불 신의 은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orch God's Favor, 한=횃불 신의 은혜, 사진=Terraria/TorchGodsFavor.png, ID=5043, 희소=lightcoral, 스택=9999, v=1.4.0.5, 유형=소비)][include(틀:t기타)] [[테라리아/이벤트#횃불 신|횃불 신]] 이벤트 완료 후 인벤토리에 자동 지급}}} 사용하면 플레이어에게 영구적으로 횃불 스왑 기능이 추가되는데, 이 기능을 킨 상태로 일반 횃불을 설치하면 그 지형에 알맞는 횃불[* [[테라리아/지형#설원|설원]]은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얼음 횃불|얼음 횃불]], [[테라리아/지형#정글|정글]]은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정글 횃불|정글 횃불]], [[테라리아/지형#던전|던전]]은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뼈 횃불|뼈 횃불]], [[테라리아/지형#지하세계|지하세계]]는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악마 횃불|악마 횃불]] 등으로 바뀐다.]로 조건 없이 바로 전환되어 설치된다. 횃불을 다시 부숴도 원래 횃불이 아닌 바뀐 횃불을 획득한다. 이 기능은 인벤토리 왼쪽 위의 버튼으로 끄고 킬 수 있다. 1.4.4 업데이트로 일반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모닥불|모닥불]]도 지형에 알맞는 모닥불로 바꿀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이쪽은 정말로 장식 이상의 용도는 없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고급 전투 기법 2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Advanced Combat Techniques: Volume Two, 한=고급 전투 기법: 2편, ID=5336, 희소=mediumpurple, 스택=9999, 과정=ⓗ, v=1.4.4, 유형=소비)][include(틀:t기타)] [[테라리아/아이템/재료#주문 마법서|주문 마법서]]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NPC의 방어력을 영구적으로 6 증가시키고 공격력을 20% 증가시킨다. [[#고급 전투 기술|고급 전투 기술]]과 중첩이 가능하다. 월드당 한 번만 사용 가능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활력의 수정)][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Vital Crystal, 한=활력의 수정, ID=5337, 희소=mediumpurple, 스택=9999, v=1.4.4, 유형=소비)][include(틀:t기타)] [[#생명 수정|생명 수정]]을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플레이어의 체력 재생을 영구적으로 증가시킨다. 캐릭터당 한 번만 사용 가능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호 과일)][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Aegis Fruit, 한=보호 과일, ID=5338, 희소=mediumpurple, 스택=9999, 과정=ⓗ, v=1.4.4, 유형=소비)][include(틀:t기타)] [[#생명 열매|생명 열매]]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플레이어의 방어력을 영구적으로 4 증가시킨다. 캐릭터당 한 번만 사용 가능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신비한 수정)][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Arcane Crystal, 한=신비한 수정, ID=5339, 희소=mediumpurple, 스택=9999, v=1.4.4, 유형=소비)][include(틀:t기타)] [[#마나 수정|마나 수정]]을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플레이어의 마나 재생을 영구적으로 증가시킨다. 캐릭터당 한 번만 사용 가능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은하수 진주)][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alaxy Pearl, 한=은하수 진주, ID=5340, 희소=mediumpurple, 스택=9999, v=1.4.4, 유형=소비)][include(틀:t기타)] [[테라리아/아이템/재료#분홍 진주|분홍 진주]]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플레이어의 행운을 영구적으로 0.03 증가시킨다. 캐릭터당 한 번만 사용 가능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구미 지렁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ummy Worm, 한=구미 지렁이, ID=5341, 희소=mediumpurple, 스택=9999, v=1.4.4, 유형=소비)][include(틀:t기타)] [[테라리아/몬스터#황금 지렁이|황금 지렁이]]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플레이어의 낚시 효율을 영구적으로 3 증가시킨다. 캐릭터당 한 번만 사용 가능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암브로시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Ambrosia, 한=암브로시아, ID=5342, 희소=mediumpurple, 스택=9999, v=1.4.4, 유형=소비)][include(틀:t기타)] 아무 종류의 [[#과일|과일]]을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채광, 타일 및 벽 설치 속도를 영구적으로 5% 증가시킨다. 캐릭터당 한 번만 사용 가능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행상인의 가방)][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eddler's Satchel, 한=행상인의 가방, ID=5343, 희소=mediumpurple, 스택=9999, v=1.4.4, 유형=소비)][include(틀:t기타)] [[테라리아/아이템/장비/치장#행상인의 모자|행상인의 모자]]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행상인의 판매하는 아이템 수를 영구적으로 1 증가시킨다. 월드당 한 번만 사용 가능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장인의 빵)][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Artisan Loaf, 한=장인의 빵, ID=5326, 희소=orange, 스택=1, v=1.4.4,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해골 상인, 문서=NPC, h=24px)] (10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달의 위상이 그믐, 삭, 초승일 때)}}} 제작 관련 가구 인식 거리가 영구적으로 4타일 증가한다. 플레이어당 한 번만 사용 가능하다. 사용한 뒤부터 해골 상인이 더 이상 장인의 빵을 판매하지 않는다. ===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포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 === 머리 염색약[anchor(머리 염색약)] === [[테라리아/지형#대동굴|대동굴]]의 [[테라리아/지형#거미 굴|거미 굴]]에서 묶인 채로 발견되는 [[테라리아/NPC#미용사|미용사]]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아이템. 사용할 시 해당 효과가 영구적으로 지속되며, 머리 염색 제거약으로 제거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머리 염색 제거약)][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Hair Dye Remover, 한=머리 염색 제거약, 스택=99, v=1.2.3, ID=1990, 희소=green,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미용사,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염색된 머리의 효과를 지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깊이의 머리 염색약)][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epth Hair Dye, 한=깊이의 머리 염색약, 스택=99, v=1.2.3, ID=1979, 희소=green,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미용사, 문서=NPC, h=24px)] (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맵의 깊이에 따라 색상이 달라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체력의 머리 염색약)][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ife Hair Dye, 한=체력의 머리 염색약, 스택=99, v=1.2.3, ID=1977, 희소=green,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미용사, 문서=NPC, h=24px)] (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최대 체력이 400 이상일 때)}}} 빨간색 계통의 머리로 염색되며 체력이 낮을수록 명도가 낮아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마나의 머리 염색약)][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ana Hair Dye, 한=마나의 머리 염색약, 스택=99, v=1.2.3, ID=1978, 희소=green,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미용사, 문서=NPC, h=24px)] (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최대 마나가 200 이상일 때)}}} 파란색 계통의 머리로 마나가 낮을수록 명도가 높아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돈의 머리 염색약)][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oney Hair Dye, 한=돈의 머리 염색약, 사진=Terraria/MoneyHairDye.png, 스택=99, v=1.2.3, ID=1980, 희소=green,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미용사, 문서=NPC, h=24px)] (10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인벤토리에 백금화 1닢 이상이 있을 때)}}} 소지하고 있는 동전의 개수에 따라 색상이 달라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시간의 머리 염색약)][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ime Hair Dye, 한=시간의 머리 염색약, 스택=99, v=1.2.3, ID=1981, 희소=green,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미용사, 문서=NPC, h=24px)] (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달의 위상이 그믐, 초승, 상현망간, 하현망간인 밤과 다음 낮 동안 판매)}}} 테라리아 내의 시간에 따라 색상이 달라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팀의 머리 염색약)][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eam Hair Dye, 한=팀의 머리 염색약, 스택=99, v=1.2.3, ID=1982, 희소=green,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미용사, 문서=NPC, h=24px)] (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멀티플레이에서 팀에 소속되어 있을 때)}}} 자신이 소속된 팀의 색상에 따라 색깔이 달라진다. 멀티플레이 전용 아이템으로, 싱글플레이에서는 구입할 수 없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파티의 머리 염색약)][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arty Hair Dye, 한=파티의 머리 염색약, 스택=99, v=1.2.3, ID=1984, 희소=green,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미용사, 문서=NPC, h=24px)] (7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50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파티 걸 거주 시)}}} 머리에서 색종이 조각이 떨어진다. [[테라리아/아이템/장비/치장#편한 스타일|편한 스타일]]을 입지 않으면 아예 보이지 않는 다른 머리 염색약들과 달리 방어구나 치장용 의류를 착용해도 효과는 그대로 나타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지형의 머리 염색약)][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iome Hair Dye, 한=지형의 머리 염색약, 스택=99, v=1.2.3, ID=1983, 희소=green,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미용사, 문서=NPC, h=24px)] (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하드모드에서)}}} 해당되는 [[테라리아/지형|지형]]의 고유 색상으로 바뀐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속도의 머리 염색약)][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peed Hair Dye, 한=속도의 머리 염색약, 스택=99, v=1.2.3, ID=1986, 희소=green,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미용사, 문서=NPC, h=24px)] (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아무 기계 보스 격파 이후)}}} 플레이어의 속도에 따라 색상이 달라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무지개 머리 염색약)][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Rainbow Hair Dye, 한=무지개 머리 염색약, 스택=99, v=1.2.3, ID=1985, 희소=green,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미용사, 문서=NPC, h=24px)] (1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모든 기계 보스 격파 이후)}}} 머리 색상이 무지개색처럼 서서히 바뀐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화성의 머리 염색약)][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artian Hair Dye, 한=화성의 머리 염색약, 스택=99, v=1.3.0.1, ID=2863, 희소=green,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미용사, 문서=NPC, h=24px)] (30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테라리아/이벤트#화성의 광기|화성의 광기]] 이벤트 격파 이후)}}} 헤어 색상이 기본보다 밝아지며, 어두운 곳에서도 보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황혼의 머리 염색약)][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wilight Hair Dye, 한=황혼의 머리 염색약, 스택=99, v=1.3.0.1, ID=3259, 희소=green,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미용사, 문서=NPC, h=24px)] (30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테라리아/이벤트#화성의 광기|화성의 광기]] 이벤트 격파 이후)}}} 플레이어가 움직일 때마다 머리 주위가 별 이펙트로 반짝이며, 어두운 곳에서도 보인다. === 열쇠 === 상자나 문을 열거나, 미믹 소환에 필요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황금 열쇠)][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olden Key, 한=황금 열쇠, 스택=99, v=1.0.6, ID=327, 희소=white,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성난 해골, 문서=몬스터/던전,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저주받은 두개골, 문서=몬스터/던전,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암흑 소환사, 문서=몬스터/던전, h=24px)][br](1.53%)[br][include(틀:t캡션, 이름=던전 슬라임, 문서=몬스터/던전, h=24px)] (100%)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테라리아/지형#던전|던전]]의 [[파일:Terraria/Chest.png|height=14px]] 상자 (100%)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테라리아/지형#던전|던전]]의 [[파일:Terraria/던전 항아리.png|height=14px]] 항아리 (2.85%)}}} 던전 안에 있는 잠긴 황금 상자나 낚시를 통해 얻는 소비 아이템인 잠긴 황금 상자를 열기 위해서 필요하다.[*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1.2|1.1.2]] 버전 때에는 [[테라리아/지형#하늘섬|하늘섬]]에 있는 황금 상자를 열기 위해서도 필요했으나,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2|1.2]] 버전 이후에 만들어진 맵에서는 열쇠가 필요 없게 되었다.] 1회성 소모품이다. [[테라리아/몬스터/던전#던전|던전의 모든 몬스터]]가 1/65 확률로 드롭하고, 던전에서 드물게 출현하는 [[테라리아/몬스터/던전#던전 슬라임|던전 슬라임]]이나 던전의 일반 나무 상자에서 무조건 얻을 수 있다. 또한 던전 내의 항아리를 깨도 1/40 확률로 얻을 수 있다. 1.4.4 업데이트 이후 해당 업데이트로 추가된 애완 슬라임 중 하나인 장로 슬라임이 든 상자를 여는 데도 황금 열쇠가 필요해졌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그림자 열쇠)][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hadow Key, 한=그림자 열쇠, 스택=1, v=1.0.6, ID=329, 희소=white, 유형=도구)][include(틀:t보물)] [[테라리아/지형#던전|던전]]의 [[파일:Terraria/잠긴 황금 상자.png|height=14px]] 잠긴 황금 상자[br]([[파일:Terraria/황금 열쇠.png|height=16px]] [[테라리아/아이템/소비#황금 열쇠|황금 열쇠]] 요구)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파일:kF3NCog.png|height=14px]] [[테라리아/아이템/소비#잠긴 황금 상자|잠긴 황금 상자]] (33.33%)[br]([[파일:Terraria/황금 열쇠.png|height=16px]] [[테라리아/아이템/소비#황금 열쇠|황금 열쇠]] 요구)}}} [[테라리아/지형#지옥|지옥]]에 있는 그림자 상자를 열기 위해서 필요하다. 다른 열쇠와 달리 무제한 사용이 가능하여 하나만 있어도 모든 그림자 상자를 열 수 있다. 따라서 사실 '소비 아이템'은 아니지만 일단 다른 열쇠 아이템과의 통일성을 위해 본 문서에 같이 기재한다. 개당 판매가가 상당히 비싸니 여러 개 얻었다면 부캐로 넘기거나 아니면 팔면 된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지형 열쇠)][anchor(정글 열쇠)][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Jungle Key, 한=정글 열쇠, 사진=Terraria/junglekey.png, 스택=99, v=1.2, ID=1533, 희소=yellow,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정글에 있는 몬스터 (0.04%)}}}||<^|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오염된 열쇠)][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orruption Key, 한=오염된 열쇠, 사진=Terraria/Corruption_Key.png, 스택=99, v=1.2, ID=1534, 희소=yellow,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오염지대에 있는 몬스터 (0.04%)}}}||<^|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진홍색 열쇠)][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rimson Key, 한=진홍색 열쇠, 사진=Terraria/Crimson_Key.png, 스택=99, v=1.2, ID=1535, 희소=yellow,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진홍지대에 있는 몬스터 (0.04%)}}}||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신성한 열쇠)][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Hallowed Key, 한=신성한 열쇠, 사진=Terraria/Hallowed_Key.png, 스택=99, v=1.2, ID=1536, 희소=yellow,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신성지대에 있는 몬스터 (0.04%)}}}||<^|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얼어붙은 열쇠)][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rozen Key, 한=얼어붙은 열쇠, 사진=Terraria/Frozen_Key.png, 스택=99, v=1.2, ID=1537, 희소=yellow,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설원에 있는 몬스터 (0.04%)}}}||<^|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사막 열쇠)][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esert Key, 한=사막 열쇠, 사진=Terraria/Desert_Key.png, 스택=99, v=1.4.0.1, ID=4714, 희소=yellow,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사막에 있는 몬스터 (0.04%)}}}|| 얼어붙은 열쇠, 사막 열쇠, 정글 열쇠, 오염된 열쇠, 진홍색 열쇠, 신성한 열쇠로 총 6종류가 있다. 참고로 특별한 상자는 [[테라리아/보스#플랜테라|플랜테라]]를 처치해야만 열 수 있으며, 만약 [[테라리아/보스#플랜테라|플랜테라]]를 처치하기 전이라면 열쇠의 툴팁에 "정글 안의 강력한 생물에 의해 저주가 서려 있다“ (”It has been cursed by a powerful Jungle creature“)라고 적혀있으며, 상자를 열려고 해도 열리지 않는다. 각 지형 열쇠는 그 지형 판정을 받는 지하세계에 밀접한 화강암/대리석 동굴에 파밍 장소를 짓는 게 좋다. 몬스터들이 나오는 양이 정말 엄청나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쉽게 열쇠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그만큼 엄청난 난이도는 주의해야 한다. 특히 대리석 동굴을 선택했다면, '''메두사'''를 주의하자. 안그래도 살아남기 어려운 곳인데 석화까지 걸린다면... 혹은 [[테라리아/보스#왕 슬라임|왕 슬라임]]이 대량의 슬라임을 소환한다는걸 이용해 왕 슬라임을 계속 소환해 슬라임들을 때려잡는 식으로 구할수도 있다.자원이 좀 들긴 하지만 플랜테라 이후면 이정도는 아무것도 아닐것이다. 지형 열쇠를 [[테라리아/아이템/설치#쉬머|쉬머]]에 넣으면 대응되는 지형 상자가 나온다. 물론 내용물은 없고 껍데기만 나온다.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3]] 버전이 적용되지 않은 콘솔, 3DS 버전에서는 지형 열쇠 틀을 떨군다. 여기서는 이 지형 열쇠 틀과 플랜테라가 항상 떨구는 [[#사원 열쇠|사원 열쇠]], 기계 보스([[테라리아/보스#쌍둥이|쌍둥이]], [[테라리아/보스#파괴자|파괴자]], [[테라리아/보스#스켈레트론 프라임|스켈레트론 프라임]]) 세 종의 [[테라리아/아이템/재료#영혼|영혼]] 다섯 개씩을 조합해서 지형 열쇠를 제작하는 식이다. 1.3 이상 버전이 적용된 데스크톱 버전에서는 삭제되었음에도 데이터가 여전히 남아있는 아이템이며 이는 아예 다른 아이템으로 대체되었던 [[테라리아/아이템/무기#얼음한|얼음한]], [[테라리아/아이템/무기#더미 낫|낫]], [[테라리아/아이템/무기#영혼의 낫|영혼의 낫]]과는 다르다[* 아이템 ID 1803 (정글 열쇠 틀), 1804 (오염된 열쇠 틀), 1805 (진홍색 열쇠 틀), 1806 (신성한 열쇠 틀), 1807 (얼어붙은 열쇠 틀)]. 에디터나 명령어를 통해 직접 얻으려 할 경우 기존 열쇠 틀 대신 완성된 열쇠가 즉시 습득된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밤의 열쇠)][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Key of Night, 한=밤의 열쇠, 사진=Terraria/KeyofNight.png, 스택=99, v=1.3.0.1, ID=3091, 희소=white,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밤의 영혼, 문서=아이템/재료,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빛의 열쇠)][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Key of Light, 한=빛의 열쇠, 사진=Terraria/KeyofLight.png, 스택=99, v=1.3.0.1, ID=3092, 희소=white,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빛의 영혼, 문서=아이템/재료,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아무 상자(Chest)에 다른 내용물 없이 열쇠 하나만 넣어두고 상자를 닫으면 열쇠가 든 상자가 없어지고 그 자리에 [[테라리아/몬스터#오염된 미믹|오염된 미믹]]/[[테라리아/몬스터#진홍색 미믹|진홍색 미믹]][* 현재 세계에 따라 결정된다.] 또는 [[테라리아/몬스터#신성한 미믹|신성한 미믹]]을 소환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사원 열쇠)][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emple Key, 한=사원 열쇠, 스택=99, v=1.2, ID=1141, 희소=lime,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플랜테라, 문서=보스, 파생=축소)] (100%)}}} [[테라리아/지형#리자드 사원|리자드 사원]]의 문을 열기 위해서 필요하다.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3]] 버전 이전에는 [[#지형 열쇠|지형 열쇠]]의 재료로도 쓰였지만 1.3 버전 이후로는 일회용 아이템이 되었다. 그래도 다른 세계에 있는 [[테라리아/지형#리자드 사원|리자드 사원]]의 아이템을 그 세계에서 플랜테라를 잡지 않고 가져올 수는 있다. === 아이템 획득 === 인벤토리에서 오른쪽 클릭으로 사용 시 정해진 목록내의 아이템을 랜덤하게 습득하는 아이템. 해외에서는 [[https://terraria.gamepedia.com/Grab_bags|Grab Bag]]이라고 부른다. 이런 종류의 아이템의 결과물은 아이템을 얻을 때 이미 정해진 게 아니라, 아이템을 풀 때 결과물이 정해진다. 그 예로, 현재 세계의 기본 타락 지형이 무엇이냐에 따라 보상이 달라지는 보스인 [[테라리아/보스#크툴루의 눈|크툴루의 눈]]의 보상 주머니같은 경우, 진홍 지대 월드에서 크툴루의 눈을 잡았어도 그 뒤에 오염 지대 월드로 가서 보상 주머니를 풀면 오염 지대 월드 보상이 나온다. 과거 이용되었던 크레이트 꼼수도 크레이트의 내용물이 크레이트를 뜯는 시점에서 결정되는 이런 특징 때문에 가능했던 것.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허브 꾸러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Herb Bag, 한=허브 꾸러미, 스택=99, v=1.3.0.1, ID=3093, 희소=blue, 유형=소비)][include(틀:t보물)] [[테라리아/지형#지상|지상]]의 [[파일:Terraria/Chest.png|height=14px]] 상자 (16.67%) (1-4)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지렁이 통|지렁이 통]]을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말 그대로 [[테라리아/아이템/재료#허브|허브]]가 들어있는 가방. 사용하면 현존하는 모든 허브와 씨앗들을 랜덤으로 얻을 수 있다. 수량도 랜덤. 최대 40개까지 나온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지렁이 통)][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an Of Worms, 한=지렁이 통, 사진=Terraria/CanOfWorms.png, 스택=99, v=1.4.0.1, ID=4345, 희소=blue, 유형=소비)][include(틀:t보물)] [[테라리아/지형#지상|지상]]의 [[파일:Terraria/Chest.png|height=14px]] 상자 (16.67%) (1-4)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허브 꾸러미|허브 꾸러미]]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사용하면 5~8개의 [[테라리아/몬스터#지렁이|지렁이]]를 획득 가능하다. 가끔씩 [[테라리아/몬스터#마법의 큰지렁이|마법의 큰지렁이]]나 [[테라리아/몬스터#금빛 지렁이|금빛 지렁이]]도 나온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할로윈 선물주머니)][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oodie Bag, 한=할로윈 선물주머니, 스택=99, v=1.2.1, ID=1774, 희소=orange,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모든 몬스터[*제외 조각상으로 소환된 적들, 운석 머리.] (1.25%)[br](할로윈 기간동안)}}} 오른쪽 클릭으로 열어서 내용물을 얻을 수 있다. 내용물은 다음과 같다. {{{+1 일반 내용물}}} * [[테라리아/아이템/장비/치장#할로윈 전용 코스튬|할로윈 전용 코스튬]] {{{+1 그림}}} * 배반의 정사 * 블러드 문의 백작 * 핼로우스 이브 * 재킹 스켈레트론 - [[크리스마스의 악몽]]의 등장인물 잭 스켈링톤의 패러디. * 모비드 큐리어시티 {{{+1 무기 및 도구}}} *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썩은 달걀|썩은 달걀]] - 소모성 원거리 무기 * [[테라리아/아이템/장비/보조#박쥐 갈고리|박쥐 갈고리]] - 도구 * [[테라리아/아이템/장비/보조#불행한 실|불행한 실]] - 펫 아이템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선물 상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resent, 한=선물 상자, 스택=99, v=1.1.1, ID=1869, 희소=orange,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드롭)] 모든 몬스터[*제외 조각상으로 소환된 적들, 운석 머리.] (7.69%)[br](크리스마스 기간동안)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선물 미믹, 문서=이벤트, h=24px)] (100%)[br](크리스마스 기간동안)}}} 바닥에 놓아 장식품으로 놓거나 오른쪽 클릭으로 열어서 내용물을 얻을 수 있다. 내용물은 다음과 같다. {{{+1 일반 내용물}}} * [[테라리아/아이템/장비/치장#크리스마스 전용 의상|크리스마스 전용 의상]] *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사탕 지팡이 블록|사탕 지팡이 블록]] *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사탕 지팡이 블록|녹색 사탕 지팡이 블록]] *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소나무 블록|소나무 블록]] - 소나무 문, 소나무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탁자|탁자]] 및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의자|의자]]를 제작할 수 있음. *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홀리|홀리]] - 벽에 설치하는 장식용 크리스마스 화환 * [[테라리아/아이템#석탄|석탄]] - 용도 없음 (일종의 꽝. 크리스마스 때 나쁜 아이들은 석탄을 준다는 설화가 있다) {{{+1 무기 및 도구}}} *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사탕 지팡이 검|사탕 지팡이 검]] - 검류 무기 *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과일 케이크 차크람|과일 케이크 차크람]] - 부메랑류 무기 *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레드 라이더|레드 라이더]] - 총기류 무기로,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머스킷 총알|머스킷 총알]]과 함께 획득 *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팔각|팔각]] - 소모성 원거리 무기 * [[테라리아/아이템/도구/기본#사탕 지팡이 곡괭이|사탕 지팡이 곡괭이]] - 도구. 금 곡괭이와 성능이 동일 * [[테라리아/아이템/장비/보조#사탕 지팡이 갈고리|사탕 지팡이 갈고리]] - 도구 * [[테라리아/아이템/장비/보조#개 호루라기|개 호루라기]] - 펫 아이템 {{{+1 장신구}}} *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공구통|공구통]] - 아이템 설치 범위 및 도구의 범위가 1칸 증가 *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손난로|손난로]] - [[테라리아/버프 및 디버프#한기|한기]]와 [[테라리아/버프 및 디버프#결빙|결빙]] 디버프를 방지 {{{+1 포션}}} * [[#에그노그|에그노그]] - 사용 시 체력 80 회복 * [[#설탕 쿠키|설탕 쿠키]] - 사용 시 4분간 [[테라리아/버프 및 디버프#절묘하게 채워짐|절묘하게 채워짐]] 효과 부여 * [[#생강 쿠키|생강 쿠키]] - 사용 시 4분간 [[테라리아/버프 및 디버프#절묘하게 채워짐|절묘하게 채워짐]] 효과 부여 * [[#크리스마스 푸딩|크리스마스 푸딩]] - 사용 시 4분간 [[테라리아/시스템#졀묘하게 채워짐|절묘하게 채워짐]] 효과 부여 {{{+1 하드모드 추가 내용물}}} * [[테라리아/이벤트#눈 구체|눈 구체]] - [[테라리아/이벤트#혹한의 부대|혹한의 부대]]를 소환하는 아이템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물 가방)][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easure Bag, 한=보물 가방, 확장자=gif, 스택=999, v=, ID=, 희소=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모든 보스[*제외_보스 [[테라리아/이벤트#플라잉 더치맨|플라잉 더치맨]], [[테라리아/이벤트#탄식하는 나무|탄식하는 나무]], [[테라리아/이벤트#펌킹|펌킹]], [[테라리아/이벤트#에버스크림|에버스크림]], [[테라리아/이벤트#산타-NK1|산타-NK1]], [[테라리아/이벤트#얼음 여왕|얼음 여왕]], [[테라리아/이벤트#화성인 우주선|화성인 우주선]], [[테라리아/이벤트#천체의 기둥|천체의 기둥]]은 고유 보물 가방이 존재하지 않는다.] ({{{#E80 100%}}})}}} ||
'''보물 가방''' || ||{{{#!folding [ 상세히 보기 ] ----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물 가방 (왕 슬라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easure Bag (King Slime), 한=보물 가방 (왕 슬라임), 사진=Terraria/TreasureBag(KingSlime).png, 스택=999, v=1.3.0.1, ID=3318, 희소=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왕 슬라임, 문서=보스, 파생=축소)] ({{{#E80 100%}}})}}}||<^|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물 가방 (크툴루의 눈))][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easure Bag (Eye of Cthulhu), 한=보물 가방 (크툴루의 눈), 사진=Terraria/TreasureBag(EyeofCthulhu).png, 스택=999, v=1.3.0.1, ID=3319, 희소=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크툴루의 눈, 문서=보스, 파생=축소)] ({{{#E80 100%}}})}}}||<^|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물 가방 (세상을 먹는 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easure Bag (Eater of Worlds), 한=보물 가방 (세상을 먹는 자), 사진=Terraria/TreasureBag(EaterofWorlds).png, 스택=999, v=1.3.0.1, ID=3320, 희소=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사진=EaterofWorldsHead.png, 이름=세상을 먹는 자, 문서=보스, h=24px)] ({{{#E80 100%}}})}}}||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물 가방 (크툴루의 뇌))][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easure Bag (Brain of Cthulhu), 한=보물 가방 (크툴루의 뇌), 사진=Terraria/TreasureBag(BrainofCthulhu).png, 스택=999, v=1.3.0.1, ID=3321, 희소=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사진=BrainofCthulhu(R).png, 이름=크툴루의 뇌, 문서=보스)] ({{{#E80 100%}}})}}}||<^|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물 가방 (여왕벌))][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easure Bag (Queen Bee), 한=보물 가방 (여왕벌), 사진=Terraria/TreasureBag(QueenBee).png, 스택=999, v=1.3.0.1, ID=3322, 희소=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여왕벌, 문서=보스, 파생=축소)] ({{{#E80 100%}}})}}}||<^|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물 가방 (스켈레트론))][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easure Bag (Skeletron), 한=보물 가방 (스켈레트론), 사진=Terraria/TreasureBag(Skeletron).png, 스택=999, v=1.3.0.1, ID=3323, 희소=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스켈레트론, 문서=보스, 파생=축소)] ({{{#E80 100%}}})}}}||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물 가방 (외눈사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easure Bag (Deerclops), 한=보물 가방 (외눈사슴), 사진=Terraria/TreasureBag(Deerclops).png, 스택=999, v=1.4.3, ID=5111, 희소=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외눈사슴, 사진=Deerclops.png, 문서=보스, h=36px)] ({{{#E80 100%}}})}}}||<^|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물 가방 (월 오브 플레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easure Bag (Wall of Flesh), 한=보물 가방 (월 오브 플레시), 사진=Terraria/TreasureBag(WallofFlesh).png, 스택=999, v=1.3.0.1, ID=3324, 희소=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월 오브 플레시, 문서=보스, 파생=축소)] ({{{#E80 100%}}})}}}||<^|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물 가방 (여왕 슬라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easure Bag (Queen Slime), 한=보물 가방 (여왕 슬라임), 사진=Terraria/TreasureBag(QueenSlime).png, 스택=999, v=1.4.0.1, ID=4957, 희소=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여왕 슬라임, 사진=QueenSlime.png, 문서=보스, h=24px)] ({{{#E80 100%}}})}}}||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물 가방 (쌍둥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easure Bag (The Twins), 한=보물 가방 (쌍둥이), 사진=Terraria/TreasureBag(TheTwins).png, 스택=999, v=1.3.0.1, ID=3326, 희소=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사진=TheTwins(R).png, 이름=쌍둥이, 문서=보스)] ({{{#E80 100%}}})}}}||<^|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물 가방 (파괴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easure Bag (The Destroyer), 한=보물 가방 (파괴자), 사진=Terraria/TreasureBag(TheDestroyer).png, 스택=999, v=1.3.0.1, ID=3325, 희소=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파괴자, 문서=보스, 파생=머리, h=24px)] ({{{#E80 100%}}})}}}||<^|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물 가방 (스켈레트론 프라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easure Bag (Skeletron Prime), 한=보물 가방 (스켈레트론 프라임), 사진=Terraria/TreasureBag(SkeletronPrime).png, 스택=999, v=1.3.0.1, ID=3327, 희소=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스켈레트론 프라임, 문서=보스, 파생=축소)] ({{{#E80 100%}}})}}}||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물 가방 (플랜테라))][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easure Bag (Plantera), 한=보물 가방 (플랜테라), 사진=Terraria/TreasureBag(Plantera).png, 스택=999, v=1.3.0.1, ID=3328, 희소=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플랜테라, 문서=보스, 파생=축소)] ({{{#E80 100%}}})}}}||<^|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물 가방 (골렘))][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easure Bag (Golem), 한=보물 가방 (골렘), 사진=Terraria/TreasureBag(Golem).png, 스택=999, v=1.3.0.1, ID=3329, 희소=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골렘, 문서=보스, 파생=축소)] ({{{#E80 100%}}})}}}||<^|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물 가방 (빛의 여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easure Bag (Empress of Light), 한=보물 가방 (빛의 여제), 사진=Terraria/TreasureBag(EmpressofLight).png, 스택=999, v=1.4.0.1, ID=4782, 희소=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빛의 여제, 문서=보스, h=24px)] ({{{#E80 100%}}})}}}||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물 가방 (피시론 공작))][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easure Bag (Duke Fishron), 한=보물 가방 (피시론 공작), 사진=Terraria/TreasureBag(DukeFishron).png, 스택=999, v=1.3.0.1, ID=3330, 희소=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피시론 공작, 문서=보스, 파생=축소)] ({{{#E80 100%}}})}}}||<^|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물 가방 (미친 광신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easure Bag (Lunatic Cultist), 한=보물 가방 (미친 광신도), 사진=Terraria/TreasureBag(LunaticCultist).png, 스택=999, v=1.3.0.1, ID=3331, 희소=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유형=소비)][include(틀:t획득불가)]}}}||<^|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물 가방 (어둠의 마법사))][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easure Bag (Dark Mage), 한=보물 가방 (어둠의 마법사), 사진=Terraria/TreasureBag(DarkMage).png, 스택=999, v=1.3.4, ID=3862, 희소=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유형=소비)][include(틀:t획득불가)]}}}||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물 가방 (오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easure Bag (Ogre), 한=보물 가방 (오거), 사진=Terraria/TreasureBag(Ogre).png, 스택=999, v=1.3.4, ID=3861, 희소=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유형=소비)][include(틀:t획득불가)]}}}||<^|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물 가방 (달의 군주))][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easure Bag (Moon Lord), 한=보물 가방 (달의 군주), 사진=Terraria/TreasureBag(MoonLord).png, 스택=999, v=1.3.0.1, ID=3332, 희소=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달의 군주, 문서=이벤트, 파생=축소)] ({{{#E80 100%}}})}}}||<^|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물 가방 (벳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easure Bag (Betsy), 한=보물 가방 (벳시), 사진=Terraria/TreasureBag(Betsy).png, 스택=999, v=1.3.4, ID=3860, 희소=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벳시, 문서=이벤트, 파생=축소)] ({{{#E80 100%}}})}}}||}}}|| [[테라리아/이벤트#펌킹|펌킹]]이나 [[테라리아/이벤트#얼음 여왕|얼음 여왕]] 등의 이벤트 보스는 제외. [[테라리아/이벤트#미친 광신도|미친 광신도]]의 보물 가방은 데이터로 있지만 본 게임에 추가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상의 보상도 가면과 동전 말곤 없다. 고대의 존재의 부대의 최종 보스인 뱃시의 경우 특별히 보물 가방이 추가로 생겨, 현재 존재하는 보물 가방은 17개. 보스마다 생김새가 다 다르며, [[테라리아/시스템#희소성|희소성]]은 '''레인보우 등급'''. 사용하여 [[테라리아/보스#전문가 모드 아이템|전문가 모드 아이템]]과 나머지 전리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하드모드 이후 보스의 보물 가방은 5% 확률로 [[테라리아/아이템/장비/치장#개발자 아이템|개발자 전용 장비]]와 추가로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날개|날개]] 및 [[테라리아/아이템/장비#염료|염료]]를 준다. ==== 크레이트 ==== 모든 크레이트는 낚시 시에 10%의 확률로 등장하며, [[#크레이트 포션|크레이트 포션]]을 사용하면 확률이 20%로 상승한다. 크레이트가 낚일 빈도는 [[#나무 크레이트|나무 크레이트]]>[[#철 크레이트|철 크레이트]]>[[#오염된 크레이트|오염된 크레이트]]>[[#진홍색 크레이트|진홍색 크레이트]]>[[#신성한 크레이트|신성한 크레이트]]>[[#던전 크레이트|던전 크레이트]]>[[#정글 크레이트|정글 크레이트]]>[[#하늘 크레이트|하늘 크레이트]]>[[#금 크레이트|금 크레이트]] 순이다.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3]] 버전 패치로 크레이트를 배치할 수 있게 되었다. 인테리어 용도로 사용 가능. 1.4 버전 이전에는 하드모드 이전에 수십 개를 모아놓고 하드모드 진입 후 모두 개봉하면 [[테라리아/아이템/재료/광물#아다만타이트|아다만타이트]], [[테라리아/아이템/재료/광물#티타늄|티타늄]] 같은 하드모드 광물들도 막 쏟아져 나와서 제단을 부수지 않아도 바로 하드모드 광석/주괴를 얻을 수 있다는 굉장한 이득을 벌 수 있었다.[* 단, [[테라리아/아이템/재료/광물#녹조류|녹조류]]는 안 나온다. 애초에 [[테라리아/아이템/재료/광물#신성한 주괴|신성한 주괴]] 이상의 등급을 가진 주괴와 광석들은 안 나오게 했기 때문.] 허나 하드모드 초반 과정을 너무 쉽게 스킵하는 사기성 때문에 결국 하드모드 이전에 낚은 크레이트랑 이후에 낚은 크레이트로 분리되어 하드모드 이전 모아두다 한번에 터트리는 꼼수는 불가능해졌고, 이제 나무/철/금 크레이트는 드롭되는 광물이 정해졌고, 낚시 버그도 막혀서 이젠 루팅이 굉장히 어려워졌다. 그래도 주구장창 낚시만 해도 초반에 위험한 하드모드 지하를 들어갈 필요가 없어지고, 많은 재료가 필요한 조합 아이템을 만들때 재료가 매우 구하기 힘든 경우 크레이트를 낚아야하기에 아직 유용히 사용 가능하다. 1.4.4 업데이트로 하드모드 크레이트를 쉬머 웅덩이에 던지면 하드모드 이전 크레이트로 변한다[* 티타늄 크레이트 => 금 크레이트]. 당연히도 역은 안된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나무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ooden Crate, 한=나무 크레이트, 스택=99, v=1.2.4, ID=2334, 희소=blue, 자동=↻,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아무 곳에서나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진주나무 크레이트|진주나무 크레이트]]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진주나무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earlwood Crate, 한=진주나무 크레이트, 스택=99, v=1.4.0.1, ID=3979, 희소=blue, 자동=↻, 과정=ⓗ,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아무 곳에서나[br](하드모드에서)}}}|| 가장 낮은 등급의 크레이트. 구리, 주석, 철, 납 광물의 원석이나 주괴, 포션, 미끼를 얻을 수 있으며 낮은 확률로 지상의 일반 상자에서 얻을 수 있는 아이템들을 얻을 수 있다. 하드모드에서는 진주나무로 대체돼서 나오며, 추가로 코발트와 팔라듐 광물의 원석이나 주괴, 근접 무기인 [[테라리아/아이템/무기#닻|닻]], 1/200의 확률로 하루를 스킵하게 해 주는 가구인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마법의 해시계|마법의 해시계]]가 나온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철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Iron Crate, 한=철 크레이트, 스택=99, v=1.2.4, ID=2335, 희소=green, 자동=↻,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아무 곳에서나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미스릴 크레이트|미스릴 크레이트]]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미스릴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ythril Crate, 한=미스릴 크레이트, 스택=99, v=1.4.0.1, ID=3980, 희소=green, 자동=↻, 과정=ⓗ,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아무 곳에서나[br](하드모드에서)}}}|| 중간 등급의 크레이트. 구리, 주석, 철, 납, 은, 텅스텐 광물의 원석이나 주괴, 포션, 미끼들을 얻을 수 있다. 가끔 근접 무기인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팔콘 블레이드|팔콘 블레이드]], 펫 아이템인 [[테라리아/아이템/장비/보조#타르타르 소스|타르타르 소스]], 치장용 장신구인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적갈색 턱수염|적갈색 턱수염]]이 나오기도 한다. 하드모드에서는 미스릴로 대체돼서 나오며, 추가로 코발트, 미스릴, 팔라듐, 오리칼쿰 광물의 원석이나 주괴, 1/60의 확률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마법의 해시계|마법의 해시계]]가 나온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금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olden Crate, 한=금 크레이트, 스택=99, v=1.2.4, ID=2336, 희소=orange, 자동=↻,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아무 곳에서나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티타늄 크레이트|티타늄 크레이트]]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티타늄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itanium Crate, 한=티타늄 크레이트, 스택=99, v=1.4.0.1, ID=3981, 희소=orange, 자동=↻, 과정=ⓗ,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아무 곳에서나[br](하드모드에서)}}}|| 가장 높은 등급의 크레이트. 은, 텅스텐, 금, 백금 광물의 원석이나 주괴, 포션, [[테라리아/몬스터#달인의 미끼|달인의 미끼]]들을 얻을 수 있다. 가끔 탈것 수단인 [[테라리아/아이템/장비/보조#단단한 안장|단단한 안장]], 체력 한도를 20 올려주는 [[테라리아/아이템/소비#생명 수정|생명 수정]], 제니스의 재료인 근접 무기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마법의 검|마법의 검]]이 '''3%''' 확률로 나오기도 한다. 하드모드에서는 티타늄으로 대체돼서 나오며, 추가로 미스릴, 오리칼쿰, 아다만타이트, 티타늄 광물의 원석이나 주괴, 5%의 확률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마법의 해시계|마법의 해시계]]가 나온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정글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Jungle Crate, 한=정글 크레이트, 스택=99, v=1.3.0.1, ID=3208, 희소=green, 자동=↻,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정글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가시덤불 크레이트|가시덤불 크레이트]]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가시덤불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ramble Crate, 한=가시덤불 크레이트, 스택=99, v=1.4.0.1, ID=3987, 희소=green, 자동=↻, 과정=ⓗ,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정글[br](하드모드에서)}}}|| [[테라리아/지형#정글 지하|정글 지하]] 내부에서 발견될 수 있는 작은 정글 성소 안 상자에서 나오는 아이템들 중 하나가 나오며, 동시에 광물의 원석이나 주괴, 포션, 미끼 뿐만 아니라 가끔 대나무도 나온다. 하드모드에서는 가시덤불로 대체돼서 나온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하늘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ky Crate, 한=하늘 크레이트, 스택=99, v=1.3.0.1, ID=3206, 희소=green, 자동=↻,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하늘 호수와 비슷한 정도의 고도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창공 크레이트|창공 크레이트]]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창공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Azure Crate, 한=창공 크레이트, 스택=99, v=1.4.0.1, ID=3985, 희소=green, 자동=↻, 과정=ⓗ,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하늘 호수와 비슷한 정도의 고도[br](하드모드에서)}}}|| [[테라리아/지형#하늘섬|하늘섬]]의 집 안 상자에서 나오는 아이템들[*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빛나는 빨간 풍선|빛나는 빨간색 풍선]],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행운의 말굽|행운의 말굽]],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천상의 자석|천상의 자석]],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스타퓨리|스타퓨리]],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새내기 날개|새내기 날개]] 다섯. 대신 새내기 날개는 1/40의 확률로 나온다.] 중 하나가 반드시 나오며, 일정 확률로 하늘섬의 그림 종류중 하나가 나오고, 동시에 광물의 원석이나 주괴, 포션, 미끼들을 얻을 수 있다. 하드모드에서는 창공 크레이트로 대체돼서 나온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오염된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orrupt Crate, 한=오염된 크레이트, 스택=99, v=1.3.0.1, ID=3203, 희소=green, 자동=↻,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오염지대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더럽혀진 크레이트|더럽혀진 크레이트]]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더럽혀진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efiled Crate, 한=더럽혀진 크레이트, 스택=99, v=1.4.0.1, ID=3982, 희소=green, 자동=↻, 과정=ⓗ,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오염지대[br](하드모드에서)}}}|| 그림자 구체를 깰 시에 나오는 아이템들 중 하나가 나오며, 동시에 광물의 원석이나 주괴, 포션, 미끼들을 얻을 수 있다. 하드모드에서는 더럽혀진 크레이트로 대체돼서 나오며, 추가로 [[테라리아/아이템/재료#저주받은 불꽃|저주받은 불꽃]], [[테라리아/아이템/재료#밤의 영혼|밤의 영혼]]이 나온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진홍색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rimson Crate, 한=진홍색 크레이트, 스택=99, v=1.3.0.1, ID=3204, 희소=green, 자동=↻,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진홍지대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핏빛 크레이트|핏빛 크레이트]]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핏빛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Hematic Crate, 한=핏빛 크레이트, 스택=99, v=1.4.0.1, ID=3983, 희소=green, 자동=↻, 과정=ⓗ,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진홍지대[br](하드모드에서)}}}|| 진홍색 심장을 깰 시에 나오는 아이템들 중 하나가 나오며, 동시에 광물의 원석이나 주괴, 포션, 미끼들을 얻을 수 있다. 하드모드에서는 핏빛 크레이트로 대체돼서 나오며, 추가로 [[테라리아/아이템/재료#이코르|이코르]], [[테라리아/아이템/재료#밤의 영혼|밤의 영혼]]이 나온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신성한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Hallowed Crate, 한=신성한 크레이트, 스택=99, v=1.3.0.1, ID=3207, 희소=green, 자동=↻,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신성지대[br](하드모드 이전에서)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성스러운 크레이트|성스러운 크레이트]]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성스러운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ivine Crate, 한=성스러운 크레이트, 스택=99, v=1.4.0.1, ID=3986, 희소=green, 자동=↻, 과정=ⓗ,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신성지대}}}|| 광물의 원석이나 주괴, 포션, 미끼, [[테라리아/아이템/재료#수정 파편|수정 파편]], [[테라리아/아이템/재료#빛의 영혼|빛의 영혼]]이 나온다. 하드모드 크레이트가 분리된 1.4 버전 패치에서 기존의 신성한 크레이트는 성스러운 크레이트로 바뀌었고, 하드모드 이전에 신성지대를 인공적으로 조성하여 낚시를 하거나 성스러운 크레이트를 쉬머에 던지면 하드모드 이전 아이템만 나오는 신성한 크레이트가 나온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던전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ungeon Crate, 한=던전 크레이트, 스택=99, v=1.3.0.1, ID=3205, 희소=green, 자동=↻,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던전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방책 크레이트|방책 크레이트]]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방책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tockade Crate, 한=방책 크레이트, 스택=99, v=1.4.0.1, ID=3984, 희소=green, 자동=↻, 과정=ⓗ,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던전[br](하드모드에서)}}}|| 예전에는 던전 내에는 자연적으로 물웅덩이가 없어서 직접 던전 내에 물웅덩이를 만들고 낚시를 해야만 했으나, 1.4 버전 패치 이후로 던전에 함정 형식으로 물웅덩이가 조성되는 일이 생겨져서 굳이 만들 이유는 줄어들었다. 후술할 아이템 형태의 [[#잠긴 황금 상자|잠긴 황금 상자]]가 무조건 나오며, 동시에 광물의 원석이나 주괴, 포션, 미끼들을 얻을 수 있다. 가끔 책이 나오기도 한다. 하드모드에서는 방책으로 대체돼서 나온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오아시스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Oasis Crate, 한=오아시스 크레이트, 스택=99, v=1.4.0.1, ID=4407, 희소=green, 자동=↻,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사막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신기루 크레이트|신기루 크레이트]]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신기루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irage Crate, 한=신기루 크레이트, 스택=99, v=1.4.0.1, ID=4408, 희소=green, 자동=↻, 과정=ⓗ,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사막[br](하드모드에서)}}}|| [[테라리아/지형#사막 지하|사막 지하]] 내부에서 발견될 수 있는 오두막 안 상자에서 나오는 아이템들 중 하나가 나오며 2.86%의 낮은 확률로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병 속의 모래폭풍|병 속의 모래폭풍]]이 나온다. 동시에 광물의 원석이나 주괴, 포션, 미끼들을 얻을 수 있다. 가끔 풍뎅이 폭탄이 나오기도 한다. 하드모드에서는 신기루 크레이트로 대체돼서 나온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얼어붙은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rozen Crate, 한=얼어붙은 크레이트, 스택=99, v=1.4.0.1, ID=4405, 희소=green, 자동=↻,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설원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아한대 크레이트|아한대 크레이트]]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아한대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oreal Crate, 한=아한대 크레이트, 스택=99, v=1.4.0.1, ID=4406, 희소=green, 자동=↻, 과정=ⓗ,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설원[br](하드모드에서)}}}|| [[테라리아/지형#설원 지하|설원 지하]] 내부에서 발견될 수 있는 오두막 안 상자에서 나오는 아이템들 중 하나가 나오며, 동시에 광물의 원석이나 주괴, 포션, 미끼들을 얻을 수 있다. 하드모드에서는 아한대 크레이트로 대체돼서 나온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흑요석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Obsidian Crate, 한=흑요석 크레이트, 스택=99, v=1.4.0.1, ID=4877, 희소=green, 자동=↻,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용암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지옥석 크레이트|지옥석 크레이트]]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지옥석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Hellstone Crate, 한=지옥석 크레이트, 스택=99, v=1.4.0.1, ID=4878, 희소=green, 자동=↻, 과정=ⓗ,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용암[br](하드모드에서)}}}|| 용암 낚시를 하기 위해선 핫라인 낚시대나 지하세계 생물 미끼, 용암 낚시바늘 중 하나가 필요하다. 후술할 잠긴 흑요석 상자가 무조건 나오며, 동시에 광물의 원석이나 주괴, 포션, 미끼들 뿐만 아니라 가구나 펫도 나오고, 용암 낚싯바늘, 화염발생 장화, 용암의 부적을 비롯한 장신구도 나온다. 하드모드에서는 지옥석으로 대체돼서 나온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바다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Ocean Crate, 한=바다 크레이트, 스택=99, v=1.4.0.1, ID=5002, 희소=green, 자동=↻,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바다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해변 크레이트|해변 크레이트]]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해변 크레이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easide Crate, 한=해변 크레이트, 스택=99, v=1.4.0.1, ID=4878, 희소=green, 자동=↻, 과정=ⓗ, 유형=소비\, 가구)][include(틀:t낚시)] 바다[br](하드모드에서)}}}|| 물 상자에서 나오는 아이템들 중 하나가 나오며, 동시에 광물의 원석이나 주괴, 포션, 미끼 뿐만 아니라 가끔 모래성 양동이나 조갯 더미도 나온다. 하드모드에서는 해변 크레이트로 대체돼서 나온다. ==== 기타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Oyster, 한=굴, 사진=Terraria/Oyster.png, 스택=99, v=1.4.0.1, ID=4410, 희소=blue, 유형=소비)][include(틀:t낚시)] 사막}}} 크레이트가 아니라 [[#크레이트 포션|크레이트 포션]]의 효과는 받지 못한다.사용 시 음식인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까진 굴|까진 굴]] 1개가 나오고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소형 행운 포션|행운 포션]]들의 재료인 [[테라리아/아이템/재료#하얀 진주|진주]]류도 가끔씩 나온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잠긴 황금 상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olden Lock Box, 한=잠긴 황금 상자, 사진=Terraria/GoldenLockBox.png, 스택=99, v=1.3.0.1, ID=3085, 희소=green, 유형=소비)][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던전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방책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100%)}}} 일반적인 잠긴 황금 상자처럼 여는 데 [[#황금 열쇠|황금 열쇠]]가 하나 필요하며 [[테라리아/지형#던전|던전]] 내의 황금 상자에서 얻을 수 있는 고유 아이템들 중 하나가 나온다. 던전 크레이트에서 나타나는 아이템화된 잠긴 황금 상자로 볼 수 있다. 크레이트와 달리 배치할 수 없다. 이 아이템은 이전 버전에서 생성되어 그 던전에서 얻을 수 없게 된 아이템이나 이미 다 털었으나 더 많은 던전의 고유 아이템을 얻고 싶을 때 유용하다. 아니면 그냥 가득 모여있는 황금 열쇠를 단지 소모하고 싶을 때 좋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잠긴 흑요석 상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Obsidian Lock Box, 한=잠긴 흑요석 상자, 스택=99, v=1.4.0.1, ID=4879, 희소=green, 유형=소비)][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흑요석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지옥석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100%)}}} 일반적인 그림자 상자처럼 여는 데 [[#그림자 열쇠|그림자 열쇠]]가 필요하며 그림자 상자에서 얻을 수 있는 고유 아이템들 중 하나가 나온다. 역시 이것도 배치할 수는 없다. [[#잠긴 황금 상자|잠긴 황금 상자]]의 지옥 버전으로 볼 수 있으나, 황금 열쇠와는 달리 그림자 열쇠는 소비 아이템이 아닌지라 상자를 얻기만 하면 무한정 열 수 있다. === 기타[anchor(기타 소비 아이템)]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정동석)][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eode, 한=정동석, ID=4400, 희소=green, v=1.4.0.1, 스택=9999,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강암 정령, 확장자=gif, 문서=몬스터,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강암 골렘, 문서=몬스터, h=24px)] (5%)}}} 던져서 깨뜨리면 [[테라리아/아이템/재료#보석|보석]] 2종류를 3~6개 얻을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반짝이는 슬라임 풍선)][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parkle Slime Balloon, 한=반짝이는 슬라임 풍선, 사진=Terraria/SparkleSlimeBalloon.png, ID=4986, 희소=white, 과정=ⓗ, v=1.4.0.1, 스택=9999,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여왕 슬라임, 사진=QueenSlime.png, 문서=보스, h=24px)] (100%) (25-75 / {{{#E80 25-74}}})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정글 미믹, 문서=몬스터, h=24px)] (33%) (69)[br](Celebrationmk10 시드에서)}}} 플레이어, 적, NPC에게 던지면 반짝거리는 슬라임 디버프에 걸린다. 단순 장식용 디버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이터니아 마나)][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Etherian Mana, 한=이터니아 마나, v=1.3.4, ID=3822, 희소=white, 스택=9999, 유형=소비)][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사진=OldOnesArmyIcon.png, 이름=고대의 군대, 문서=이벤트, h=24px)]의 적들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웨이브마다 10의 배수만큼 획득}}} 고대의 군대 이벤트가 끝나면 사라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풍등)][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Release Lantern, 한=풍등, 사진=Terraria/ReleaseLantern.png, v=1.4.0.1, ID=4702, 희소=white, 스택=9999,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파티 걸,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테라리아/이벤트#풍등|풍등]] 이벤트 중일 때)}}} 사용 시 하늘에 풍등을 날린다. 풍등은 16초 뒤에 사라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비둘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Release Doves, 한=비둘기, v=1.4.0.1, ID=4682, 희소=white, 스택=9999,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파티 걸,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묘지에 거주 시)}}} 사용 시 하늘을 날아다니는 비둘기 세 마리를 날린다. 비둘기는 5초 뒤에 사라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나무 글로브)][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ree Globe, 한=나무 글로브, v=1.4.0.1, ID=4765, 희소=green, 스택=9999,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동물학자, 문서=NPC, h=24px)] (3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생물 도감 50% 이상 등록 이후)}}} 사용 시 나무 글로브를 던진다. 나무 글로브가 바닥에 닿으면 나무의 모습이 변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세계 글로브)][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orld Globe, 한=세계 글로브, v=1.4.0.1, ID=4766, 희소=green, 스택=9999,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동물학자, 문서=NPC, h=24px)] (3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생물 도감 50% 이상 등록 이후)}}} 사용 시 세계 글로브를 던진다. 세계 글로브가 바닥에 닿으면 배경의 모습이 변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달 글로브)][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oon Globe, 한=달 글로브, v=1.4.4, ID=5285, 희소=green, 스택=9999,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동물학자, 문서=NPC, h=24px)] (3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생물 도감 50% 이상 등록 이후)}}} 사용 시 달 글로브를 던진다. 달 글로브가 바닥에 닿으면 달의 모습이 변한다.[* 달의 모습(스타일)이 변한다. 달의 위상은 변화가 없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비료)][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사진=Terraria/Fertilizer.png, 영=Fertilizer, 한=비료, ID=5438, 희소=white, v=1.4.4, 스택=9999, 유형=소비)][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사진=Poo.png, 이름=똥,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3) + [include(틀:t캡션, 이름=뼈다귀, 문서=아이템/재료, h=16px)] (3) + [include(틀:t캡션, 사진=AshBlock.png, 이름=재 블록,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3)[br] @ [include(틀:t캡션, 이름=유리병,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또는 [include(틀:t캡션, 이름=연금술 탁자,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정화 가루처럼 일정 범위에 흩뿌려 닿은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도토리|묘목]]을 단번에 나무로 성장시킨다. 보석 나무에도 적용된다. 물론 묘목이 자랄 여유 공간이 필요하며, 부적절한 위치에 심어진 묘목에는 뿌려봤자 비료만 소모된다. 적절한 위치에 심어진 묘목만 급성장시킬 수 있다는 특징 덕분에 특정 지형이 나무가 자라기에 적합한 위치인지 판단하는 데 쓸 수도 있다. 도토리를 심었는데 비정상적이다 싶을 정도로 나무가 안 자라는 지점이 있을 경우, 비료를 뿌렸을 때 자라면 그냥 운이 나빴던 것이고, 자라지 않으면 지형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쓰레기)][anchor(낡은 신발 한 짝)][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Old Shoe, 한=낡은 신발 한 짝, 사진=Terraria/OldShoe.png, v=1.2.4, 희소=gray, ID=2337, 유형=아이템)][include(틀:t낚시)] 낚시 효율 50 미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낚시)] 낚시하는 물의 타일이 300타일 미만[*꿀 꿀의 경우 200타일 미만]일 때}}}||<^|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해초)][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eaweed, 한=해초, 사진=Terraria/Seaweed(Junk).png, v=1.2.4, 희소=gray, ID=2338, 유형=아이템)][include(틀:t낚시)] 낚시 효율 50 미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낚시)] 낚시하는 물의 타일이 300타일 미만[*꿀]일 때}}}||<^|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깡통)][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in Can, 한=깡통, 사진=Terraria/TinCan.png, v=1.2.4, 희소=gray, ID=2339, 유형=아이템)][include(틀:t낚시)] 낚시 효율 50 미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낚시)] 낚시하는 물의 타일이 300타일 미만[*꿀]일 때}}}|| 낚시를 할 때 건질 수 있는 쓰레기들. 낚시 효율이 너무 낮다면 걸릴 수 있다. 낚일때 은근히 기분 나쁘다. 이 중 해초의 경우 펫 아이템인 [[테라리아/아이템/장비/보조#해초|해초]]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할 것. 희귀도와 아이콘부터 다르다. 1.4.4 업데이트에서 낚시로 낚은 쓰레기 아이템을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추출기|추출기]]에 넣어 달팽이, 지렁이, 견습생의/장인의 미끼 등의 저급 미끼로 바꿀 수 있게 되어 쓰임새가 생겼다. === 소환 === ==== [[테라리아/보스#보스 소환 아이템|보스 소환 아이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테라리아/보스, 앵커=보스 소환 아이템)] ==== [[테라리아/이벤트#이벤트 발생 아이템|이벤트 발생 아이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테라리아/이벤트, 앵커=이벤트 발생 아이템)] [각주]{{{#!wiki style="margin-bottom: 0px; 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gray; padding: 7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2015년 4월 17일 이전의 저작자는 [[:파일:B0cUTgm.png|이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분류:테라리아/아이템]][[분류:포크 누락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