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Tassadar/Zeratul''' [[스타크래프트]]의 집정관 영웅 유닛이자 '''스타크래프트 1 단일 전투력의 최강자.''' 스펙은 체력 100/보호막 800/공격 60[* 일반 집정관의 2배 공격력으로, 태사다르의 공격력 20과 제라툴의 공격력 100의 정확히 중앙값을 갖는다.]/방어 3으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무시무시한 능력치를 지니고 있다. 이름이 너무 길다보니 보통 '태제', 또는 그냥 '영웅 아칸'이라고 부른다. [[하위 문서]]를 나타내는 나무위키 표제어 규칙과 착각할 수 있는데, 정식으로 이름에 [[슬래시]]([[문서:/|/]])가 들어가 있다. == 스토리상의 등장 == 이름과 달리 [[태사다르]]와 [[제라툴]] 두 인물과 별다른 연관은 없는 존재로, 어느 임무에도 나오지 않는 유닛이다. 그 이유에는 여러가지 추측이 있는데, 이 영웅이 그냥 빈 [[집정관(스타크래프트 시리즈)|집정관]] 영웅의 자리를 채우기 위해 만들었다는 주장과, 당초 시나리오가 태사다르와 제라툴이 융합해 [[초월체]]를 소멸시키는 것에서 [[간트리서]]의 자폭으로 바뀐 흔적이라는 주장이 있었다. 혹은 원래 스토리상 초월체의 최후는 태사다르와 제라툴이 힘을 합쳐 자폭하는 이야기로 계획했다가, 둘 다 사라지면 이후 이야기를 이끌어갈 영웅이 부족하다고 판단해 태사다르의 단독 자폭으로 변경한 것일 수도 있다.[* 실제로 [[제라툴]]은 스타 1 오리지날의 대미를 장식한 태사다르의 최후 후인 브루드 워 시나리오에서, [[샤쿠라스]]로 본진을 옮긴 프로토스들의 대(對)저그 항전을 진두지휘한 핵심 인물의 역할을 맡으며, 후속 3부작에서도 종족 간의 다툼보다 더 근본적인 멸망의 예언을 피하기 위해 동분서주했다.] 설정상 [[초월체]]의 최후는 칼라이 프로토스의 힘인 [[칼라(스타크래프트 시리즈)|칼라]]와 네라짐 프로토스의 힘인 [[공허(스타크래프트 시리즈)|공허]]를 합쳐 생성한 [[황혼(스타크래프트 시리즈)|황혼]]의 에너지로 끝장냈다는 설정인데, 태사다르가 대영웅이긴 해도 별다른 복선도 없이 갑자기 '공허'의 힘을 깨우쳐 사용했다는 것은 다소 작위적이다. 따라서 초창기에는 '제라툴'도 같이 희생되는 시나리오였다가 변경되었고 '태사다르/제라툴' 아콘 영웅은 그 흔적이라는 게 설득력이 있다. == 스펙 == 기본 능력치가 말도 안 되게 강해서, 보호막 800에 체력이 100으로, 베슬의 EMP를 맞아 실드가 벗겨져도 어느정도 버틴다. 공격도 풀업 기준으로 무려 '''69'''[* 업그레이드 당 +3씩이라 노업은 60, 1업시 63, 2업시 66, 풀업은 69이다.]라는 데미지를 자랑하며,[* 공성 모드의 [[아크라이트 공성 전차]]의 대미지보다 불과 1 적다. 하지만 공격 판정이 일반형이고 공속도 이쪽이 훨씬 더 빠르기 때문에 실질적으론 태사다르/제라툴이 더 위협적이다.] [[저글링(스타크래프트 시리즈)|저글링]]은 당연하고 테란의 바이오닉 병력들도 무조건 '''원샷 원킬'''이며 영웅 유닛 가운데 가장 깡패로 평가받는 [[토라스크]]도 1대1로 이기는 유일무이한 영웅 유닛이다.[* 단, 컨트롤을 허용할 경우 토라스크가 1대 차이로 근소하게 승리한다. 울트라리스크는 때리고 있는 적을 계속 우클릭해주면 공격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 저그 프로게이머들도 울트라리스크를 컨트롤할 여유가 있을 경우 이렇게 해 준다.] 지형이 평지이고 컨트롤이 없다고 가정할 때 스타크래프트의 모든 디폴트 상태인 유닛들에게 1:1로 늘 이기며, 집정관이라서 잠금, 거미 지뢰, 공생충, 대혼란에도 안 걸리고 토라스크는 지상공격만 가능한 단점도 있는데 이 녀석은 공중공격까지 가능하고 스플래시 대미지까지 있어 영웅 유닛 중 최강이라 할 수 있다. 실전에도 등장한다 가정하면 [[저그]]에게는 대재앙 그 자체이다. 풀업 기준으로 [[울트라리스크]]와 [[수호군주]], [[포식귀]]를 제외한 모든 전투유닛은 두 방을 채 못 버티며, 정신체 유닛이라 공생충도 안 통하고, 집정관 특유의 보호막 비율 때문에 플레이그도 별 타격을 못 준다. [[보호막 충전소]]가 근처에 있다면 그야말로 무적. 하지만 [[테란]] 입장에서는 얘기가 달라진다. 공성전차 다수를 쓰면 해치울 수 있으며, 일반 집정관보다야 낫지만 EMP 맞으면 거의 헐벗은 고자가 되는 것도 똑같다.[* 약한 대미지를 빠른 속도로 퍼붓는 유닛이 많은 저그나 바이오닉 테란에게는 체력 100에 방어력 3도 꽤나 버겁지만 강력한 대미지를 느린 속도로 주는 [[메카닉 테란]]에겐 별 위협이 못 된다.] == [[집정관]]의 작명 방식? == 태사다르와 제라툴이 합쳐져 태사다르/제라툴이 되었기 때문에 이것이 일반적인 집정관의 작명이라는 인식이 있다. 단, 블리자드 공식 미디어에서 A/B 식으로 이름이 지어진 집정관은 태사다르/제라툴뿐이다. 가령 준공식 캠페인 [[스타크래프트/카논|카논]] 용병단 Ⅱ에서 나오는 네임드 집정관은 '투사 메르틱'이며, [[스타크래프트 암흑 기사단]]의 인물 [[울레자즈]]가 다수의 암흑 기사들과 함께 암흑 집정관으로 변했음에도 오직 '울레자즈'로만 호칭된다. 협동전 제라툴이 소환하는 네임드 암흑 집정관 역시 이름은 A/B 형식이 아닌 '세르다스'이다. 비공식 확장팩 및 팬 작품에는 '태사다르/제라툴'에서 모티브를 따와져 A/B로 불리는 집정관들이 있다. [[스타크래프트: 인서렉션]]에는 [[에이더스/서세스]]가, 팬픽 캠페인인 [[The Antioch Chronicles]]에는 나노스/테라둔이 등장한다. == 여담 == [[스타크래프트 2]]에서의 집정관은 전작과 달리 [[고위 기사]] + [[암흑 기사(스타크래프트 시리즈)|암흑 기사]]로 만들 수 있으며, 캠페인 기준으로 암흑 기사 둘로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압도적인 힘의 콘셉트에 맞게 유즈맵에서는 보스 역으로 애용된다. 상술했다시피 보스급 개체를 상대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몇몇 기술들을 무력화시키기 때문이며, 실드랑 체력을 모두 9999로 맞추고 공격도 스플래시가 딸린 채로 지상 및 공중을 상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파일:external/bnetcmsus-a.akamaihd.net/PIZ4EEJ0Q3YU1439405234695.jpg]] WOW에 "제라다르"라는 집정관 펫이 공허의 유산 한정판에 제공되었다. [[http://kr.battle.net/wow/ko/blog/19851629|#]] == 관련 문서 == * [[집정관(스타크래프트 시리즈)|집정관]] * [[황혼 집정관]] * [[태사다르]] * [[제라툴]] [[분류: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유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