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광주시의 법정동]]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구광역시 북구 태전동, rd1=태전동(대구))] [include(틀:광주시의 읍면동)] ||<-2> '''[[광주시|{{{#000000,#dddddd 광주시}}}]]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태전동}}}'''[br]胎田洞 | Taejeo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광주시 태전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광주시 || || '''행정표준코드''' || 4161011000 || || '''관할 행정동''' || 광남1동, 광남2동 || || '''면적''' || 4.93㎢ || [목차][clearfix] == 개요 == [[경기도]] [[광주시]]에 있는 [[법정동]]으로 [[회안대로]]가 지나간다. [[택지개발]]로 인해 광주시에서 가장 인구 증가 속도가 빠른 곳이다. 현재 태전동이 광주 인구 15% 이상, 고산지구([[오포1동|고산동]] 소재) 입주 후에는 태전고산지구가 광주 인구의 20~25%를 담당할 것이라고 한다. 행정동 광남1동과 광남2동으로 갈라져 있다. == 관할 행정동 == === 광남1동 === ||<-2> '''[[광주시|{{{#000000,#dddddd 광주시}}}]]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광남1동}}}'''[br]廣南一洞 | Gwangnam 1(il)-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광주시 광남1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광주시 || || '''행정표준코드''' || 5540304 || || '''관할 법정동'''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삼동, 중대동, 직동,[br] 태전동, 장지동, 목동}}} || || '''하위 행정구역''' || 21통 94반 || || '''면적''' || 26.13㎢ || || '''인구''' || 34,104명[*A 2023년 3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305.17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광주시 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소병훈]] ,,(재선),, || ||<-2> '''경기도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임창휘 ,,(초선),, || ||<-2> '''광주시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노영준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오현주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은채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고불로 73-31 (태전동 261-20) || || [[https://www.gjcity.go.kr/csc/gwangnam1/main.do?mId=1500000000&token=1682574769626|광남1동 행정복지센터]] || [clearfix] === 광남2동 === ||<-2> '''[[광주시|{{{#000000,#dddddd 광주시}}}]]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광남2동}}}'''[br]廣南二洞 | Gwangnam 2(i)-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광주시 광남2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광주시 || || '''행정표준코드''' || 5540297 || || '''관할 법정동''' || 태전동 || || '''하위 행정구역''' || 25통 159반 || || '''면적''' || 2.28㎢ || || '''인구''' || 33,469명[*A] || || '''인구밀도''' || 14,679.39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광주시 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소병훈]] ,,(재선),, || ||<-2> '''경기도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임창휘 ,,(초선),, || ||<-2> '''광주시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노영준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오현주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은채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태봉로 45 (태전동 249-2) || || [[https://www.gjcity.go.kr/csc/gwangnam2/main.do?mId=1600000000&token=1682574780297|광남2동 행정복지센터]] || [clearfix] == 주거 시설 == === 아파트 === 광남2동에 속해 있는 태전동 중심가에는 성원[* 성원상떼빌], 쌍용[* 쌍용스윗닷홈], e-편한세상[* e-편한세상태전1, 2차], 자이[* 태전파크자이], 힐스테이트[* 힐스테이트태전 5지구, 한아람마을, 9단지, 2차21단지, 2차에듀포레], 아이파크[* 태전아이파크], 우림[* 태전우림필유], 효성[* 태전효성해링턴플레이스], 지웰[* 태전지웰아파트], 더샵(고산)[* [[더샵 오포 센트럴포레]], [[더샵 오포센트리체]]]이 있다. 그야말로 아파트 브랜드 경합지. 다른 신도시에 비해 특이한 점이 있는데, 2010년대 말~2020년대 초에 지은 신축 단지 사이에 2000년대 초중반에 지은 구축 아파트가 섞여있다. 원래 이곳은 밭과 소규모 공장이 섞여 있는 곳이었는데 2000년대에 광주가 개발되면서 아파트 단지가 조금씩 들어섰다. 그 이후 태전지구 개발계획이 잡히면서 구축과 신축이 섞인 형태가 된 것이다. 그래서 먼저 지어진 e편한세상 1차와 고산지구의 금호베스트빌은 도로망과 아파트 모양이 안 맞는다. 성원상떼빌은 메인 도로를 잘 내놓고 대단지로 지었기에 도로 모양이 잘 맞는 편. == 교육 시설 == === 초등학교 === 광남초등학교, 태전초등학교, 태성초등학교, 한아람초등학교, 고산하늘초등학교(고산) 총 5개의 초등학교가 있다. 광남1동으로 편입된 태전동 구도심의 태전효성해링턴플레이스, 미진아파트에 사는 초등학생 주민들은 광남초등학교로 등교한다. 태전초-태성초는 도보 약 500m, 태성초-한아람초는 도보 약 700m이다. 태성초등학교, 한아람초등학교의 잇달은 준공 및 개교로 인해 태전초등학교의 학생 수 및 학급 수가 줄어드는 추세이다. === 중학교 === 광주광남중학교 현재 단 1개의 중학교가 있고 2023년 2월에 태전중학교가 생길 예정이다. 다른 두 개의 초등학교의 새로운 개교로 인해 학생 수가 줄어드는 태전초등학교와 다르게 중학교는 아직 신설되지 않아 태전동의 인구가 증가하면 증가하는 대로 광남중학교가 다 받아 2020학년도 광남중의 1학년 학급 수는 16반에 이른다. 태전중학교가 현재 공사 중에 있으며, 완공되면 광주광남중학교의 지나친 비대함이 해소될 전망이다. === 고등학교 === [[광남고등학교(경기)|광남고등학교]](장지동), [[태전고등학교]] 총 2개의 고등학교가 있다. == 교통 == === 도로 === 회안대로 하나만 끼고 있는 태전동의 인구 급증으로 안 그래도 막히던 회안대로는 더 막힌다. 태전동 내부 도로도 출퇴근 수요를 버티지 못해 잘 안되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회안대로를 안 거치고 태전지구 진입로를 통해 성남이천로와 바로 연결되는 중대IC가 24년말 개통예정으로 공사중이다. 주말이 되면 강원도 방향으로 휴양차 이동하는 차들로 인해 회안대로는 물론 직리천을 끼는 태봉로 43번길까지 더욱 더 막힌다. 그나마 2020년에 남쪽 고산동 방면으로 빠져서 포은대로([[43번 국도]])와 연결되는 도로가 생겼는데, 태전동 남쪽 끝이라 많이 돌아가야 한다. 경기광주역과 곤지암 방향으로 접근성 및 교통분산을 위해 태전지구에서 광남고를 지나 광주시차량등록사업소 사거리로 가는 도시계획도로가 임시개통되어 23년 4월말 전면 개통예정이다 === 버스 === 태전동을 경유하는 버스 노선은 일반 버스는 [[경기광주 버스 32|32번]], [[경기광주 버스 32-1|32-1번]], [[경기광주 버스 320|320번]], [[경기광주 버스 660|660번]], [[경기광주 버스 17-1|17-1번]], [[경기광주 버스 3|3번]], [[경기광주 버스 33|33번]]이 있고, 광역 버스는 [[경기광주 버스 1005|1005번]], [[경기광주 버스 G3202|G3202번]], [[경기광주 버스 3201|3201번]], [[경기광주 버스 3302|3302번]] 그리고 [[성남 버스 3100]]이 있다. 인구에 대비해 배차간격이 정상적인 버스가 없다. 32번 20분 내외, 32-1번 평일 20분 내외 및 주말 40~60분, 660번 10~60분 , 17-1번 60분~180분 이상, 3번 40분 내외, 33번 40~60분 등은 인구에 대비해 배차간격이 긴 편이다. 그래도 660번, 3번은 평일 오전에는 자주 오나, 660번은 평일 7시부터 9시까지는 보통 20~30분에 1대씩 오고 3번은 낮 시간대를 제외하고 자주 오는 편이다. 다만 [[경기광주 버스 3]]은 각각 11시 20분, 12시, 12시 45분으로 배차간격이 [[경기광주 버스 660]]만큼 길 때도 있다. 요즘에는 32번 버스가 평일 낮에 30~50분 정도에 1대씩 오는 느낌이 없지 않아 있다. 또한 1005번도 50~80분 간격으로 와서 점점 60번과 660번을 따라가는 추세이다. === 전철 === 광주시 인구를 15% 이상 담당하는 것 치고 전철의 접근성이 '''매우''' 좋지 않다. 태전동에서 인근의 두 [[경강선]] 역인 [[삼동역]]이나 [[경기광주역]]을 '''가기 위해서 자가용이나 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경강선]]은 태전동이 개발되는 중에 개통하였는데, 태전동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위치에 [[경기광주역|전철역]]이 들어선 것이 그 이유이다. [[삼동역]]은 [[삼동]]에 있고, [[경기광주역]]은 무려 고려시대(...)부터 역참이 있었다 하여 지어진 명칭인 역 그 자체인 [[역동]]에 있다. 그래서 태전동에는 애초에 대중교통을 이용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으며 대부분 자가용을 이용한다. 특히 태전신도시 쪽은 외제차가 유달리 많은 편이다. 전철을 이용하여 태전동에서 [[판교역(성남)|판교역]]으로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경기광주 버스 32]][* 32번은 삼동역 정류장까지 들어가지도 않으며 삼동 갈마주유소에서 내려야 한다.], [[경기광주 버스 32-1]], [[경기광주 버스 320]]을 타고 [[삼동역]]을 걸쳐 가야 한다. 태전지구의 개발과 지속적인 버스 배차 개발로 인하여 배차시간이 점차 감소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한 태전동 → 판교역이 네이버 지도 상으로는 40분으로 잡힌다. 그러나 [[삼동역]]으로 가기 위하여 태전동에서 출발하는 버스들의 배차간격이 모두 최소 15분, 버스를 타고 [[삼동역]]으로 가는 시간이 최소 15분으로 이렇게 태전동에서 삼동역까지의 시간만 해도 빨라야 30분 정도로 넉넉잡아야 하며, 그렇게 삼동역에 도착하여도 삼동역에서 판교역으로 가는 경강선 고유의 배차 간격 15~20분까지 고려하여 태전동에서 판교역까지 걸리는 시간이 최소시간으로 잡아도 50분은 걸린다. 여담으로 태전동에서 거의 보지 못하는 [[경기광주 버스 660]]은 태전동에서 [[경기광주역]]으로 가는 길이 좋은 편이라 역까지 10분 이내로 걸리는 대신 배차간격이 40~50분 남짓이니 행운이 따르지 않는 이상 포기하는 것이 정신에 이롭다. 이로 인해 [[삼동역]]에서 [[경강선]] 지선을 태전지구를 지나도록 연장하여[* [[용인시]]가 [[에버랜드]]를 거쳐 [[안성시]]까지 연장하는 것으로 추진하는 노선인데, 광주시도 반대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서로 업무협약을 맺은 상황이다.] 태전지구 신도심에 지하철역, 가칭 태전고산역을 설치해 달라는 태전동 주민들의 의견이 많으며 2022년 6월 동시지방선거에서 태전고산을 의식하는 광주시장 일부 후보들도 이것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만약 이것이 현실화된다면 아예 태전역에서 [[이매역]]과 [[판교역(성남)|판교역]]까지 스트레이트로 갈 수 있다. 만약 [[수서광주선]]에 전철이 들어간다면 1회 환승으로 [[모란역]]과 [[수서역]]도 가능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