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테라리아/아이템)][include(틀:테라리아)][목차] == 개요 == 도구(Tools)는 설치 아이템과 상호작용이 가능하거나 특수한 기능을 가진 아이템이다. == 분류 == {{{#!folding 도구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테라리아/아이템/도구)]}}} === [[테라리아/아이템/도구/기본|기본 도구]][anchor(기본 도구)][anchor(곡괭이)][anchor(도끼)][anchor(망치)] ===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기본 도구인 곡괭이\, 도끼\, 망치 등에 대한, 문서명=테라리아/아이템/도구/기본)] === [[테라리아/아이템/장비/보조|보조 장비]][anchor(보조 장비)][anchor(펫)][anchor(광원 펫)][anchor(광산 수레)][anchor(탈것)][anchor(갈고리)] ===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보조 장비인 갈고리\, 탈것\, 펫 등에 대한, 문서명=테라리아/아이템/장비/보조)] === 탐사 및 이동용 도구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형광봉)][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lowstick, 한=형광봉, 사진=Terraria/Glowstick.png, v=1.0.5, 희소=white, ID=282, 유형=광원\, 재료, 스택=999)][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파란 해파리, 문서=몬스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분홍 해파리, 문서=몬스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녹색 해파리, 문서=몬스터,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우비 좀비, 사진=RaincoatZombie.png, 문서=이벤트, h=24px)] (100%) (1-4)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지상의 [[파일:Terraria/Chest.png|height=14px]] 상자 (8.33%) (40-74)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지하세계의 [[파일:Terraria/잠긴 그림자 상자.png|height=14px]] 잠긴 그림자 상자 [br](25%) (15-29)[br]([[파일:Terraria/그림자 열쇠.png|height=16px]] [[테라리아/아이템/소비#그림자 열쇠|그림자 열쇠]] 요구)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파일:Terraria/Pot.png|height=14px]] 항아리[br](항아리가 물 안에 있을 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상인, 문서=NPC, h=24px)] (10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 (밤일 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해골 상인, 문서=NPC, h=24px)] (10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낮이고 달의 위상이 보름이 아닐 때)}}} 광원 아이템으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횃불|횃불]]과 달리 물속에서도 쓸 수 있고 좌클릭을 하면 투척이 된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형광봉을 다시 회수할 수 있으며, 맵을 나갔다가 들어오면 사라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접착식 형광봉)][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ticky Glowstick, 한=접착식 형광봉, 사진=Terraria/StickyGlowstick.png, v=1.0.5, 희소=white, ID=286, 유형=광원, 스택=999)][include(틀:t조합)] 5개 = [include(틀:t캡션, 이름=형광봉, 사진=Glowstick.png, 문서=아이템/도구,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젤, 문서=아이템/재료)] @ 손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파일:Terraria/설원 항아리.png|height=14px]] 설원 항아리[br](항아리가 물 안에 있을 때)}}} 표면에 끈적이는 젤을 바른 형광봉으로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블록|블록]]에도 쩍 달라붙는다. 이때, 붙어있는 블록이 파괴될 경우 그대로 떨어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튀는 형광봉)][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ouncy Glowstick, 한=튀는 형광봉, 사진=Terraria/BouncyGlowstick.png, v=1.3.0.1, 희소=white, ID=3112, 유형=광원, 스택=999)][include(틀:t조합)] 5개 = [include(틀:t캡션, 이름=형광봉, 사진=Glowstick.png, 문서=아이템/도구,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분홍 젤, 문서=아이템/재료)] @ 손}}} 형광봉의 효과를 내면서 지형에 통통 튀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동굴 탐험가의 형광봉)][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pelunker Glowstick, 한=동굴 탐험가의 형광봉, 사진=Terraria/SpelunkerGlowstick.png, v=1.3.0.1, 희소=blue, ID=3002, 유형=광원, 스택=999)][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해골 상인,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50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밤이거나 달의 위상이 보름일 때)}}} 들고 있거나 던질 경우 주변의 [[테라리아/아이템/재료#광물|광물]], [[테라리아/아이템/재료#보석|보석]],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상자|상자]] 등 보물형 개체가 빛을 낸다. 들고 있는 것만으로도 거의 화면 내의 주변 가치가 있는 개체를 확인할 수가 있으며 이 범위가 [[#마법 랜턴|마법 랜턴]]보다도 넓으므로 [[테라리아/이벤트#달의 군주|달의 군주]]의 전문가 모드 아이템인 [[테라리아/보스#수상해 보이는 촉수|수상해 보이는 촉수]]를 얻기 전까지 유용하게 사용하게 될 아이템이다. 물론 형광봉이라서 던질 수 있으므로 살 수 있다면 다량을 확보해 놓는 것이 좋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요정 형광봉)][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airy Glowstick, 한=요정 형광봉, v=1.4.0.1, 희소=blue, ID=4776, 유형=광원, 스택=999)][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동물학자, 문서=NPC, h=24px)] (7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세 종류의 [[테라리아/몬스터#요정|요정]]이 생물 도감 사전에 기록되었을 때)}}} 던지는 것 까지는 형광봉과 동일하나 블록에 닿으면 일정 높이 위로 올라가 빛을 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뱀 부리는 자의 플루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nake Charmer's Flute, 한=뱀 부리는 자의 플루트, v=1.4.0.1, 희소=blue, ID=4776, 유형=도구, 스택=1)][include(틀:t보물)] 사막 지하의 [[파일:Terraria/사암 상자.png|height=14px]] 사암 상자 (14.29%)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오아시스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신기루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12.5%)}}} 사용하면 사정거리 내의 지면에 항아리 하나가 생기고 거기서 기다란 뱀이 솟아오른다. 뱀은 중간에 있는 블록에 닿거나 최대 80블록까지 올라가면 멈추며, 멈추고나면 미약한 빛을 내면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로프|로프]]처럼 취급돼서 타고 오르내릴 수 있다. 소환된 뱀은 약 25초가 지나면 자동으로 사라진다. 아무것도 없는 맨땅에서 뱀이 나타나 솟아나기 때문에 [[테라리아/지형#하늘섬|하늘섬]]을 탐색하는 등 높이 올라가야할 일이 있을 때 유용하게 이용되며, 뱀이 사라지기 전까지는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로프|로프]]와 동일하게 취급돼서 그 주변에 블록을 배치할 수도 있기 때문에 지면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구조물을 짓고자 할 때도 밑작업용으로 간편하게 쓸 수도 있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마법 거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agic Mirror, 한=마법 거울, v=1.0, 희소=blue, ID=50, 유형=도구\, 재료, 스택=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유리,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금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백금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다이아몬드, 문서=아이템/재료, h=16px)] (3) @ [include(틀:t캡션, 이름=용광로,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지하, 대동굴의 [[파일:Terraria/황금 상자.png|height=14px]] 황금 상자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최초로 스폰 시 인벤토리에 자동 지급[br](여행 모드에서)}}}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얼음 거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Ice Mirror, 한=얼음 거울, 사진=Terraria/IceMirror.png, v=1.3.0.1, 희소=blue, ID=3199, 유형=도구\, 재료, 스택=1)][include(틀:t보물)] 설원 지하의 [[파일:Terraria/얼어붙은 상자.png|height=14px]] 얼어붙은 상자}}}|| 일종의 포탈. 사용하면 지정된 최초 스폰 장소나 지정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침대|침대]]로 텔레포트를 한다. 예전엔 대동굴을 들쑤시고 다니면서 상자를 찾는 가장 큰 이유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이것 하나 때문에 일부러라도 대동굴의 황금 상자를 찾았으나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2.4|1.2.4]] 버전 업데이트로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귀환 포션|귀환 포션]]이 추가되고,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3]] 버전 업데이트로 설원 지하에서 발견 가능한 얼음 거울이 추가되었으며,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4.4|1.4.4]] 버전 업데이트로 마법 거울의 조합 레시피가 추가되면서 어거지로 동굴 탐험을 해야 할 일이 많이 줄어들었다.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PDA|PDA]]와 합쳐서 후술할 [[#휴대전화|휴대전화]]를 제작할 수 있다. 소모품이 아니라서 무한정 쓸 수 있는 대신 시전시간이 1초 정도 있어서 급할 때 탈출하려다 그 사이에 맞아 죽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특히 달의 군주전에선 이러한 단점이 더욱 부각된다. 만일 간호사에게 치료받아야 하는데 실수로 치료버튼을 누르지 않고 이걸 한번 더 써버리면 쓰는동안 치료를 받지 못해 죽는 불상사가 날 수 있기 때문. 그래서 이것만 쓴다 하더라도 달의 군주전 때만큼은 귀환 포션을 쓰는것을 권장한다.] 같은 효과의 포션인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귀환 포션|귀환 포션]]은 쓰는 즉시 귀환하는 대신 소모품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휴대전화)][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ell Phone, 한=휴대전화, 사진=Terraria/CellPhone.png, v=1.3.0.1, 희소=lime, ID=3124, 유형=도구\, 재료, 스택=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PDA, 문서=아이템/장비/장신구,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마법 거울, 문서=아이템/도구,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얼음 거울, 사진=IceMirror.png, 문서=아이템/도구, h=16px)]][br]@ [include(틀:t캡션, 이름=땜장이의 작업장,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소지하고 있으면 시간, 높이, 좌표, 날씨, 낚시 효율, [[테라리아/시스템#달의 위상|달의 모양]], 속도, DPS, 보물 탐지, 적의 수, 희귀 생물체 감지, 죽인 몹 수 총 12가지의 모든 정보를 볼 수 있으며, 들고 사용하면 지정된 최초 스폰 장소나 지정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침대|침대]]로 텔레포트를 할 수 있다. 재료 아이템들을 보면 알겠지만 상당히 얻기가 힘든 아이템이다. 게임을 빠르게 진행하다 보면 여행상의 물건이나 낚시 퀘스트 장신구 한두 개가 부족한 경우가 생기니, 평소에 잘 얻어두는 것이 중요하다. [[테라리아/NPC#낚시꾼|낚시꾼]]의 좋은 아이템 보상은 5회 단위로 지급되며 다른 세계에서 퀘스트를 해도 퀘스트 정보는 캐릭터 정보에 저장되므로 하루 기다리는 게 귀찮다면 새로 맵을 파서 하는 것을 이용해 보다 빠르게 얻을 수 있다. 만들고 난 후에는 휴대폰 하나로 실시간으로 12개의 정보가 뜬다는 점과 거울 기능인 집으로 돌아가는 점 덕분에 매우 편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마법의 소라고둥)][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agic Conch, 한=마법의 소라고둥, 사진=Terraria/MagicConch.png, v=1.4.0.1, 희소=blue, ID=4263, 유형=도구\, 재료, 스택=1)][include(틀:t보물)] 사막 지하의 [[파일:Terraria/사암 상자.png|height=14px]] 사암 상자 (14.29%)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오아시스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신기루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12.5%)}}} [[#마법 거울|마법 거울]]의 바다 버전으로, 사용하면 자신을 기준으로 더 먼 바다의 해변으로 텔레포트를 한다.[* 정확히는 맵 양쪽 끝의 '드러난 지면'위로 이동된다. 따라서 바다 안쪽으로 잠수당하진 않는다. 다만 낚시 등을 위해서 바다 쪽에 지면이 드러난 발판을 만들어뒀을 경우 그 위로 이동될 수는 있다.] 모티브는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마법의 소라고동]]--님--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악마의 소라고둥)][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emon Conch, 한=악마의 소라고둥, 사진=Terraria/DemonConch.png, v=1.4.0.1, 희소=lightcoral, ID=4819, 유형=도구\, 재료, 스택=1)][include(틀:t낚시)] 용암}}} 바로 위의 마법의 소라고둥과 비슷한 아이템이나, 이동 장소가 [[테라리아/지형#지하세계|지하세계]] 중앙이다. 지하세계 중앙에서 좌우 200피트 이내에 가로로 3타일, 세로로 2타일 이상의 안전한 발판이 없다면 텔레포트가 안 된다.[* 지하세계는 보통 가운데에 지형지물이 몰려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월드에서는 이런 일은 별로 없지만, 05162020 시드의 월드의 경우 지하세계의 지형지물들이 양 옆으로 밀리기 때문에 이런 일이 생길 수도 있다.] 용암 낚시 획득 아이템이라 이걸 얻을때 쯤이면 이미 헬레베이터나 텔레포터로 지하세계 이동 방안을 마련해 놔서 그렇게 쓸모있어 보이지는 않지만 새로 파밍용 월드를 만들었을 때 땅을 파지 않고도 월 오브 플래시를 잡으러 갈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또한 1.4.4 버전 업데이트로 추가된 아래의 껍데기폰의 재료가 되기 때문에 결국 하나는 낚게 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껍데기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hellphone, 한=껍데기폰, v=1.4.4, 희소=yellow, ID=5437, 유형=도구, 스택=1)][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휴대전화, 사진=CellPhone.png, 문서=아이템/도구,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마법의 소라고둥, 사진=MagicConch.png, 문서=아이템/도구,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악마의 소라고둥, 사진=DemonConch.png, 문서=아이템/도구,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땜장이의 작업장,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2> '''{{{#fff {{{-2 이름}}}}}}''' || '''{{{#fff {{{-2 효과}}}}}}''' || || [[파일:Terraria/ShellphoneSpawn.png]] || {{{-2 껍데기폰 (스폰)}}}[br]{{{-3 (Shellphone (Spawn))}}} ||{{{-2 세계 생성 시 처음 스폰된 곳으로 텔레포트한다.}}}|| || [[파일:Terraria/ShellphoneHome.png]] || {{{-2 껍데기폰 (집)}}}[br]{{{-3 (Shellphone (Home))}}} ||{{{-2 리스폰 위치로 설정되어있는 침대로 텔레포트한다.}}}|| || [[파일:Terraria/ShellphoneOcean.png]] || {{{-2 껍데기폰 (바다)}}}[br]{{{-3 (Shellphone (Ocean))}}} ||{{{-2 바다로 텔레포트한다.}}}|| || [[파일:Terraria/ShellphoneUnderworld.png]] || {{{-2 껍데기폰 (지하세계)}}}[br]{{{-3 (Shellphone (Underworld))}}} ||{{{-2 지하세계로 텔레포트한다.}}}|| 소지하고 있으면 시간, 높이, 좌표, 날씨, 낚시 효율, [[테라리아/시스템#달의 위상|달의 모양]], 속도, DPS, 보물 탐지, 적의 수, 희귀 생물체 감지, 죽인 몹 수 총 12가지의 모든 정보를 볼 수 있으며, 우클릭을 하여 텔레포트 장소를 변경할 수 있다. 이름은 [[휴대 전화]]를 미국식으로 부르는 Cell Phone의 말 장난으로 보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불화의 막대)][anchor(불화의 지팡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Rod of Discord, 한=불화의 지팡이, v=1.2, 희소=lime, 과정=ⓗ, ID=1326, 유형=도구, 스택=1)][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혼돈의 정령, 문서=몬스터, h=24px)] (0.2% / {{{#E80 0.25%}}})}}} 사용 시 마우스 커서가 있는 곳으로 화면 내 어디든지 막힌 곳만 아니라면 순간이동을 한다. 소환사의 경우, 이거 하나만 있으면 어지간해서 보스전 때 맞아 죽는 일은 없어진다. 마나를 소모하지 않는 대신 '[[테라리아/버프 및 디버프#혼돈 상태|혼돈 상태]]'라는 디버프가 6초 동안 걸리며 이 디버프가 걸려 있을 동안에 또 사용하면 방어력을 무시하고 전체 체력의 1/7(콘솔은 1/6)이 대가로 희생된다. 마구잡이로 쓰다가는 죽을 수가 있으며 위기 상황일 때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그래도 쿨타임 6초짜리 [[점멸]]이 생기는 셈이라 나오기만 한다면 무척이나 유용하다. 특히 [[테라리아/아이템/무기/소환#테라프리즈마|테라프리즈마]] 파밍을 위해 [[테라리아/보스#빛의 여제|빛의 여제]]를 낮에 상대하는 경우 모든 공격 패턴이 [[즉사기]]로 변하기 때문에 불화의 지팡이의 가치는 더욱 상승한다. 특히 2페이즈의 패턴 연계를 도저히 못 피하겠다 하는 플레이어들에겐 준 필수 아이템으로 고려된다. 불화의 지팡이 연속 사용으로 인한 피해는 플레이어의 방어력과 관계없이 무조건 7분의 1이기 때문에, 일부러 낮은 체력을 유지해서 버프를 받는 빌드[* 플레이어의 체력이 50% 이하일 때 받는 피해를 25% 줄이는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얼어붙은 거북 등딱지|얼어붙은 거북 등딱지]], 같은 조건에서 이동 속도가 2배가 되고 공격력 15% 증가 버프가 걸리는 [[테라리아/보스#새우 송로버섯|큐트 피시론]] 등.]로 플레이할 경우 체력을 쉽게 대량으로 깎는 용도로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이런 점 때문에 1.4.4에서 불화의 지팡이의 성능은 유지하면서 디메리트만 없어진 상위 호환 아이템 [[#조화의 지팡이|조화의 지팡이]]가 나왔는데도 불화의 지팡이를 선호하는 경우도 없지는 않을 정도. 불화의 지팡이를 사용하여 죽으면 머리와 다리가 바뀌었다는 메시지가 띄워진다. 남용하면 부작용으로 신체가 크게 손상되는 듯. 이외에 "★★님의 형체가 구현되지 못했습니다." 같은 메시지도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쿼드 레이서 드론)][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사진=Terraria/KwadRacerDrone.png, 영=Kwad Racer Drone, 한=쿼드 레이서 드론, 스택=1, v=1.4.4, ID=5451, 희소=orange, 과정=ⓗ, 유형=도구)][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사이보그, 문서=NPC, h=24px)] (10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사용 시 이동 키로 조종할 수 있는 드론이 생성된다. 생성된 드론은 조종범위가 무한이고, 블록에 막힌곳이 아니면 날아서 어디든 갈 수 있다. 다만 이동경로를 확인하지는 못하며,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FPV 고글|FPV 고글]]을 구매해야 이동경로를 볼 수 있으므로 사실상 한 쌍이다. 마우스 좌클릭이나 다른 아이템을 들면 드론이 즉시 폭발한다. [* 폭발할 때 주변에 피해는 주지 않는다.] 우주 높이까지 올라가면 드론이 폭발하며 관련 도전과제가 해금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포탈건)][anchor(불화의 지팡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ortal Gun, 한=포탈건, 사진=Terraria/PortalGun.png, v=1.3.0.1, 희소=yellow, 과정=ⓗ, 자동=↻, ID=3384, 유형=도구, 스택=1)][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달의 군주, 문서=보스/달의 군주, 파생=축소)] (100%)}}} 게임 [[Portal(게임)|포탈]]의 [[첼|주인공]]이 들고 실험실을 통과하는 데에 사용되었던 그 포탈건이다. 왼쪽 마우스를 눌러서 오렌지 포탈을,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서 블루 포탈을 생성한다[* [[포탈 시리즈]] 내에서는 왼쪽 버튼이 블루 포탈이며 오른쪽 버튼이 오렌지 포탈이다.] [[테라리아/시스템#멀티플레이|멀티]]의 경우 색상이 랜덤하게 결정된다. 기본적으로 캐릭터의 키가 3블록이므로 이와 같이 3블록의 평평한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블록|블록]]이 있어야 하며 이것은 [[#망치|망치]]를 통해 경사면이나 반 블록으로 다듬어진 블록 면에도 포탈을 형성할 수 있다. 탈것을 타고있는 상태에서는 포탈을 넘나들 수 없으며 [[테라리아/몬스터|몬스터]] 또한 포탈을 이용할 수 없으나, [[테라리아/NPC|NPC]]들은 포탈을 넘나들 수 있다. 포탈건을 든 상태면 테라리아 특유의 붕 뜨는 물리가 아닌 보다 현실적이며 운동력이 보존되는 물리 시스템이 작용된다. 또한 포탈을 넘나드는 그 순간에 착지할 때까지는 포탈건을 들고 있지 않더라도 해당 물리 시스템이 작용된다. 다만 여기서 탈것을 탑승할 경우에는 즉시 원래 테라리아의 물리 시스템이 작용된다. 정확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최대 낙하 속도가 3.5배(51mph에서 179mph)만큼 늘어난다. * 체공 중 여러 수단을 통한 수평 이동 운동량과 관성이 유지된다. 낙하 속도가 어마어마하게 높아지므로 지상에서 [[테라리아/지형#지옥|지옥]]까지의 [[테라리아/공략#헬레베이터|헬레베이터]]를 만들어두었다면 지옥까지 단 수 초만에 도달할 수 있으며 체공 상태에서는 속력이 유지되므로 그것을 이용해 높은 속력을 유지하면서 천천히 떨어지지 않게 날갯짓하면서 어마어마하게 먼 거리를 순식간에 횡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방해받지 않는 한 이동속도가 절대로 불변하는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얼어붙은 슬라임 블록|얼어붙은 슬라임 블록]]을 배치하고 최대 낙하 속도까지 끌어올리면 179mph라는 어마어마하게 빠른 속도로 추가적인 수단 없이 횡단이 가능하다[* 또한 여러 가지 요인을 이용하여 속력을 [[https://youtu.be/TogW_M9e00Q|3,000mph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만들어진 포탈로부터 1600피트(800블록) 정도 멀어지면 그 포탈은 사라져버리므로 소형 맵에서도 각 끝 [[테라리아/지형#바다|바다]]와 [[테라리아/지형#바다|바다]]를 서로 이을 수는 없다. 일단 포탈건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소재인지라 직접 포탈건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포탈 전용 맵을 만들기도 한다. 대개 낙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의 롱 폴 부츠를 대체하는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행운의 말굽|행운의 말굽]]을 지급해주는 것이 기본.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1.3.1]] 이후로 전기 관련 아이템이 가득 늘어났기에 더욱 복잡한 설계가 가능해졌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조화의 막대)][anchor(조화의 지팡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Rod of Harmony, 한=조화의 지팡이, 사진=Terraria/RodofHarmony.png, v=1.4.4, 희소=red, 과정=ⓗ, ID=5335, 유형=도구, 스택=1)][include(틀:t기타)] [[#불화의 지팡이|불화의 지팡이]]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br]([[달의 군주]] 격파 이후)}}} 불화의 지팡이의 강화판으로, 1.2 당시의 불화의 지팡이처럼 혼돈 디버프가 걸리지 않고 체력도 닳지 않아 무한대로 사용할 수 있다. === 낚싯대 === 물속에 미끼를 던져서 [[테라리아/아이템/재료#물고기|물고기]], [[테라리아/아이템/소비#쓰레기|쓰레기]], [[테라리아/아이템/소비#크레이트|크레이트]] 등을 낚는 데 사용되는 도구.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2.4|1.2.4]]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 [[테라리아/몬스터#미끼|미끼]]가 있어야 하며 동시에 많은 양의 물이 담겨진 곳을 찾아야 한다. 낚시를 하려면 일반적인 환경일 경우 최소 '''75타일''' 이상의 물이 필요하며,[* [[테라리아/지형#바다|바다]]의 경우 1000타일, [[테라리아/아이템/설치#꿀|꿀]] 낚시의 경우 50타일이 필요하다.] 물의 양이 적다면 쓰레기가 낚일 확률이 높아지고 동시에 좋은 물고기를 얻을 확률은 낮아진다. 최소 타일인 75타일에서는 무려 낚시 효율이 75%나 감소하므로 세팅이 잘 되어 있을수록 큰 손해를 본다. 따라서 좋은 물고기를 얻을 확률은 낚싯대와 미끼의 높은 효율도 중요하지만 물이 얼마나 존재하는가 또한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https://terraria.wiki.gg/wiki/Fishing|공식 위키]]에 따르면 낚시터의 물이 300타일 이상이면 물의 양으로 인한 페널티가 생기지 않는다. 물의 양에 따른 낚시 효율 감소 수치는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낚시꾼의 작은 책자|낚시꾼의 작은 책자]] 및 상위 장신구 아이템을 인벤토리에 소지하고 낚시를 하면 '낚시 효율: ○○(-N% 감소)' 와 같은 방식으로 표기되며 공식은 수면 및 용암에서 낚시 효율×(웅덩이의 타일 수/300) 이고, 꿀 웅덩이에서 낚시 효율×(웅덩이의 타일 수/200)이다. 낚시터에 고인 물의 양을 잴 때는 '''일직선으로 이어진 수면'''을 기준으로, '''곧장 내려가 그 바로 아래 지면'''까지의 타일 수를 센다. || ||{{{#white ↓}}}||{{{#white ↓}}}||{{{#white ↓}}}||{{{#white ↓}}}|| || || || ||{{{#white ↓}}}||{{{#white ↓}}}||{{{#white ↓}}}||{{{#white ↓}}}|| || || || ||{{{#white ↓}}}||{{{#white ↓}}}||{{{#white ↓}}}||{{{#white ↓}}}||{{{#red X}}}||{{{#red X}}}|| || ||{{{#white ↓}}}||{{{#white ↓}}}||{{{#white ↓}}}||{{{#white ↓}}}||{{{#red X}}}||{{{#red X}}}|| || || || ||{{{#white ↓}}}||{{{#white ↓}}}||{{{#red X}}}||{{{#red X}}}|| || ||{{{#red X}}}||{{{#red X}}}||{{{#white ↓}}}||{{{#white ↓}}}||{{{#red X}}}||{{{#red X}}}|| || || || || || || || || 예를 들어 위 표에서 __물의 양__으로 계산되는 부분은 파란색 물 타일들 중 아래쪽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이다. 빨간색 X표({{{#red X}}})로 표시된 부분들은 수면이 __일직선으로 이어져있지__ 않거나, __아래로 곧장 내려갔을 때__ 닿지 않는 위치이기 때문에 현재 낚시 중인 낚시터에 고인 물로는 세지 않는다. 따라서 실제 물의 양이 비슷하더라도 뿔 모양으로 휘어진 물보다는 그릇 모양으로 고인 물이 낚시터로서 유리하다. 겉보기 물의 양이 많아 보이는데 이상하게 낚시 효율이 잘 안 나온다면 돌출된 부분의 지형을 깎아 수면을 일직선으로 만드는 것도 한 방법이다. 낚시를 하기 위해 인벤토리에 미끼를 적어도 하나 이상 소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원하는 물웅덩이를 향해 찌를 던지면 된다. 어느 정도 기다리면 찌가 순간적으로 거품 소리를 내며 움직이는데, 이때 즉시 들어올리면 찌와 함께 걸린 물고기를 비롯한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 무언가가 걸렸는지의 여부와 관계 없이 반응에 의하여 찌를 올릴 때마다 미끼가 하나 소모될 확률이 있다. 1.4 버전 이전에는 낚시 버그가 존재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YZkwm3ZrE4|동영상 설명]] {{{#!folding 방법과 원리 ▼ 1. 일단 겹쳐지는 템을 많이 준비한다. 은화 1닢을 동화 100닢으로 만들어서 동화 1닢씩 버려도 되기에, 게임 극초반에 아직 채굴한 것이 없다면 은화 1닢만 벌자. 1. 환경설정에서 자동정지(Autopause)를 켠다. 1. 낚싯대를 든 다음에 인벤토리를 열고 우클릭으로 아까 그 아이템 중 하나만 골라 우클릭으로 버려준다. 낚시찌를 던지고 인벤토리를 열어도 되지만, 그냥 손에 들기만 해도 된다. 1. 인벤토리를 닫으면 버릴 때마다 '''찌가 마우스 커서 방향으로 2개씩 추가된다.''' 원리는 다음과 같다. 자동정지(Autopause)를 켜고 아이템을 버리게 되면 들고 있는 아이템을 흔드는 모션과 함께 버리게 되는데, 돈 여물통처럼 흔드는 모션과 함께 사용하게 되는 아이템의 경우 커서 방향으로 아이템을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곡괭이 같은 것은 적용되지 않는 듯하다. 소환 무기의 경우 아이템을 버린 방향으로 [[https://youtu.be/HGOoVBKJrw0?t=75|소환수의 공격이 날아가기에]] 타켓팅하는 마법 무기처럼 쓸 수도 있다.] 낚싯대의 경우 이게 낚시찌를 던지는 모션이기에, 자연스레 아이템을 버리면 그 방향으로 낚싯대를 또 던지게 되는 것. 그리고 이 방법으로 포션을 손에 들고 아이템을 버리면 포션이 쿨타임 없이 써진다. 이게 개별적인 낚시 시도로 처리되기 때문에 낚이는 것도 각 찌마다 다르게 낚인다. 낚싯대를 그물로 만들어주는 버그인 셈. 다만 미끼도 그에 비례해서 빨리 사라지지만 좋은 낚싯감을 많이 낚을 확률을 그만큼 높일 수 있는 셈이니 절대 손해는 아니다. 보통은 낚싯대의 성능에 따라 미끼가 소모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이 버그를 쓸 경우엔 낚아올렸다 하면 바로 미끼가 사라진다. 한 번에 몇 개가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보통 낚시찌 수에 비례하여 미끼가 사라지니, 미끼를 미리 많이 채취해두자. 사실 이 버그를 이용하면 상자도 많이 낚이기에 나중에는 상자에서 뜯어낸 미끼들을 사용하게 된다. 퀘스트 아이템을 한꺼번에 많이 낚는 것도 가능하다. 퀘스트 아이템은 현재 인벤토리에 없으면 낚이는 것이므로, 한 번 낚았어도 상자나 저금통 등에 넣어두기만 하면 또 낚을 수 있다. 낚시 퀘스트는 해당 세계에 접속하는 모든 플레이어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여러 플레이어를 만들어 두고 보상을 계속 받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결국 패치로 버그가 수정됐고, 낚시의 진가인 크레이트도 밸런스 조정이 됐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나무 낚싯대)][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ood Fishing Pole, 한=나무 낚싯대, v=1.2.4, 희소=white, ID=2289, 유형=도구)][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나무,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가장 낮은 등급의 낚싯대. 5%의 낚시 효율을 지녔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강된 낚싯대)][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Reinforced Fishing Pole, 한=보강된 낚싯대, v=1.2.4, 희소=white, ID=2291, 유형=도구)][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철/납]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15%의 낚시 효율을 지녔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영혼을 낚는 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isher of Souls, 한=영혼을 낚는 자, v=1.2.4, 희소=blue, ID=2293, 유형=도구)][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데모나이트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20%의 낚시 효율을 지녔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고기잡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leshcatcher, 한=고기잡이, v=1.2.4, 희소=blue, ID=2421, 유형=도구)][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크림테인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22%의 낚시 효율을 지녔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미끼를 던지는 자)][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hum Caster, 한=미끼를 던지는 자, v=1.4.0.1, 희소=green, ID=4325,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좀비 어인, 문서=이벤트,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방황하는 눈 물고기, 문서=이벤트, h=16px)] (12.5%)}}} 25%의 낚시 효율을 지녔으며 [[테라리아/이벤트#블러드 문|블러드 문]]이 뜰 동안 몬스터를 낚을 확률을 두 배로 증가시킨다. 해당 특성 때문에 황금 낚싯대를 얻고 난 이후에도 수요가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풍뎅이 낚싯대)][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carab Fishing Rod, 한=풍뎅이 낚싯대, 사진=Terraria/ScarabFishingRod.png, v=1.4.0.1, 희소=blue, ID=4442, 유형=도구)][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오아시스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신기루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br](12.5%)}}} 30%의 낚시 효율을 지녔다. 사막 크레이트에서만 얻을 수 있어 획득이 어렵다 보니 잘 사용되지는 않는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유리섬유 낚싯대)][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iberglass Fishing Rod, 한=유리섬유 낚싯대, v=1.2.4, 희소=green, ID=2292, 유형=도구)][include(틀:t보물)] 정글 지하의 [[파일:Terraria/넝쿨 상자.png|height=14px]] 넝쿨 상자 (6.53%)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정글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가시덤불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19%)}}} 30%의 낚시 효율을 지녔다. 정글에서 돌아다니다 보면 얻을 수 있다는게 장점이긴 하지만 확률이 원체 낮다보니 운이 없으면 초반엔 얻기 힘들고, 정글 크레이트를 깔 때쯤이면 이것보다 훨씬 좋은 낚시대를 가지고 있을 것이니 의미가 없다. 본래는 22%였으나 상향되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기계공의 낚싯대)][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echanic's Rod, 한=기계공의 낚싯대, v=1.2.4, 희소=green, ID=2295, 유형=도구)][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기계공, 문서=NPC, h=24px)] (20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달의 위상이 하현망간, 그믐, 초승, 상현망간일 때)}}} 35%의 낚시 효율을 지녔다. 황금 낚싯대를 제외하면 고성능 낚싯대 중 획득이 가장 쉽다 보니 애용된다. 과거에는 낚시 파워도 5% 낮았으며, 달의 위상이 그믐일때만 팔았던데다 육분의 같은 것도 없던 시절이라 일일이 달을 확인해야 해서 구하기가 굉장히 어려웠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시팅 덕의 낚싯대)][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itting Duck's Fishing Pole, 한=시팅 덕의 낚싯대, v=1.2.4, 희소=green, ID=2296, 유형=도구)][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행상인, 문서=NPC, h=24px)] (3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스켈레트론 격파 이후)}}} 40%의 낚시 효율을 지녔다. 황금 낚싯대와 핫라인 낚싯대 다음으로 성능이 좋은 낚싯대이지만 하필 획득법이 행상인이다 보니 획득 시기가 복불복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핫라인 낚싯대)][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Hotline Fishing Hook, 한=핫라인 낚싯대, v=1.2.4, 희소=orange, ID=2422, 과정=ⓗ, 유형=도구)][include(틀:t기타)] 낚시꾼 퀘스트 25번 완료 이후 (1%)[br](하드모드에서)}}} 황금 낚싯대 다음가는 두번째로 높은 등급의 낚싯대. 45%의 낚시 효율을 지녔다. 낚싯대 자체의 특성으로 [[테라리아/아이템/설치#용암|용암]]에서만 사는 물고기를 낚을 수 있도록 해준다. 습득 확률이 낮고 그나마도 하드 모드에만 획득이 가능해 황금 낚싯대보다 더욱 늦은 시기에 얻는다. [[테라리아/아이템/설치#용암|용암]]에서 낚을 수 있는 물고기는 총 세 종류인데 이 중 [[테라리아/아이템/재료#화염지느러미 잉어|화염지느러미 잉어]], [[테라리아/아이템/재료#흑요어|흑요어]]는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화염고리 포션|화염고리 포션]]의 재료로 쓰이나, 포션 자체는 지옥의 그림자 상자에서도 얻을 수 있고 [[테라리아/보스#피시론 공작|피시론 공작]] 사냥 등 특수한 용도 외에는 실질적인 쓸모가 거의 없어 필요성이 떨어진다. 마지막 하나인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흑요석 황새치|흑요석 황새치]]는 창 계열의 무기인데 공격력이 준수하고 치명타율 24%이라는 막강한 능력치를 가지지만 그걸 낚아올릴 수 있는 핫라인 낚싯대가 해당 무기를 쓰기 적당한 시기를 아득히 넘겨서 발견될 정도로 극악한 확률을 자랑하기에 능력치가 뒤지지 않으면서도 활용성은 더 넓은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사이코 칼|사이코 칼]]이나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진정한 엑스칼리버|진정한 엑스칼리버]]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래도 1.4 버전 패치로 용암에서만 낚을 수 있는 아이템들이 많이 생겼으며, 화염지느러미 잉어와 흑요어는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해산물 정식|해산물 정식]]을 만드는 데에도 쓰이게 되었으며, 여기에 흑요어는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귀환 포션|귀환 포션]]의 상위 호환인 [[테라리아/아이템/소비#왕래 포션|왕래 포션]]의 재료로 쓰이는 등 용암 낚시의 이점이 올라갔다는 것이 위안거리. 황금 낚싯대는 있는데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용암 낚싯바늘|용암 낚싯바늘]]이 없고 일반 미끼로 낚시하려면 이 낚싯대를 쓰거나 적어도 지옥에서 출현하는 크리터를 미끼로 쓰는 방법밖에 없다. 용암 낚싯바늘 자체를 얻으려면 용암 낚시를 해야하는 것도 있고. 숨겨진 효과로 용암 낚시바늘이나 용암 낚시 도구 가방과 같이 사용하면 용암에서 무언가를 낚을 확률이 50% 상승한다. 즉, 무엇인가를 더 빨리 낚아올릴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황금 낚싯대)][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olden Fishing Rod, 한=황금 낚싯대, v=1.2.4, 희소=orange, ID=2294, 유형=도구)][include(틀:t기타)] 낚시꾼 퀘스트 30번 완료 시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낚시꾼 퀘스트 75번 완료 이후 (0.4%)}}} 가장 높은 등급의 낚싯대. 50%의 낚시 효율을 지녔다. 가장 성능이 좋으면서도 확정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획득하는 순간 [[테라리아/이벤트#블러드문|블러드문]] 낚시가 아니고서야 모든 낚시는 이 낚싯대로 진행된다. === 페인트 도구 ===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블록|블록]]과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가구]],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벽면|벽면]]에 페인트를 칠하고 지우는 도구. [[테라리아/NPC#화가|화가]] NPC에게 페인트 도구를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다. 블록에 색을 칠할 경우 해당 블록에 의해 생기는 부산물도 색이 바뀐다.[* 잔디 위에서 자라는 잡초나 덩굴, [[테라리아/아이템/소비/포션#버섯|버섯]], [[테라리아/아이템/재료#염료 제작 재료|염료 제작 재료]],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나무|나무]] 등.]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페인트붓)][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aintbrush, 한=페인트붓, v=1.2, 희소=white, 자동=↻, ID=1071, 유형=도구)][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페인트와 함께 사용하여 블록과 가구의 색을 변경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유령의 페인트붓)][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pectre Paintbrush, 한=유령의 페인트붓, v=1.2, 희소=white, 자동=↻, ID=1543, 과정=ⓗ, 유형=도구)][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유령의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페인트붓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범위가 3만큼 증가하였다. 페인트와 함께 사용하여 블록의 색을 변경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페인트 롤러)][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aint Roller, 한=페인트 롤러, v=1.2, 희소=white, 자동=↻, ID=1072, 유형=도구)][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페인트와 함께 사용하여 벽면의 색을 변경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유령의 페인트 롤러)][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pectre Paint Roller, 한=유령의 페인트 롤러, v=1.2, 희소=white, 자동=↻, ID=1544, 유형=도구)][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유령의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페인트 롤러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범위가 3만큼 증가하였다. 페인트와 함께 사용하여 벽면의 색을 변경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페인트 긁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aint Scraper, 한=페인트 긁개, v=1.2, 희소=white, 자동=↻, ID=1100, 유형=도구)][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페인트칠한 블록과 가구, 벽면을 지우는 데 사용한다. 별도로 돌에서 자라는 이끼를 떼어내는 기능이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유령의 페인트 긁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pectre Paint Scraper, 한=유령의 페인트 긁개, v=1.2, 희소=white, 자동=↻, ID=1545, 유형=도구)][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유령의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8) @ [include(틀:t캡션, 이름=하드모드 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페인트 긁개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범위가 3만큼 증가하였다. 페인트칠한 블록과 벽면을 지우는 데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이끼를 떼어낼 수 있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페인트)][anchor(빨간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Red Paint, 한=빨간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73,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2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주황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Orange Paint, 한=주황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74,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2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노란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Yellow Paint, 한=노란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75,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2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라임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ime Paint, 한=라임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76,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2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초록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reen Paint, 한=초록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77,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2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암록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eal Paint, 한=암록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78,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2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청록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yan Paint, 한=청록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79,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2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하늘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ky Blue Paint, 한=하늘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80,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2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파란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lue Paint, 한=파란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81,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2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자주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urple Paint, 한=자주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82,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2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라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Violet Paint, 한=보라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83,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2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분홍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ink Paint, 한=분홍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84,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2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검은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lack Paint, 한=검은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97,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2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회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ray Paint, 한=회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99,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2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하얀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hite Paint, 한=하얀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98,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2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갈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rown Paint, 한=갈색 페인트, v=1.2.3, 희소=white, 스택=9999, ID=1966,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2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그림자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hadow Paint, 한=그림자 페인트, v=1.2.3, 희소=white, 스택=9999, ID=1967,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50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하드모드에서)}}}||<^|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반전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Negative Paint, 한=반전 페인트, v=1.2.3, 희소=white, 스택=9999, ID=1968,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7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하드모드에서)}}}||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형광 코팅)][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Illuminant Coating, 한=형광 코팅, v=1.4.0.1, 희소=white, 스택=9999, ID=4668,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묘지에서 거주 시)}}}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메아리 코팅)][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Echo Coating, 한=메아리 코팅, v=1.4.4, 희소=white, 스택=9999, ID=5344, 과정=ⓗ, 유형=소비)][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화가, 사진=Painter.png,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플랜테라 격파 이후 묘지에서 거주 시)}}}|| 페인트칠하는 데에 필요한 아이템. 인벤토리에 다른 페인트가 여러 개 있을 경우 왼쪽 위에 있는 것부터 사용되며,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4.4|1.4.4]] 버전 패치로 무슨 페인트가 사용되는지 커서에서 보여준다.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염료통|염료통]]에서 같은 페인트색 2개를 합치면 진한 페인트가 된다. 단 검정색, 회색, 흰색, 갈색, 그림자, 반전, 형광 제외. 메아리 코팅은 메아리 블록과 비슷하게 블록을 투명하게 만든다. 1.4.5 업데이트로 메아리 코팅이 하드모드 이전에서 얻을 수 있게 된다고 한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진한 페인트)][anchor(진한 빨간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eep Red Paint, 한=진한 빨간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85, 유형=소비)][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빨간색 페인트, 문서=아이템/도구, h=16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염료통, 사진=DyeVat.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진한 주황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eep Orange Paint, 한=진한 주황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86, 유형=소비)][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주황색 페인트, 문서=아이템/도구, h=16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염료통, 사진=DyeVat.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진한 노란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eep Yellow Paint, 한=진한 노란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87, 유형=소비)][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노란색 페인트, 문서=아이템/도구, h=16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염료통, 사진=DyeVat.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진한 라임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eep Lime Paint, 한=진한 라임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88, 유형=소비)][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라임색 페인트, 문서=아이템/도구, h=16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염료통, 사진=DyeVat.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진한 초록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eep Green Paint, 한=진한 초록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89, 유형=소비)][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초록색 페인트, 문서=아이템/도구, h=16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염료통, 사진=DyeVat.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진한 암록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eep Teal Paint, 한=진한 암록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90, 유형=소비)][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암록색 페인트, 문서=아이템/도구, h=16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염료통, 사진=DyeVat.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진한 청록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eep Cyan Paint, 한=진한 청록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91, 유형=소비)][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청록색 페인트, 문서=아이템/도구, h=16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염료통, 사진=DyeVat.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진한 하늘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eep Sky Blue Paint, 한=진한 하늘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92, 유형=소비)][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하늘색 페인트, 문서=아이템/도구, h=16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염료통, 사진=DyeVat.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진한 파란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eep Blue Paint, 한=진한 파란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93, 유형=소비)][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파란색 페인트, 문서=아이템/도구, h=16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염료통, 사진=DyeVat.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진한 자주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eep Purple Paint, 한=진한 자주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94, 유형=소비)][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자주색 페인트, 문서=아이템/도구, h=16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염료통, 사진=DyeVat.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진한 보라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eep Violet Paint, 한=진한 보라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95, 유형=소비)][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보라색 페인트, 문서=아이템/도구, h=16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염료통, 사진=DyeVat.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진한 분홍색 페인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eep Pink Paint, 한=진한 분홍색 페인트, v=1.2, 희소=white, 스택=9999, ID=1096, 유형=소비)][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분홍색 페인트, 문서=아이템/도구, h=16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염료통, 사진=DyeVat.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일반적인 페인트 색깔보다 진하다. === 지형 관련 도구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정화 가루)][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urification Powder, 한=정화 가루, v=1.0, 희소=white, ID=66, 스택=99, 유형=도구)][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드라이어드, 사진=Dryad.png, 문서=NPC, h=24px)] (75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블러드 문이 아닐 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불쾌한 가루|불쾌한 가루]]/[[#지독한 가루|지독한 가루]]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테라리아/지형#오염지대|오염지대]]나 [[테라리아/지형#진홍지대|진홍지대]]에 사용하여 일반 지형으로 되돌린다. 초반에 그림자 구체나 진홍색 심장을 캐기 위해 칠흑석이나 심홍석을 정화하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십중팔구는 폭탄으로도 칠흑석, 심홍석을 뚫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데다가 가이드도 정화 가루와 함께 폭탄으로도 가능하다는걸 알려주기 때문에 그냥 폭탄 쓴다. 위쪽처럼 폭탄으로 뚫기 어려운 위치에 있을 때를 제외하면 실제로도 폭탄을 쓰는 쪽이 훨씬 편하다.] [[테라리아/시스템#하드모드|하드모드]]에서 [[테라리아/NPC#세무사|세무사]]를 입주시키는 데에도 필요하다. 참고로 초반부터 이걸로 전염 지대를 완전히 정화시킬 생각은 말자. 어차피 하드모드에 진입 시 전염 지대가 다시 생겨나서 물거품이 되기 때문. 정화는 하드모드 돌입 후 [[테라리아/NPC#스팀펑커|스팀펑커]]한테서 살 수 있는 [[테라리아/아이템/도구#클린태미네이터|클린태미네이터]]로 하고 하드모드 이전에는 해바라기를 심어서 전염을 막는 정도로만 만족하는 게 낫다. 신성지대는 정화가 되지 않는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불쾌한 가루)][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Vile Powder, 한=불쾌한 가루, 사진=Terraria/VilePowder.png, v=1.0, 희소=white, ID=67, 스택=99, 유형=도구\, 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드라이어드, 사진=Dryad.png,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오염지대인 세계에서 블러드 문일 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5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불쾌한 버섯, 사진=VileMushroom.png, 문서=아이템/재료,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유리병, 사진=Bottlecraftingstation.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연금술 탁자,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일반 지형을 [[테라리아/지형#오염지대|오염지대]]로 지배한다. [[테라리아/시스템#하드모드|하드모드]]에선 [[테라리아/지형#신성지대|신성지대]]에 사용하여 일반 지형으로 되돌린다. 또한 [[테라리아/보스#세상을 먹는 자|세상을 먹는 자]]의 소환 아이템 재료로 30개가 들어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지독한 가루)][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Vicious Powder, 한=지독한 가루, 사진=Terraria/ViciousPowder.png, v=1.3.0.1, 희소=white, ID=2886, 스택=99, 유형=도구\, 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드라이어드, 사진=Dryad.png,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진홍지대인 세계에서 블러드 문일 때)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조합)] 5개 = [include(틀:t캡션, 이름=지독한 버섯, 사진=ViciousMushroom.png, 문서=아이템/재료,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유리병, 사진=Bottlecraftingstation.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연금술 탁자,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불쾌한 가루|불쾌한 가루]]의 [[테라리아/지형#진홍지대|진홍지대]] 대용품. 성능과 용도는 [[테라리아/지형#진홍지대|진홍지대]]로 지배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불쾌한 가루|불쾌한 가루]]와 동일.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0.4|1.3.0.4]] 버전 이후에는 [[테라리아/보스#크툴루의 뇌|크툴루의 뇌]]의 소환 아이템 재료로 30개가 들어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오염수)][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Unholy Water, 한=오염수, 공=20, 시=15, 속=매우 빠름, 넉=3, 강=매우 약함, 치=-, v=1.1, 희소=orange, ID=422, 스택=9999, 유형=도구\, 무기)][include(틀:t조합)] 1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물병, 문서=아이템/소비/포션,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칠흑모래 블록, 사진=EbonsandBlock.png,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오염된 씨앗, 사진=CorruptSeeds.png,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 손}}} 지형에 던져서 오염수가 깨져나간 부분을 [[테라리아/지형#오염지대|오염지대]]로 지배한다. 하드모드 이전에서도 구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핏물)][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Blood Water, 한=핏물, 공=20, 시=15, 속=매우 빠름, 넉=3, 강=매우 약함, 치=-, v=1.3.0.1, 희소=orange, ID=3477, 스택=9999, 유형=도구\, 무기)][include(틀:t조합)] 1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물병, 문서=아이템/소비/포션,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심홍모래 블록, 사진=CrimsandBlock.png,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진홍색 씨앗, 사진=CrimsonSeeds.png,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 손}}} 지형에 던져서 핏물이 깨져나간 부분을 [[테라리아/지형#진홍지대|진홍지대]]로 지배한다. 하드모드 이전에서도 구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성수)][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Holy Water, 한=성수, 공=20, 시=15, 속=매우 빠름, 넉=3, 강=매우 약함, 치=-, v=1.1, 희소=orange, ID=422, 스택=9999, 과정=ⓗ, 유형=도구\, 무기)][include(틀:t조합)] 10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물병, 문서=아이템/소비/포션, h=16px)] (10) + [include(틀:t캡션, 이름=요정의 가루, 문서=아이템/재료, h=16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신성한 씨앗, 사진=HallowedSeeds.png,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 손}}} 지형에 던져서 성수가 깨져나간 부분을 [[테라리아/지형#신성지대|신성지대]]로 지배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재성장의 스태프)][include(틀:t인포박스/무기, 영=Staff of Regrowth, 한=재성장의 스태프, ID=213, 희소=Orange, 자동=↻, 유형=근접 무기\, 도구\, 재료, 공=7, 시=25, 속=빠름, 넉=3, 강=매우 약함, 치=4)][include(틀:t보물)] [[테라리아/지형#정글 지하|정글 지하]]의 [[파일:Terraria/넝쿨 상자.png|height=14px]] 넝쿨 상자 (21.72%)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정글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include(틀:t캡션, 이름=가시덤불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19%)}}} [[테라리아/아이템/무기/근접#재성장의 스태프|무기 문서의 해당 내용]] 참조.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클린태미네이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lentaminator, 한=클린태미네이터, v=1.2, 희소=pink, ID=779, 유형=도구, 자동=↻, 과정=ⓗ)][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스팀펑커, 사진=Steampunker.png,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PlatinumCoin.png|height=12px]])}}} ||<^|1>[include(틀:t인포박스/펫, 영=, 한=사용 시 모습, 사진=Clentaminator(equipped).png, 버프=PetBunny(buff).png, h2=0px)]|| 지형 변환의 최고 도구. 이름부터 정화를 의미하는 "Clean"과 오염 물질을 의미하는 "Contaminator"의 합성어이다. 용액을 탄약으로 사용해서 지형을 바꾼다. 용액으로는 초록색, 보라색, 빨간색, 파란색, 감청색, 노란색, 하얀색, 갈색 총 8개가 있다. 클린태미네이터와 같이 쓰는 용액이 탄약치곤 매우 비싸므로 [[테라리아/NPC#스팀펑커|스팀펑커]]의 행복도를 가능한 높게 유지해주고 쓰기 전에 미리 탄약 상자에서 보급을 받아두는 것이 좋다. 탄약 회수 옵션이 없다면 7번 뿌릴 때마다 금화가 하나씩 사라지는 꼴이다. 방어구 세트 효과 중 25% 확률로 탄약 소모를 무시하는 옵션까지 받으면 그럭저럭 저렴하게 쓸 수 있다. 탄약이 비싼 감이 있긴 하지만 가루로 깔짝대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지형 변환력을 자랑하기 때문에 본격적으로 정화 작업을 할 경우 가루질하거나 위의 지형 변환 물들을 던지는 것보다 오히려 싸게 먹힌다. 지형을 관통하는 매우 긴 사거리의 발사체가 지나가면서 발사체 반경 4타일 정도를 모두 바꿔버리며 사거리는 '''[[https://terraria.gamepedia.com/File:ClentaminatorRadius.jpg|60타일]]'''이다. 한 번씩 발사하는 것으로 가루 수십 개 분량의 정화가 가능하니 그야말로 정화/지형 변환 작업의 필수품. 이론적으로 월드 전역에 120타일 간격으로 [[테라리아/공략#헬리베이터|헬리베이터]]를 뚫어놓고 좌우로 클린태미네이터를 뿌려대면 완전 정화가 가능하다. 또한 아주 미약한 빛을 발산하는 발사체가 지형을 관통하고 나아가므로 지형 정찰도 덤으로 된다. 다만 정말 미약한 빛이기 때문에 대략적으로만 알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테라포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Terraformer, 한=테라포머, v=1.4.4, 희소=red, ID=5134, 유형=도구, 자동=↻, 과정=ⓗ)][include(틀:t기타)] [[#클린태미네이터|클린태미네이터]]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br]([[달의 군주]] 격파 이후)}}} [[#클린태미네이터|클린태미네이터]]의 강화판 버전. 기본적인 사용법은 [[#클린태미네이터|클린태미네이터]]와 동일하나 테라포머는 95블록까지 닿을 수 있고 7블록의 너비를 가진다. 또한 33%의 확률로 탄약을 소모하지 않는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초록색 용액)][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reen Solution, 한=초록색 용액, 사진=Terraria/GreenSolution.png, v=1.2, 희소=orange, ID=780, 유형=탄약, 스택=9999, 과정=ⓗ)][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스팀펑커, 사진=Steampunker.png, 문서=NPC, h=24px)] (15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신성지대가 아닌 곳에서 거주 시)}}} [[테라리아/지형#오염지대|오염지대]], [[테라리아/지형#진홍지대|진홍지대]], [[테라리아/지형#신성지대|신성지대]]에 사용하면 지배당하기 이전 지형으로 돌아간다. 그리고 [[테라리아/지형#버섯 지형|버섯 지형]](진흙 타일)을 [[테라리아/지형#정글|정글]]로 바꾼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보라색 용액)][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urple Solution, 한=보라색 용액, 사진=Terraria/PurpleSolution.png, v=1.2, 희소=orange, ID=782, 유형=탄약, 스택=9999, 과정=ⓗ)][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스팀펑커, 사진=Steampunker.png, 문서=NPC, h=24px)] (15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오염지대인 세계에서 블러드 문 / 일식일 때)}}} 지형을 [[테라리아/지형#오염지대|오염지대]]로 바꾼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빨간색 용액)][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Red Solution, 한=빨간색 용액, 사진=Terraria/RedSolution.png, v=1.2, 희소=orange, ID=784, 유형=탄약, 스택=9999, 과정=ⓗ)][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스팀펑커, 사진=Steampunker.png, 문서=NPC, h=24px)] (15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진홍지대인 세계에서 블러드 문 / 일식일 때)}}} 지형을 [[테라리아/지형#진홍지대|진홍지대]]로 바꾼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파란색 용액)][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lue Solution, 한=파란색 용액, 사진=Terraria/BlueSolution.png, v=1.2, 희소=orange, ID=781, 유형=탄약, 스택=9999, 과정=ⓗ)][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스팀펑커, 사진=Steampunker.png, 문서=NPC, h=24px)] (15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신성지대에서 거주 시)}}} 지형을 [[테라리아/지형#신성지대|신성지대]]로 바꾼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짙은 파란색 용액)][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ark Blue Solution, 한=짙은 파란색 용액, 사진=Terraria/DarkBlueSolution.png, v=1.2, 희소=orange, ID=783, 유형=탄약, 스택=9999, 과정=ⓗ)][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트러플, 문서=NPC, h=24px)] (15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테라리아/지형#정글|정글]](진흙 타일)을 [[테라리아/지형#버섯 지형|버섯 지형]]으로 바꾼다. 정글에 막 뿌리다가 [[테라리아/보스#플랜테라|플랜테라]]가 깨어나자마자 폭주 상태로 쫓아올 수 있으니 주의.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노란색 용액)][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Yellow Solution, 한=노란색 용액, v=1.4.4, 희소=orange, ID=5392, 유형=탄약, 스택=9999, 과정=ⓗ)][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스팀펑커, 사진=Steampunker.png, 문서=NPC, h=24px)] (15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달의 군주]] 격파 이후)}}} 지형을 사막으로 바꾼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하얀색 용액)][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hite Solution, 한=하얀색 용액, v=1.4.4, 희소=orange, ID=5393, 유형=탄약, 스택=9999, 과정=ⓗ)][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스팀펑커, 사진=Steampunker.png, 문서=NPC, h=24px)] (15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달의 군주]] 격파 이후)}}} 지형을 설원으로 바꾼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갈색 용액)][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rown Solution, 한=갈색 용액, v=1.4.4, 희소=orange, ID=5394, 유형=탄약, 스택=9999, 과정=ⓗ)][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스팀펑커, 사진=Steampunker.png, 문서=NPC, h=24px)] (15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br]([[달의 군주]] 격파 이후)}}} 지형을 숲으로 바꾼다. === 골프 관련 도구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골프 휘슬)][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olf Whistle, 한=골프 휘슬, v=1.4.0.1, 희소=lightcoral, ID=4095, 유형=도구, 스택=1)][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골프 선수, 문서=NPC, h=24px)] (10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사용 시 골프 공이 맞기 전의 이전 위치로 되돌린다. 골프 휘슬 사용 시 플레이어의 골프 점수에 벌점으로 1이 추가된다. ==== 골프 클럽 ==== 골프 미니게임에 사용되는 도구. 아이언, 드라이버, 웨지, 퍼터가 있으며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된다. 높은 등급의 골프 클럽은 골프 점수 달성 시 획득 가능하며 등급의 경우 모습만 다르고 성능은 동일하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닳은 골프 클럽 (아이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orn Golf Club (Iron), 한=닳은 골프 클럽 (아이언), v=1.4.0.1, 희소=blue, ID=4587, 유형=도구, 스택=1)][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골프 선수, 문서=NPC, h=24px)] (10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골프 클럽 (아이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olf Club (Iron), 한=골프 클럽 (아이언), v=1.4.0.1, 희소=green, ID=4039, 유형=도구, 스택=1)][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골프 선수,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골프 점수가 500점보다 높을 때)}}}||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화려한 골프 클럽 (아이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ancy Golf Club (Iron), 한=화려한 골프 클럽 (아이언), v=1.4.0.1, 희소=orange, ID=4591, 유형=도구, 스택=1)][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골프 선수, 문서=NPC, h=24px)] (10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골프 점수가 1000점보다 높을 때)}}}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고급 골프 클럽 (아이언))][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remium Golf Club (Iron), 한=고급 골프 클럽 (아이언), v=1.4.0.1, 희소=lightcoral, ID=4595, 유형=도구, 스택=1)][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골프 선수, 문서=NPC, h=24px)] (2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골프 점수가 2000점보다 높을 때)}}}|| 단거리에서 중거리 샷에 사용되는 골프 클럽.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닳은 골프 클럽 (드라이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orn Golf Club (Driver), 한=닳은 골프 클럽 (드라이버), v=1.4.0.1, 희소=blue, ID=4590, 유형=도구, 스택=1)][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골프 선수, 문서=NPC, h=24px)] (10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골프 클럽 (드라이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olf Club (Driver), 한=골프 클럽 (드라이버), v=1.4.0.1, 희소=green, ID=4094, 유형=도구, 스택=1)][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골프 선수,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골프 점수가 500점보다 높을 때)}}}||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화려한 골프 클럽 (드라이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ancy Golf Club (Driver), 한=화려한 골프 클럽 (드라이버), v=1.4.0.1, 희소=orange, ID=4594, 유형=도구, 스택=1)][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골프 선수, 문서=NPC, h=24px)] (10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골프 점수가 1000점보다 높을 때)}}}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고급 골프 클럽 (드라이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remium Golf Club (Driver), 한=고급 골프 클럽 (드라이버), v=1.4.0.1, 희소=lightcoral, ID=4598, 유형=도구, 스택=1)][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골프 선수, 문서=NPC, h=24px)] (2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골프 점수가 2000점보다 높을 때)}}}|| 장거리 샷에 사용되는 골프 클럽.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닳은 골프 클럽 (웨지))][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orn Golf Club (Wedge), 한=닳은 골프 클럽 (웨지), v=1.4.0.1, 희소=blue, ID=4589, 유형=도구, 스택=1)][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골프 선수, 문서=NPC, h=24px)] (10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골프 클럽 (웨지))][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olf Club (Wedge), 한=골프 클럽 (웨지), v=1.4.0.1, 희소=green, ID=4093, 유형=도구, 스택=1)][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골프 선수,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골프 점수가 500점보다 높을 때)}}}||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화려한 골프 클럽 (웨지))][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ancy Golf Club (Wedge), 한=화려한 골프 클럽 (웨지), v=1.4.0.1, 희소=orange, ID=4593, 유형=도구, 스택=1)][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골프 선수, 문서=NPC, h=24px)] (10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골프 점수가 1000점보다 높을 때)}}}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고급 골프 클럽 (웨지))][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remium Golf Club (Wedge), 한=고급 골프 클럽 (웨지), v=1.4.0.1, 희소=lightcoral, ID=4597, 유형=도구, 스택=1)][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골프 선수, 문서=NPC, h=24px)] (2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골프 점수가 2000점보다 높을 때)}}}|| 장애물을 뛰어넘거나 탈출할 때 사용되는 골프 클럽.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닳은 골프 클럽 (퍼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orn Golf Club (Putter), 한=닳은 골프 클럽 (퍼터), v=1.4.0.1, 희소=blue, ID=4588, 유형=도구, 스택=1)][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골프 선수, 문서=NPC, h=24px)] (10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골프 클럽 (퍼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olf Club (Putter), 한=골프 클럽 (퍼터), v=1.4.0.1, 희소=green, ID=4092, 유형=도구, 스택=1)][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골프 선수,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골프 점수가 500점보다 높을 때)}}}||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화려한 골프 클럽 (퍼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ancy Golf Club (Putter), 한=화려한 골프 클럽 (퍼터), v=1.4.0.1, 희소=orange, ID=4592, 유형=도구, 스택=1)][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골프 선수, 문서=NPC, h=24px)] (10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골프 점수가 1000점보다 높을 때)}}}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고급 골프 클럽 (퍼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remium Golf Club (Putter), 한=고급 골프 클럽 (퍼터), v=1.4.0.1, 희소=lightcoral, ID=4596, 유형=도구, 스택=1)][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골프 선수, 문서=NPC, h=24px)] (2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골프 점수가 2000점보다 높을 때)}}}|| 근거리 샷에 사용되는 골프 클럽. === 기타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잠자리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ug Net, 한=잠자리채, 사진=Terraria/BugNet.png, v=1.2.3, 희소=white, ID=1991, 유형=도구\, 재료, 자동=↻)][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상인, 문서=NPC, h=24px)] (25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테라리아/소동물|소동물]]들을 직접 잡을 수 있다. 잡은 생물은 인벤토리에 아이템화되며,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용광로|용광로]]에서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유리|유리]] 16개로 제작하는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테라리움|테라리움]]과 조합한 뒤 아무 데나 설치해서 디스플레이로 전시할 수 있다. 토끼나 벌레만 잡아도 팔면 돈을 꽤 주고 황금 생물이라도 잡으면 일확천금을 노릴 수 있는 데다가, 잡은 생물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요리 냄비|요리 냄비]]에서 [[테라리아/아이템/소비#음식과 마실 것|음식]]을 만들어 [[테라리아/버프 및 디버프#배부름|배부름]] 버프를 얻을 수 있고 잡은 미끼로 낚시를 하면 유용한 도구들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상인을 처음 불러왔다면 1순위로 사 주는 것이 좋다. 특히 [[테라리아/세계/시드#The Constant|The Constant]] 시드에서는 배고픔 시스템으로 인해 초반에 음식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최우선으로 구매해야 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황금 잠자리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olden Bug Net, 한=황금 잠자리채, 사진=Terraria/GoldenBugNet.png, v=1.3.0.1, 희소=lightcoral, ID=3183, 유형=도구, 자동=↻)][include(틀:t기타)] 낚시 퀘스트 완료 (1.25%)}}} [[#잠자리채|잠자리채]]의 강화판으로, 휘두르는 속도가 빨라지고 크기가 커졌으며 풀을 벨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플레이어와 막힌곳에서 움직이는 생물도 범위만 닿으면 채집할 수 있다. 1.4 버전 이후로는 지옥에서 등장하는 생물도 잡을 수 있다. ||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GoldenBugNetComp.gif]] ||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용암 잠자리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avaproof Bug Net, 한=용암 잠자리채, v=1.4.0.1, 희소=orange, ID=4821, 유형=도구, 자동=↻)][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지옥석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15) + [include(틀:t캡션, 이름=잠자리채, 사진=BugNet.png, 문서=아이템/도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지옥용광로, 사진=Hellforge.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잠자리채보다 범위가 커졌고 용암 낚시용 미끼로 쓸 수 있는 지옥의 생물을 채집할 수 있지만, 황금 잠자리채보다 속도가 좀 더 느리고, 막힌 곳의 생물은 채집할 수 없다. 그래도 핫라인 낚싯대나 황금 잠자리채나 얻기가 끔찍하게 어렵기 때문에, 이들이 없다면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용암 낚싯바늘|용암 낚싯바늘]]을 얻기 전까지 만들어서 써야 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러블메이커)][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Rubblemaker, 한=러블메이커, 확장자=gif, v=1.4.4, ID=5324, 과정=ⓗ, 희소=red, 자동=↻, 유형=도구)][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고블린 땜장이, 문서=NPC, h=24px)] (2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하드모드에서)}}} ||<-2>
'''{{{#fff {{{-2 이름}}}}}}''' || '''{{{#fff {{{-2 바}}}}}}''' || '''{{{#fff {{{-2 사이즈}}}}}}''' || || [[파일:Terraria/러블메이커 (소형).png]] || {{{-2 러블메이커 (소형)}}}[br]{{{-3 (Rubblemaker (Small))}}}[br]{{{-3 {{{#Gray #5324}}}}}} || [[파일:Terraria/Rubblemaker(Small)bar.png]] ||{{{-2 1 x 1 타일}}}|| || [[파일:Terraria/러블메이커 (중형).png]] || {{{-2 러블메이커 (중형)}}}[br]{{{-3 (Rubblemaker (Medium))}}}[br]{{{-3 {{{#Gray #5329}}}}}} || [[파일:Terraria/Rubblemaker(Medium)bar.png]] ||{{{-2 2 x 1 에서 2 x 2 타일}}}|| || [[파일:Terraria/러블메이커 (대형).png]] || {{{-2 러블메이커 (대형)}}}[br]{{{-3 (Rubblemaker (Large))}}}[br]{{{-3 {{{#Gray #5330}}}}}} || [[파일:Terraria/Rubblemaker(Large)bar.png]] ||{{{-2 3 x 2 타일}}}|| 항아리를 제외한, 자연적으로만 볼 수 있었던 오브젝트를 설치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빈 양동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Empty Bucket, 한=빈 양동이, 사진=Terraria/EmptyBucket.png, v=1.0, 희소=white, ID=205, 유형=도구\, 장비, 자동=↻)][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철/납]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테라리아/아이템/설치#물|물]], [[테라리아/아이템/설치#용암|용암]], [[테라리아/아이템/설치#꿀|꿀]]을 각각 담을 수 있다. 사용 방법은 양동이를 들고 근처에 있는 액체에 좌클릭을 하면 되고, 뿌릴 때도 양동이를 들고 좌클릭을 하면 된다. 장비 슬롯의 헬멧 칸에 장착할 수도 있다. 이때는 방어력 1. 테라리아 초창기부터 내려온 유서 깊은 꼼수가 하나 있는데, 그것은 바로 물을 뿌리고 다시 재빠르게 담아서 증식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물이나 용암, 꿀을 복제할 수 있어서 약간의 노가다를 하면 거의 무한정으로 생산이 가능하다.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물 양동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ater Bucket, 한=물 양동이, v=1.0, 희소=white, ID=206, 유형=도구\,재료, 스택=9999, 자동=↻)][include(틀:t기타)] 빈 양동이를 들고 [[#물|물]]에 좌클릭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꿀 양동이|꿀 양동이]]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용암 양동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ava Bucket, 한=용암 양동이, v=1.0, 희소=white, ID=207, 유형=도구, 스택=9999, 자동=↻)][include(틀:t기타)] 빈 양동이를 들고 [[#용암|용암]]에 좌클릭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물 양동이|물 양동이]]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꿀 양동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Honey Bucket, 한=꿀 양동이, v=1.2, 희소=white, ID=1128, 유형=도구, 스택=9999, 자동=↻)][include(틀:t기타)] 빈 양동이를 들고 [[#꿀|꿀]]에 좌클릭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용암 양동이|용암 양동이]]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액체를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도구들. 물 양동이는 추가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개수대|개수대]]의 재료로 사용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무한의 물 양동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ottomless Water Bucket, 한=무한의 물 양동이, v=1.3.0.1, 희소=lime, ID=3031, 유형=도구\, 재료, 자동=↻)][include(틀:t기타)] 낚시꾼 퀘스트 10번 완료 이후 (1.43%)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25번째 낚시꾼 퀘스트 완료 시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무한의 쉬머 양동이|무한의 쉬머 양동이]]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br]([[달의 군주]] 격파 이후)}}} 물 양동이의 무한 버전이며 무한정으로 [[테라리아/아이템/설치#물|물]]을 뿌릴 수 있다. 이것만 있으면 번거롭게 그냥 양동이로 조금씩 증식시킬 일이 없어진다. 범위 2칸 증가 옵션이 달려있다.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4.4|1.4.4]] 버전 업데이트로 하드모드 이전에도 얻을 수 있게 되었으며, 확정 획득법이 추가되었다.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4|1.4]] 버전 업데이트로 등장한 [[테라리아/아이템/무기#젖은 폭탄|젖은 폭탄]]이나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물로켓|물로켓]]을 사용하면 한번에 대량의 물을 생성하기 때문에 필요가 없어보이지만 이쪽은 소모품이 아니며 소량의 물이 필요하거나 세밀한 작업에 사용할 수 있고 공중에 즉각적으로 액체를 뿌릴 수 있으므로 액체에서 어드밴티지를 얻는 탈것을 타고다닐 경우 써먹을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초강력 흡수성 스펀지)][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uper Absorbant Sponge, 한=초강력 흡수성 스펀지, v=1.3.0.1, 희소=lime, ID=3032, 유형=도구, 자동=↻)][include(틀:t기타)] 낚시꾼 퀘스트 10번 완료 이후 (1.43%)}}} 양동이와 정반대로 물을 무한정으로 흡수할 수 있는 아이템이다. 흡수된 물은 그대로 사라지며 다시 뿜어낼 순 없다. 강이나 대량의 물을 치워야 할 때 쓰인다. 범위 2칸 증가 옵션이 달려있다.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4.4|1.4.4]] 버전 업데이트에서 추가된 [[테라리아/아이템/설치#쉬머|쉬머]]도 제거할 수 있다. 위의 [[#무한의 물 양동이|무한의 물 양동이]]와 동일하게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4.4|1.4.4]] 버전 업데이트로 하드모드 이전에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무한의 용암 양동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ottomless Lava Bucket, 한=무한의 용암 양동이, 사진=Terraria/BottomlessLavaBucket.png, v=1.4.0.1, 희소=lime, ID=4820, 유형=도구, 자동=↻)][include(틀:t낚시)] 용암}}} 1.4 버전 업데이트로 추가된 무한의 물 양동이의 용암 버전이다. 무한의 물 양동이와 마찬가지로 무한정으로 [[테라리아/아이템/설치#용암|용암]]을 뿌릴 수 있다. 범위 2칸 증가 옵션이 달려있다. 1.4 버전 업데이트로 등장한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용암 로켓|용암 로켓]]이나 [[테라리아/아이템/무기#용암 폭탄|용암 폭탄]]을 사용하면 한번에 대량의 용암을 생성하기에 그냥 대량의 용암이 필요할 때는 로켓을 쏘거나 용암 폭탄을 투하하는 것이 낫다. 장점이라면 소모품이 아니라는 것과 하드 모드 이전에도 얻을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용암 특성상 로켓을 쏴대는 것보다는 이쪽의 안정성이 더 높다는 것.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용암 흡수성 스펀지)][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ava Absorbant Sponge, 한=용암 흡수성 스펀지, v=1.4.0.1, 희소=lime, ID=4872, 유형=도구, 자동=↻)][include(틀:t낚시)] 용암}}} 1.4 버전 업데이트로 추가된 초강력 흡수성 스펀지의 용암 버전이다. 초강력 흡수성 스펀지와 유사하게 용암을 무한정으로 흡수할 수 있는 아이템이다. 범위 2칸 증가 옵션이 달려있다. 일찍 얻었다면 이후 지하세계에서 [[테라리아/아이템/재료/광물#지옥석|지옥석]]을 채굴할 때 때때로 고인 용암을 제거해주면서 채굴하면 비교적 안전하게 채굴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무한의 꿀 양동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ottomless Honey Bucket, 한=무한의 꿀 양동이, v=1.4.4, 희소=lime, ID=5302, 유형=도구, 자동=↻)][include(틀:t기타)] 낚시꾼 퀘스트 중 [[테라리아/아이템/재료#호박벌 참다랑어|호박벌 참다랑어]] 퀘스트 완료 시 (50%)}}} 무한의 물 양동이의 꿀 버전이다. 범위 2칸 증가 옵션이 달려있다. 꿀 버프가 워낙 좋다보니 보스전에서 싸우면서 주기적으로 바르고 다니면 매우 큰 도움이 되어 애용하는 사람들은 애용하는 아이템. 단점은 스왑 컨트롤이 필요하고 너무 자주 바르고 다니면 아레나나 지상으로 꿀이 떨어져서 개판이 될 가능성이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꿀 흡수성 스펀지)][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Honey Absorbant Sponge, 한=꿀 흡수성 스펀지, 사진=Terraria/HoneyAbsorbantSponge.png, v=1.4.4, 희소=lime, ID=5303, 유형=도구, 자동=↻)][include(틀:t기타)] 낚시꾼 퀘스트 중 [[테라리아/아이템/재료#호박벌 참다랑어|호박벌 참다랑어]] 퀘스트 완료 시}}} 초강력 흡수성 스펀지의 꿀 버전. 말 그대로 꿀을 무한정 흡수한다. 범위 2칸 증가 옵션이 달려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울트라 흡수성 스펀지)][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Ultra Absorbant Sponge, 한=울트라 흡수성 스펀지, 사진=Terraria/UltraAbsorbantSponge.png, v=1.4.4, 희소=yellow, 과정=ⓗ, ID=5304, 유형=도구, 자동=↻)][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초강력 흡수성 스펀지, 문서=아이템/도구,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용암 흡수성 스펀지, 문서=아이템/재료, h=16px)][br] [include(틀:t캡션, 사진=HoneyAbsorbantSponge.png, 이름=꿀 흡수성 스펀지, 문서=아이템/재료,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땜장이의 작업장,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스펀지의 끝판왕. 물과 쉬머, 용암, 꿀 모두 흡수한다. 범위 3칸 증가 옵션이 달려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무한의 쉬머 양동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ottomless Shimmer Bucket, 한=무한의 쉬머 양동이, v=1.4.4, 희소=red, 과정=ⓗ, ID=5364, 유형=도구, 자동=↻)][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무한의 물 양동이, 문서=아이템/도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루미나이트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10)[br]@ [include(틀:t캡션, 이름=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무한의 물 양동이|무한의 물 양동이]]를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br]([[달의 군주]] 격파 이후)}}} 무한의 물 양동이의 쉬머 버전. 쉬머는 양동이로 들고 다니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쉬머를 들고 다닐 수 있는 유일한 도구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미끼 양동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hum Bucket, 한=미끼 양동이, v=1.4.0.1, 희소=blue, ID=4608, 유형=소비, 스택=9999)][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방황하는 눈 물고기, 문서=이벤트,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좀비 어인, 문서=이벤트, h=24px)] (50%) (4-6)[br][include(틀:t캡션, 이름=피의 장어, 문서=이벤트, 파생=머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헤모고블린 상어, 문서=이벤트,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드레드노틸러스, 문서=이벤트, h=36px)][br](50%) (7-10)}}} 사용하면 떡밥을 던져 떡밥이 물에 닿았을 경우 그 물에서 낚시를 할 때 낚시 효율을 올려준다. 최대 3회(+11/+14/+17) 중첩 가능하며 찌를 10번 던질 동안 적용된다. 낚싯줄이 끊어지거나 그냥 찌를 회수하여도 남은 횟수는 차감된다. 떡밥 효과가 사라지면 물에 뜬 떡밥이 사라지므로 이를 보고 떡밥 효과 지속 여부를 알 수 있다. 이름과 툴팁인 'Plankton!'에서 볼 수 있듯이 [[네모바지 스폰지밥]]의 캐릭터인 [[플랑크톤(네모바지 스폰지밥)|플랑크톤]]의 패러디.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상자 자물쇠)][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hest Lock, 한=상자 자물쇠, v=1.4.4, 희소=white, ID=5328, 유형=도구\, 소비, 자동=↻, 스택=9999)][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사슬, 문서=아이템/재료, h=24px)] (2) + [include(틀:t캡션, 이름=뼈다귀, 문서=아이템/무기/원거리, h=16px)] (5) @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상자 자물쇠 하나를 소모하여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상자|상자]]를 잠글 수 있다. 모든 상자를 잠글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모든 잠긴 상자를 일일이 만들기 귀찮았는지~~ 자연적으로 잠긴 채로 생성되는 상자들[* 황금 상자, 그림자 상자, 던전의 지형 상자.]과 플레이어가 던전 벽돌로 만들 수 있는 3종류의 던전 상자만 잠글 수 있다. 잠궈진 상자는 해당 상자들에 맞는 열쇠(던전 상자는 [[테라리아/아이템/소비#황금 열쇠|황금 열쇠]])로 다시 열 수 있다. 던전의 지형 상자들의 경우는 지형 열쇠를 얻기가 매우 어렵다 보니, 멀티플레이 시 활용할 수 있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가스 함정)][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as Trap, 한=가스 함정, v=1.4.4, 희소=green, ID=5346, 유형=도구)][include(틀:t기타)] [[테라리아/아이템/재료#방귀 쿠션|방귀 쿠션]]을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테라리아/아이템/도구#사용된 가스 함정|사용된 가스 함정]]을 쉬머에 던질 시 획득 가능}}}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사용된 가스 함정)][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Used Gas Trap, 한=사용된 가스 함정, v=1.4.4, 희소=gray, ID=5356, 유형=도구)][include(틀:t기타)] 가스 함정 사용 시}}}|| 가스 함정이 들어있는 상자[* 상자뿐만 아닌 저장용 가구면 다 가능하다. 다만 돼지 저금통이나 공허 금고 등 전용 저장고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를 열면 반경 약 10타일 이내의 모든 플레이어, 적, NPC에게 [[테라리아/버프 및 디버프#독|독]] 디버프를 입힌다. 독 버프 지속시간이 [[테라리아/아이템/설치/전기#다트 트랩|다트 트랩]]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굉장히 길며, 특히 마스터 모드라면 '''2분 3초'''이라는 끔찍한 지속 시간(누적 데미지 '''246''')을 자랑하기 때문에 제때 간호사에게 치료받지 못하거나 [[테라리아/아이템/장비/장신구#위석|위석]] 또는 포션이 없다면 십중팔구는 독이 끝날 때까지 상자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발버둥치게 된다. 이후 가스 함정은 사용된 가스 함정으로 바뀌며, 쉬머에 던져서 다시 가스 함정으로 리필할 수 있다. 일반적인 시드에서는 생성되지 않지만 [[테라리아/세계/시드#No Traps|No Traps]] 시드에서는 자연적으로 생성된다. 사용된 가스 함정은 기본 희소성이 회색인 몇 안되는 아이템이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비치볼)][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each Ball, 한=비치볼, v=1.2, 희소=white, ID=859, 유형=도구)][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파티 걸, 문서=NPC, h=24px)] (20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 커다란 비치볼을 소환한다. 별다른 특징이 없지만, 가지고 통통 튀기면서 놀 수 있다. 단순하게 말하면 그냥 장난감이라고 보면 된다. 제니스로 비치볼을 쳐내면 빛처럼 빠른 속도로 날릴 수 있는 버그가 있는데 지옥에서 우주 끝까지 날아가는데 2초밖에 안 걸리는 속도로 날아간다. 꺼내고나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아이템으로 돌아가서 회수할 수 있다. 본래는 물 속의 물 상자에서만 등장했지만 물 상자 최악의 꽝으로 악명이 높았기 때문인지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3|1.3]] 버전 업데이트로 물 상자 대신 파티 걸이 판매하는 것으로 획득법이 변경되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풋볼)][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Football, 한=풋볼, v=1.4.0.1, 희소=white, ID=4743, 유형=도구)][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파티 걸, 문서=NPC, h=24px)] (20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br](골프 점수가 501 이상일 때)}}} 풋볼을 던지며 던져진 공은 다시 잡을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슬라임 총)][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lime Gun, 한=슬라임 총, 사진=Terraria/SlimeGun.png, v=1.2.4, 희소=white, ID=2610, 자동=↻,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왕 슬라임, 문서=보스, 파생=축소)] (66.67% / {{{#E80 50%}}})}}} 공격력이나 탄약 소모는 없고 [[테라리아/몬스터|적]]에게 뿌리면 [[테라리아/버프 및 디버프#슬라임|슬라임]] 디버프를 부여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물총)][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ater Gun, 한=물총, v=1.2.3, 희소=white, ID=2272, 유형=도구)][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행상인,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50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정글 미믹, 문서=몬스터, h=24px)] (33%)[br](celebrationmk10 시드에서)}}} 공격력이나 탄약 소모는 없고 [[테라리아/NPC|NPC]]나 [[테라리아/몬스터|적]]에게 뿌리면 [[테라리아/버프 및 디버프#젖음|젖음]] 디버프를 부여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색종이 총)][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onfetti Gun, 한=색종이 총, v=1.2, 희소=white, ID=1000, 유형=도구, 스택=9999)][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파티 걸,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SilverCoin.png|height=12px]])}}} 소비 아이템으로 [[테라리아/아이템/재료#색종이 조각|색종이 조각]]을 휘날린다. 사족으로 아이템 코드를 보면 알겠지만 테라리아의 1000번째 아이템.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연막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moke Bomb, 한=연막탄, v=1.2, 희소=white, ID=1168, 유형=도구, 스택=9999)][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파티 걸, 문서=NPC, h=24px)] (20 [[파일:Terraria/CopperCoin.png|height=12px]])}}} 소비 아이템으로 투척한 장소에 오랜 시간 동안 연막을 피워서 시야를 가린다. 이때 피해량은 없으며, 주로 [[테라리아/시스템#멀티|멀티]]의 PvP에서 사용한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방울 막대)][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ubble Wand, 한=방울 막대, v=1.2, 희소=blue, ID=1450, 유형=도구, 자동=↻)][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파티 걸, 문서=NPC, h=24px)] (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비눗방울을 날린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쌍안경)][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inoculars, 한=쌍안경, v=1.2, 희소=lightcoral, ID=1299,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크툴루의 눈, 문서=보스, 파생=축소)] (2.5% / {{{#E80 3.33%}}})}}} 마우스로 화면을 움직여 약간 더 멀리 볼 수 있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돈 여물통)][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oney Trough, 한=돈 여물통, v=1.3.0.1, 희소=orange, ID=3213,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블러드 좀비, 문서=이벤트,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드리플러, 문서=이벤트, h=24px)] (0.5% / {{{#E80 1%}}})[br][include(틀:t캡션, 이름=방황하는 눈 물고기, 문서=이벤트,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좀비 어인, 문서=이벤트, h=24px)] (6.67%)}}} ||<^|1>[include(틀:t인포박스/펫, 영=Flying Piggy Bank, 한=날아다니는 돼지 저금통, 사진=FlyingPiggyBank(animated).gif, 버프=PetBunny(buff).png, h2=0px)]|| 휘두르면 위처럼 생긴 날아다니는 돼지 저금통을 소환한다. 날아다니는 돼지 저금통은 3분간 소환된 위치에 고정되며,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돼지 저금통|돼지 저금통]] 아이템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일반 돼지 저금통과 달리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플랫폼|플랫폼]]이 없어도 사용 가능하고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금고|금고]]처럼 회수할 필요도 없어서 매우 편리하다. 설치된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돼지 저금통|돼지 저금통]]과 저장공간을 공유한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공허 가방)][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Void Bag, 한=공허 가방, v=1.4.0.1, 희소=orange, ID=4131, 유형=도구)][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뼈다귀, 문서=아이템/무기/원거리, h=16px)] (30) + [include(틀:t캡션, 이름=정글 포자, 문서=아이템/재료, h=16px)] (15)[br]+ \[[include(틀:t캡션, 이름=그림자 비늘, 문서=아이템/재료,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조직 샘플, 문서=아이템/재료, h=16px)]] (30) @ [include(틀:t캡션, 이름=제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닫힌 공허 가방 우클릭 시}}}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닫힌 공허 가방)][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losed Void Bag, 한=닫힌 공허 가방, v=1.4.4, 희소=orange, ID=5325, 유형=도구)][include(틀:t기타)] 공허 가방 우클릭 시}}} ||<^|1>[include(틀:t인포박스/펫, 영=Void Bag, 한=공허 가방, 사진=VoidBag(projectile).gif, 버프=PetBunny(buff).png, h2=0px)]|| 휘두르면 공중에 떠있는 공허 포탈을 소환한다. 이 공허 포탈은 가구인 [[테라리아/아이템/설치/가구#공허 금고|공허 금고]]와 인벤토리를 공유한다.[* 공허 금고는 공허 가방 재료의 약 절반인 뼈다귀 15개, 정글 포자 8개, 그림자 비늘/조직 샘플 15개로 만든다.] 외형을 제외하면 대부분 돈 여물통과 동일하나, 플레이어의 인벤토리가 가득 차 저장 공간이 없을 경우, 자동으로 아이템을 흡수해 보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굳이 아이템을 사용해 소환하지 않고 가지고만 있어도 자동으로 흡수해 보관하며, 입수하는데 운이 필요한 위의 돈 여물통과는 달리 제작으로 확정적으로 얻을 수 있고 제작 자체도 쉬워서 필수템 취급을 받는다.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4.4|1.4.4]] 버전 업데이트로 인벤토리의 공허 가방을 오른쪽 클릭해 입구를 여닫을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입구를 닫으면 플레이어의 인벤토리가 가득 차있어도 아이템을 흡수하지 않으며, 입구를 열면 이전과 같이 인벤토리가 가득 찼을 때 여분의 아이템을 흡수하는 것은 물론, 따로 공허 포탈을 소환하지 않아도 입구만 열려있다면 공허 가방 내의 아이템도 당장 인벤토리 내에 있는 아이템처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허 포탈을 소환해서 공허 포탈 인벤토리를 열지 않아도 그 자리에서 공허 가방 내의 재료를 소재로 조합 아이템 제작이 가능하고, 공허 가방 내에 열쇠가 있다면 대응되는 상자도 열 수 있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거추장스러운 돌덩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Encumbering Stone, 한=거추장스러운 돌덩이, v=1.4.0.1, 희소=blue, ID=4346, 유형=도구)][include(틀:t보물)] 사막 지하의 [[파일:Terraria/사암 상자.png|height=16px]] 사암 상자 (14.29%)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거추장스럽지 않은 돌덩이 우클릭 시}}}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거추장스럽지 않은 돌덩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Uncumbering Stone, 한=거추장스럽지 않은 돌덩이, v=1.4.4, 희소=blue, ID=5391, 유형=도구)][include(틀:t기타)] 거추장스러운 돌덩이 우클릭 시}}}|| 인벤토리에 지니고 있으면 외부로부터의 아이템 획득을 막는다. 금전을 포함해 한 칸에 스택 가능한 아이템이라도 획득되지 않는다. 돌덩이를 클릭해서 인벤토리에서 빼내면 곧바로 다시 아이템 습득이 가능해진다. 돌덩이로 인해 습득이 막히는 아이템은 인벤토리 공간을 차지하는 아이템 뿐이며, 인벤토리를 차지하지 않고 플레이어의 체력과 마나에 곧바로 흡수되는 하트나 별은 정상적으로 획득 가능하다. 또한 바닥에 떨어진 아이템이 아닌, 낚시나 크레이트를 통해 얻는 아이템도 정상적으로 획득된다. 인벤토리에 있는 동안은 아이템 획득 자체를 완전히 막아버리는 탓에 정작 플레이어가 당장 필요한 아이템을 얻기도 곤란하게 하다보니 실용성이 없었지만,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4.4|1.4.4]] 버전 업데이트 이후로 인벤토리에 아이템이 들어가는 것을 끄고 킬수 있게 되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유니콘 꼬챙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Unicorn on a Stick, 한=유니콘 꼬챙이, v=1.2, 희소=green, 과정=ⓗ, ID=856,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유니콘, 문서=몬스터, h=24px)] (1%)}}} ''‘Having a Wonderful Time!’ (멋진 시간 보내세요!)'' 숫자 키로 선택하거나 마우스로 들 경우 이걸 들면서 장난감처럼 가지고 논다. 적한테 충돌 대미지를 주거나 하진 않고 순수한 장난감 용도.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빗노래)][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Rain Song, 한=빗노래, v=1.4.0.1, 희소=orange, ID=4057, 유형=도구, 자동=↻)][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날치, 사진=FlyingFish.png, 문서=이벤트, h=24px)] (1%)}}} 순수한 장난감용 악기로, 캐릭터와 커서 사이의 거리에 따라 연주되는 음계가 달라진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아이비)][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Ivy, 한=아이비, v=1.4.0.1, 희소=orange, ID=4372, 유형=도구, 과정=ⓗ, 자동=↻)][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스팀펑커, 사진=Steampunker.png, 문서=NPC, h=24px)] (100%)[br](이름이 Whitney일 때)}}} 연주시 내는 소리나 기능은 위의 빗노래 아이템과 완전히 같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묘지기의 삽)][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ravedigger's Shovel, 한=묘지기의 삽, v=1.4.0.1, 희소=blue, ID=4711, 유형=도구, 자동=↻)][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철/납] 주괴, 문서=아이템/재료/광물, h=16px)] (12)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종류의 나무, 확장자=gif,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3)[br]@ [include(틀:t캡션, 이름=모루,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 엑토 미스트}}} 흙이나 진흙, 모래, 눈, 실트, 재 등의 부드러운 블록을 한번에 3x3 범위를 파낼 수 있다. 스마트 커서가 안 먹힌다는 단점이 있지만 그걸 배제해도 성능이 매우 뛰어난데, 특히 진흙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초반 정글 탐사에 굉장히 유용하다. 땅을 파내는 속도는 플레이어의 채굴 파워를 따라간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동물 교감을 위한 가이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uide to Critter Companionship, 한=동물 교감을 위한 가이드, v=1.4.0.1, 희소=blue, ID=4767, 유형=도구\, 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동물학자, 문서=NPC, h=24px)] (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동물 교감을 위한 가이드 (비활성) 우클릭 시}}}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동물 교감을 위한 가이드 (비활성))][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uide to Critter Companionship (Inactive), 한=동물 교감을 위한 가이드 (비활성), v=1.4.4.5, 희소=blue, ID=5453, 유형=도구)][include(틀:t기타)] 동물 교감을 위한 가이드 우클릭 시}}}|| 인벤토리에 소지하고 있으면 [[테라리아/소동물|소동물]]들이 플레이어의 공격에 휘말리지 않는다.[* 예외로 [[테라리아/몬스터#폭발성 토끼|폭발성 토끼]]는 대미지를 입으면 폭발하는 트랩형 동물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동물 교감을 위한 가이드를 소지하고 있어도 공격해서 죽일 수 있다.] 물론 [[테라리아/아이템/무기/소환|소환수]]도 포함된다. 잠자리채로 포획하는 것은 여전히 가능하다. 다만 적들이 [[테라리아/소동물|소동물]]을 공격하는 건 막아낼 수 없다. 그래도 찬라한 풀잠자리나 송로버섯 지렁이 및 무당벌레를 파밍할때 실수로 죽이는 것을 막아주니 하나쯤은 사두는 것도 좋다. 특히 찬란한 풀잠자리의 경우 잘못하면 채집은 커녕 빛의 여제가 소환되어 도망도 못 가고 비명횡사 당할 수 있으며 무당벌레는 실수로 죽이면 행운이 떨어지니 필수. [[테라리아/업데이트 내역#1.4.4|1.4.4]] 버전 업데이트로 오른쪽 클릭을 통해 기능을 켜고 끌 수 있게 되었다만 이쪽은 [[테라리아/보스#빛의 여제|빛의 여제]] 소환할 때가 아니고서야 딱히 기능을 끌 일이 없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환경 보전을 위한 가이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uide to Environmental Preservation, 한=환경 보전을 위한 가이드, v=1.4.4, 희소=blue, ID=5309, 유형=도구\, 재료)][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드라이어드, 사진=Dryad.png, 문서=NPC, h=24px)] (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환경 보전을 위한 가이드 (비활성) 우클릭 시}}}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환경 보전을 위한 가이드 (비활성))][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uide to Environmental Preservation (Inactive), 한=환경 보전을 위한 가이드 (비활성), v=1.4.4.5, 희소=blue, ID=5454, 유형=도구)][include(틀:t기타)] 환경 보전을 위한 가이드 우클릭 시}}}|| 인벤토리에 있을 시 플레이어의 공격이 식물을 비롯한 자연물이 파괴되는 것을 막아준다. 문제는 저 자연물에 '''항아리'''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탐험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위의 동물 교감을 위한 가이드와 마찬가지로 오른쪽 클릭을 통해 기능을 켜고 끌 수 있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평화 공존을 위한 가이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uide to Peaceful Coexistence, 한=평화 공존을 위한 가이드, v=1.4.4, 희소=green, ID=5323, 유형=도구)][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동물 교감을 위한 가이드, 사진=GuideToCritterCompanionship.png, 문서=아이템/도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환경 보전을 위한 가이드, 문서=아이템/도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작업대,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4px)]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기타)] 평화 공존을 위한 가이드 (비활성) 우클릭 시}}}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평화 공존을 위한 가이드 (비활성))][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uide to Peaceful Coexistence (Inactive), 한=평화 공존을 위한 가이드 (비활성), v=1.4.4.5, 희소=blue, ID=5455, 유형=도구)][include(틀:t기타)] 평화 공존을 위한 가이드 우클릭 시}}}|| 플레이어의 공격이 동물에게 피해를 입히는 것과 자연물을 파괴하는 것을 방지한다.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마법의 스포이드)][anchor(마법의 물 스포이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agic Water Dropper, 한=마법의 물 스포이드, 스택=9999, v=1.3.0.1, ID=3182, 희소=white, 과정=ⓗ, 유형=도구\, 재료)][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빈 스포이드, 사진=EmptyDropper.png, 문서=아이템/재료,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수정구, 사진=CrystalBall.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물, 사진=Water.png,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개수대, 사진=MetalSink.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16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마법의 용암 스포이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agic Lava Dropper, 한=마법의 용암 스포이드, 스택=9999, v=1.3.0.1, ID=3184, 희소=white, 과정=ⓗ, 유형=도구\, 재료)][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빈 스포이드, 사진=EmptyDropper.png, 문서=아이템/재료,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수정구, 사진=CrystalBall.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용암,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1>{{{#!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마법의 꿀 스포이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agic Honey Dropper, 한=마법의 꿀 스포이드, 스택=9999, v=1.3.0.1, ID=3185, 희소=white, 과정=ⓗ, 유형=도구\, 재료)][include(틀:t조합)] [include(틀:t캡션, 이름=빈 스포이드, 사진=EmptyDropper.png, 문서=아이템/재료,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수정구, 사진=CrystalBall.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꿀,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마법의 모래 스포이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agic Lava Dropper, 한=마법의 모래 스포이드, 스택=9999, v=1.3.3, ID=3782, 희소=white, 과정=ⓗ, 유형=도구)][include(틀:t조합)] 3개 = [include(틀:t캡션, 이름=빈 스포이드, 사진=EmptyDropper.png, 문서=아이템/재료, h=24px)] (3) + [include(틀:t캡션, 이름=아무 모래, 확장자=gif, 문서=아이템/설치/블록,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수정구, 사진=CrystalBall.png, 문서=아이템/설치/가구, h=24px)]}}}|| 천장에 설치하면 액체 방울이 떨어지는 시각적 효과를 낸다. 또한 [[테라리아/아이템/설치/전기#액체 센서|액체 센서]]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마법의 모래 스포이드는 천장에 설치하면 모래 가루가 떨어지는 시각적 효과를 낸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예초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awn Mower, 한=예초기, v=1.4.0.1, 희소=blue, ID=4049, 유형=도구, 자동=↻)][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골프 선수, 문서=NPC, h=24px)] (1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잔디를 깎아서 적의 스폰 확률을 줄이고 풀이 자라는 것을 방지하여 골프 공이 움직이는 방식을 변경시킨다. 이동하면서 사용하는 동안 몬스터나 동물에게 8 데미지를 입힌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모래성 양동이)][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andcastle Bucket, 한=모래성 양동이, v=1.4.0.1, 희소=blue, ID=4460, 유형=도구, 자동=↻)][include(틀:t보물)] [[파일:Terraria/물 상자.png|height=16px]] 물 상자 (50%)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보물)] \[[include(틀:t캡션, 이름=바다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해변 크레이트, 문서=아이템/소비, h=24px)]] (10%)}}} || [[파일:Terraria/Sandcastles.png]] || || 네 종류의 모래성 || 모래 블록 하나를 소모하여 모래 관련 블록 또는 플랫폼 위에 모래성을 설치한다. ==== 연 ==== PC 1.4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들고 다닐 수 있으며 바람이 불거나 빠르게 이동하면 난다. 모든 연의 판매 가격은 은화 40닢이다. 날리는 도중에 좌클릭으로 줄을 풀고 우클릭으로 줄을 감을 수 있다. 바람이 부는 날에만 연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이 부는 지 꼭 확인하고 잡으러 가도록 하자.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파란색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lue Kite, 한=파란색 연, 사진=Terraria/BlueKite.png, v=1.4.0.1, 희소=blue, ID=4367,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바람 풍선, 문서=이벤트, h=24px)] (1.39%)[br](흔들바람이 불 때)}}}||<^|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파란색과 노란색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lue and Yellow Kite, 한=파란색과 노란색 연, 사진=Terraria/BlueandYellowKite.png, v=1.4.0.1, 희소=blue, ID=4368,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바람 풍선, 문서=이벤트, h=24px)] (1.39%)[br](흔들바람이 불 때)}}}||<^|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빨간색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Red Kite, 한=빨간색 연, 사진=Terraria/RedKite.png, v=1.4.0.1, 희소=blue, ID=4369,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바람 풍선, 문서=이벤트, h=24px)] (1.39%)[br](흔들바람이 불 때)}}}||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빨간색과 노란색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Red and Yellow Kite, 한=빨간색과 노란색 연, 사진=Terraria/RedandYellowKite.png, v=1.4.0.1, 희소=blue, ID=4370,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바람 풍선, 문서=이벤트, h=24px)] (1.39%)[br](흔들바람이 불 때)}}}||<^|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노란색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Yellow Kite, 한=노란색 연, 사진=Terraria/YellowKite.png, v=1.4.0.1, 희소=blue, ID=4371,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바람 풍선, 문서=이벤트, h=24px)] (1.39%)[br](흔들바람이 불 때)}}}|| ||<^|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금붕어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Goldfish Kite, 한=금붕어 연, 사진=Terraria/GoldfishKite.png, v=1.4.0.1, 희소=blue, ID=4674,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바람 풍선, 문서=이벤트, h=24px)] (1.39%)[br](흔들바람이 불 때)}}}||<^|1>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토끼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unny Kite, 한=토끼 연, 사진=Terraria/BunnyKite.png, v=1.4.0.1, 희소=blue, ID=4612,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바람 풍선, 문서=이벤트, h=24px)] (1.39%)[br](흔들바람이 불 때)}}}||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오염된 토끼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orrupt Bunny Kite, 한=오염된 토끼 연, 사진=Terraria/CorruptBunnyKite.png, v=1.4.0.1, 희소=blue, ID=4670,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오염된 토끼, 문서=이벤트, h=24px)] (4%)[br](흔들바람이 불 때)}}}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진홍색 토끼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rimson Bunny Kite, 한=진홍색 토끼 연, 사진=Terraria/CrimsonBunnyKite.png, v=1.4.0.1, 희소=blue, ID=4671,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지독한 토끼, 문서=이벤트, h=24px)] (4%)[br](흔들바람이 불 때)}}}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파란 해파리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lue Jellyfish Kite, 한=파란 해파리 연, 사진=Terraria/BlueJellyfishKite.png, v=1.4.0.1, 희소=blue, ID=4649,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파란 해파리, 문서=몬스터, h=24px)] (2%)[br](흔들바람이 불 때)}}}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분홍 해파리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ink Jellyfish Kite, 한=분홍 해파리 연, 사진=Terraria/PinkJellyfishKite.png, v=1.4.0.1, 희소=blue, ID=4650,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분홍 해파리, 문서=몬스터, h=24px)] (2%)[br](흔들바람이 불 때)}}}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맨 이터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Man Eater Kite, 한=맨 이터 연, 사진=Terraria/ManEaterKite.png, v=1.4.0.1, 희소=blue, ID=4648,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맨 이터, 문서=몬스터, h=24px)] (4%)[br](흔들바람이 불 때)}}}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상어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hark Kite, 한=상어 연, 사진=Terraria/SharkKite.png, v=1.4.0.1, 희소=blue, ID=4651,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상어, 사진=Shark.png, 문서=몬스터, h=24px)] (4%)[br](흔들바람이 불 때)}}}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모래 상어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and Shark Kite, 한=모래 상어 연, 사진=Terraria/SandSharkKite.png, v=1.4.0.1, 희소=blue, ID=4669,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모래 상어, 사진=SandShark.png, 문서=이벤트,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뼈를 깨무는 자, 사진=BoneBiter.png, 문서=이벤트,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살덩이 약탈자, 사진=FleshReaver.png, 문서=이벤트, h=16px)] / [include(틀:t캡션, 이름=수정 환도상어, 사진=CrystalThresher.png, 문서=이벤트, h=16px)] (4%)[br](흔들바람이 불 때)}}}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뼈 구렁이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one Serpent Kite, 한=뼈 구렁이 연, 사진=Terraria/BoneSerpentKite.png, v=1.4.0.1, 희소=blue, ID=4610,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뼈 구렁이, 문서=몬스터, 파생=머리, h=24px)] (6%)[br](흔들바람이 불 때)}}}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월드 피더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orld Feeder Kite, 한=월드 피더 연, 사진=Terraria/WorldFeederKite.png, v=1.4.0.1, 희소=blue, ID=4611, 과정=ⓗ,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월드 피더, 문서=몬스터, 파생=머리, h=24px)] (4%)[br](흔들바람이 불 때)}}}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앵그리 트래퍼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Angry Trapper Kite, 한=앵그리 트래퍼 연, 사진=Terraria/AngryTrapperKite.png, v=1.4.0.1, 희소=blue, ID=4675, 과정=ⓗ,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앵그리 트래퍼, 문서=몬스터, h=24px)] (4%)[br](흔들바람이 불 때)}}}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와이번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yvern Kite, 한=와이번 연, 사진=Terraria/WyvernKite.png, v=1.4.0.1, 희소=blue, ID=4379, 과정=ⓗ,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와이번, 문서=몬스터, 파생=머리, h=24px)] (4%)[br](흔들바람이 불 때)}}}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피그론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Pigron Kite, 한=피그론 연, 사진=Terraria/PigronKite.png, v=1.4.0.1, 희소=blue, ID=4613, 과정=ⓗ,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피그론, 확장자=gif, 문서=몬스터, h=24px)] (4%)[br](흔들바람이 불 때)}}}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방황하는 눈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Wandering Eye Kite, 한=방황하는 눈 연, 사진=Terraria/WanderingEyeKite.png, v=1.4.0.1, 희소=blue, ID=4683, 과정=ⓗ,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방황하는 눈, 확장자=gif, 문서=몬스터, h=24px)] (4%)[br](흔들바람이 불 때)}}}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유니콘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Unicorn Kite, 한=유니콘 연, 사진=Terraria/UnicornKite.png, v=1.4.0.1, 희소=blue, ID=4684, 과정=ⓗ,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유니콘, 문서=몬스터, h=24px)] (4%)[br](흔들바람이 불 때)}}}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비단잉어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Koi Kite, 한=비단잉어 연, 사진=Terraria/KoiKite.png, v=1.4.0.1, 희소=blue, ID=4676, 유형=도구)][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동물학자,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흔들바람이 불 때)}}}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크롤티피드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Crawltipede Kite, 한=크롤티피드 연, 사진=Terraria/CrawltipedeKite.png, v=1.4.0.1, 희소=blue, 과정=ⓗ, ID=4677, 유형=도구)][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동물학자,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테라리아/이벤트#태양의 기둥|태양의 기둥]] 격파 이후 흔들바람이 불 때)}}}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스펙트럼 연)][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Spectrum Kite, 한=스펙트럼 연, 사진=Terraria/SpectrumKite.png, v=1.4.0.1, 희소=blue, ID=4681, 유형=도구)][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파티 걸, 문서=NPC, h=24px)] (2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br](흔들바람이 불 때)}}} ==== 블록 완드 ==== 특정 블록을 설치하거나 움직이는 데 필요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흙 막대)][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Dirt Rod, 한=흙 막대, v=1.0, 희소=blue, ID=114, 유형=도구)][include(틀:t구입)] [include(틀:t캡션, 이름=드라이어드, 사진=Dryad.png, 문서=NPC, h=24px)] (5 [[파일:Terraria/GoldCoin.png|height=12px]])}}} 이걸 들고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흙|흙]]에다가 클릭을 하면 흙을 마우스로 옮길 수 있다. 한 마디로 [[염동력]] 기능이 붙은 [[삽]]. 흙을 들어올린 뒤 공중에서 놓으면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모래|모래 블록]]처럼 아래로 떨어지지만[* 정확히는 놓기 직전까지의 운동 에너지를 갖고 움직이다가 지면에 닿으면 다시 굳는다. 이 점을 이용해 위로 던질 수도 있다.] 적에게 맞춘다고 피해를 주진 않는다. 쓸모가 없어서 거의 사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급할 때 만드는 배리어 정도로는 쓸 수 있다. 1.3 이전에는 그 애매한 성능에도 불구하고 무려 금화 '''20닢'''이라는 하드모드 이전치고 무지막지한(...) 가격이었으나 1.3 이후 5닢으로 조정되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생나무 완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iving Wood Wand, 한=생나무 완드, v=1.2, 희소=blue, ID=832, 자동=↻, 유형=도구)][include(틀:t보물)] 숲의 [[파일:Terraria/생나무 상자.png|height=16px]] 생나무 상자 (66.67%)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나무를 흔들 때 (0.3333%)}}}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일반 나무|일반 나무]]를 써서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생나무|생나무]]를 설치할 수 있게 해준다. 단순히 말해서 장식용 아이템.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잎사귀 완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eaf Wand, 한=잎사귀 완드, v=1.2, 희소=blue, ID=933, 자동=↻, 유형=도구)][include(틀:t보물)] 숲의 [[파일:Terraria/생나무 상자.png|height=16px]] 생나무 상자 (66.67%)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나무를 흔들 때 (0.3322%)}}}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일반 나무|일반 나무]]를 써서 나뭇잎을 설치할 수 있게 해준다. 나중에 거대 나무를 건축 용도로 직접 만들 생각이면 [[#생나무 완드|생나무 완드]]와 함께 필요한 아이템이기도 하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생 마호가니 완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Living Mahogany Wand, 한=생 마호가니 완드, v=1.3.0.1, 희소=blue, ID=3360, 자동=↻, 유형=도구)][include(틀:t보물)] 정글 지하의 [[파일:Terraria/넝쿨 상자.png|height=16px]] 넝쿨 상자 (16.67%)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진한 마호가니를 흔들 때 (0.5%)}}}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진한 마호가니|진한 마호가니]]를 써서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생 마호가니|생 마호가니]]를 설치할 수 있게 해준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마호가니 잎사귀 완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Rich Mahogany Leaf Wand, 한=마호가니 잎사귀 완드, v=1.3.0.1, 희소=blue, ID=3361, 자동=↻, 유형=도구)][include(틀:t보물)] 정글 지하의 [[파일:Terraria/넝쿨 상자.png|height=16px]] 넝쿨 상자 (16.67%) [[파일:290px구분선.png]][include(틀:t채집)] 진한 마호가니를 흔들 때 (0.4975%)}}}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진한 마호가니|진한 마호가니]]를 써서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마호가니 나뭇잎|마호가니 나뭇잎]]을 설치할 수 있게 해준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벌집 완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Hive Wand, 한=벌집 완드, 사진=Terraria/HiveWand.png, v=1.2, 희소=blue, ID=1129, 자동=↻,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여왕벌, 문서=보스, 파생=축소)] (33% / {{{#E80 100%}}})}}}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벌집|벌집]]을 설치할 수 있게 해준다. 벌집을 설치했다가 제거하는 식으로 꿀을 어느 정도 생산할 수 있다. {{{#!wiki style="width: 280px; margin: auto; border: 1px solid #AAA; border-radius: 8px; padding: 4px; background: #E3ECE3; font-weight: bold; font-size: 11px; text-align: center;" dark-style="background: #1C1D1F;" \ [anchor(뼈다귀 완드)][include(틀:t인포박스/아이템, 영=Bone Wand, 한=뼈다귀 완드, v=1.2, 희소=blue, ID=932, 자동=↻, 유형=도구)][include(틀:t드롭)] [include(틀:t캡션, 이름=성난 해골, 문서=몬스터/던전,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암흑 소환사, 문서=몬스터/던전, h=24px)] / [include(틀:t캡션, 이름=저주받은 두개골, 문서=몬스터/던전, h=16px)][br](0.4%)}}} [[테라리아/아이템/무기/원거리#뼈다귀|뼈다귀]]를 써서 [[테라리아/아이템/설치/블록#뼈다귀 블록|뼈다귀 블록]]을 설치할 수 있다. [[분류:테라리아/아이템]]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GarrulousKnowingChunkyLunchroom, 합의사항1=Chlorophyte의 한글 표기를 '녹조류'로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