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泰川驛 / Thaechŏn Station }}} ||<:><-3>{{{+2 '''태천역'''}}}|| ||<-3>{{{#!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태천역, 너비=100%, 높이=100%)]}}}|| ||<-3><:>'''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2> Thaechŏn || ||<:>[[한자]]||<:><-2><|2> 泰川 || ||<:>[[간체자]]|| ||<:>[[일본어]]||<:><-2>[ruby(泰川, ruby=テチョン)] || ||<-3><:>'''주소'''|| ||<-3><:> [[평안북도]] [[태천군]] 태천읍 || ||<:><-3>'''관리역 등급'''|| ||<:><-3> 불명[br](개천철도총국) || ||<:><-3>'''운영 기관'''|| ||<:>[[청년팔원선]]||<:><-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svg|width=120px]]]] || ||<:><-3>'''개업일'''|| ||<:>[[청년팔원선]]||<:><-2> 1976년 ??월 ??일 || ||<-3><:>'''열차거리표'''|| ||<:>[[구장청년역|{{{-1 {{{#585858,#cccccc 구장청년 방면}}}}}}]][br][[연중역|연 중]][br]← 5.0 ㎞||<:>'''[[청년팔원선]]'''[br]태 천||<:> [[구성역(평북선)|{{{-1 {{{#585858,#cccccc 구성 방면}}}}}}]][br][[산성역(청년팔원선)|산 성]][br]4.7 ㎞ →|| [clearfix] [목차] == 개요 == [[청년팔원선]]의 철도역. [[평안북도]] [[태천군]] 태천읍 서쪽 소재. == 역 정보 == 사실상 청년팔원선에서 유일하게 시종점을 제외하고 읍 시가지에 있는 역이다. 청년팔원선에서 녕변읍에 가장 가까운 역은 [[녕변역]]인데 이것도 역에서 떨어져 있고, 지선의 [[분강역]]이라고 하는 역은 현재의 녕변읍이 아닌 남등리의 동안, 서산리에 있기 때문이다. 선로는 본 역사가 적어도 1면 4선은 되며, 역의 서쪽에서 분기선이 있어 역의 남쪽에 나란히 또 몇개의 선로가 놓여 기차들을 세우게 되어 있다. 그런데 그 사이에도 또 집들이 놓여있다. 인입선이 대단히 복잡하게 나 있는 편. 민가는 주로 역의 동북쪽에 위치해 있다. 중심부의 크기는 철로 인근에 나 있는 농경지를 제외하면 약 2㎢ 정도의 크기이며, 이는 대략 [[함경남도]] [[덕성군]]의 크기와 비슷하다. 북한에 인구밀집지역이 적은 것을 감안하면 작은 편이라고 보기는 어려우나(더구나 태천군은 광복 전에도 존재하던 군이었다), 아무래도 북쪽 멀리 떨어진데다가 1970년에서야 간신히 철도가 연결된 것이 성장을 가로막은 요인으로 보인다. 이 역과 연중역 사이에는 천방강과 대령강이 있어 철교로 건넌다. [[분류:1976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