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별궁과 궁가]] [include(틀:조선의 별궁과 궁가)] == 개요 == 조선 후기 왕자들과 왕족이 머물었던 별궁이다. == 상세 == [[경복궁]] 북동쪽에 있었으며, 후원의 동쪽 출입문인 춘양문과 담장이 연결되었다. 현재의 [[삼청동]] [[국무총리]] [[관저|공관]]을 포함한 그 북쪽 일대이다. [[19세기]]까지 이곳에는 특별한 시설이 없었다. 유일하게 [[18세기]]의 지도인 호암미술관 소장 《한양도성도(漢陽都城圖)》에 태백성(太白星)을 제사지내는 제성단(祭星壇)이 그려져 있을 뿐이었다. 자세한 시기는 모르나 고종 대에 경복궁 후원을 조성하면서 이 일대에 태화궁을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에 철거되었다. 이 일대는 이후 [[이완용]]의 서형(庶兄) 이윤용의 아들과 친일파 [[송병준]]의 소유가 되었다. 1961년부터 [[국무총리]] [[관저|공관]]이 들어서 현재에 이른다. == 여담 == * 1895년(고종 32년) [[을미사변]] 당시 [[경복궁]]을 지키는 금군(禁軍)이 태화궁에 주둔해 있다가 춘생문을 통하여 궐내에 진입하였다. 같은 해 [[고종(대한제국)|고종]]을 미국 공사관으로 피신시키려던 [[춘생문 사건]] 때에 시종 임최수, 참령 [[이도철]] 등이 훈련원에서 군사를 모아 태화궁에 군대를 주둔시켜 놓고 춘생문을 통해 궐내로 진입하려다가 [[중추원(대한제국)|중추원]] 의관 [[안경수]]와 친위대 대대장 [[이진호(1867)|이진호]]의 밀고로 실패하였다. * 경역 내에는 수령 300년 가량의 [[측백나무]]와 수령 750 ~ 900년의 [[등나무]]가 있다. ‘사병(似屛)’, ‘안득불애(安得不愛)’, ‘강청대(康淸臺)’라는 글자가 새겨진 암벽도 있다. [각주][include(틀:표절, version=1~5, source=한국학진흥사업 역주조선왕조실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