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관광지]]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탐조)] [목차] == 개요 == [[탐조]]지(探鳥地)란 [[새]]를 관찰하기 좋은 곳을 말한다. [[철새]] 도래지도 좋은 탐조지 중 하나이다. == 유형별 탐조지 == === 강 === 겨울에 오리류[* 흰죽지, 고방오리, 쇠오리, 넓적부리, 물닭, 알락오리, 홍머리오리, 청머리오리, 비오리 등], 맹금류[* 흰꼬리수리, 참수리, 말똥가리 등]를 볼수있다. * '''하구''' 하구에는 갈대밭이 넓게 있으며 주변에는 논이 있는 경우가 많다. 봄가을에는 도요물떼새를, 겨울에는 기러기, 흰꼬리수리, 흰죽지수리, 말똥가리, 큰말똥가리, 털발말똥가리 등의 맹금류를 볼 수 있다. 간혹 두루미[* 주로 재두루미]도 관찰된다. *'''중류''' 강 중류는 보통 갈대와 버드나무가 우점하는 강변습지가 있으며 그 주변에는 주로 논이나 도시가 있다. *'''상류''' 강 상류 바로 주변에는 산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 높은 곳에서 강으로 내리꽂으며 물고기를 사냥하는 맹금류를 볼 수 있다. *'''하천''' 주로 하천 하류에 큰 모래톱이 형성되있으며 오리가 많다. 왜가리와 백로도 쉽게 볼 수 있다. *'''갈대밭 ''' 갈대밭은 하천부터 강상류-강하구, 늪, 호수 까지 다양한 곳에서 보인다. 수변공간 주위에는 갈대 말고도 물억새, 달뿌리풀, 버드나무 등 다양한 식물이 있지만 주로 갈대가 우점한다. 주로 모래톱 중간-바깥쪽을 덮고 있으며 앞쪽(하천쪽)은 자갈이나 모래, 진흙이 드러나 있다. 겨울에는 오목눈이류, 종다리류, 멧새류, 쑥새 그리고 칡부엉이, 쇠부엉이, 개구리매류를, 여름에는 개개비를, 가을에는 나그네새들, 대표적으로 희귀 개개비류, 검은딱새, 멧새류, 종다리류를 볼수있다. === 습지 === *'''논''' 벼를 키우는 곳으로 올미, 물달개비, 피 등 다른 잡초들도 많이 자라고 있다. 봄에는 여러 도요를, 늦봄에는 뜸부기를 볼 수 있다. 여름에는 뜸부기, 해오라기류, 물총새, 제비 등을 볼수있다. 가을 논둑에는 꺅도요, 바늘꼬리도요 등 꺅도요류, 밭종다리, 붉은가슴밭종다리 등의 종다리류, 흰날개해오라기 등의 해오라기류를 볼 수 있다. 논 위 전깃줄에는 비둘기조롱이가 앉아있기도 하고, 논에서는 멧새류, 쑥새, 촉새, 밭종다리류를 볼 수 있다. 논 주변 깨밭[* 논 옆에서 깨나 고추등의 작물을 재배하는 논이 많다.]에서는 되새, 참새, 쑥새 등의 깨를 좋아하는 새가 있다. 추수 이후 무논이면 꺅도요류, 밭종다리류, 할미새류가 있고, 마른 논이면 기러기류[* 특히 가을, 몇개 논만 추수했을때가 추수한 논에 집중적으로 기러기가 모인다.], 멧비둘기, 섭식하는 맹금류를 볼수있다. 초겨울에는 기러기, 물때까치, 금눈쇠올빼미가 도래한다. 기러기는 논에, 물때까치는 전깃줄과 나무나 마른 풀에, 금눈쇠올빼미는 인공구조물에 있다. 흰꼬리수리, 흰죽지수리, 독수리, 말똥가리, 큰말똥가리, 털발말똥가리 등의 맹금류도 전깃줄이나 하늘에서 보인다. *'''늪''' 늪에는 새는 물론 다양한 식물과 수서곤충, 어류 등 많은 생물이 살아간다. 여러 오리류[* 흰뺨검둥오리, 청둥오리, 물닭, 쇠물닭, 알락오리, 고방오리, 쇠오리, 넓적부리, 가창오리, 홍머리오리, 청머리오리 등], 해오라기류[* 흰날개해오라기, 덤불해오라기, 검은댕기해오라기, 큰덤불해오라기, 알락해오라기 등]를 볼 수 있다. - 추천 탐조지: 우포늪, 주남저수지, 일월저수지, 왕송호수, 달성습지 *'''호수''' === 바다 === *'''해안 ''' 갈매기[* 고대갈매기, 흰갈매기, 큰재갈매기, 재갈매기, 갈매기, 괭이갈매기, 세가락갈매기]를 볼수있다. 특히 우리나라 동해안에서는 파도가 거센 날 다양한 해양성조류[* 검둥오리, 검둥오리사촌, 흰줄박이오리, 바다비오리, 슴새]를 볼 수 있다. *'''갯벌''' 우리나라 서해 갯벌은 세계 5대 갯벌에 포함되며 다양한 생물이 살고있어 탐조하기에 좋은 환경이다. 간조에는 새들이 너무 멀리 있기 때문에, 탐조하기에는 만조 2~3시간 전이 좋다. 봄, 가을에 가면 여러종의 도요새, 물떼새, 저어새를 볼수있다. * '''연안습지''' * '''사구''' === 숲 === *'''산''' 한국은 국토의 63%가 산으로 이루어졌을 만큼 산이 많다. 이러한 산은 개발이 어려운 특성상 나무가 많아 새가 많다.[* 그러나 나무가 많아 새를 찾기 어렵기도 하다...그래서 잎이 무성한 여름에 가는것보다는 겨울이 새를 찾기 쉽다.] 다양한 산새[* 직박구리, 박새, 진박새, 쇠박새, 곤줄박이, 어치, 까치, 물까치, 딱다구리, 동고비, 딱새 등]를 볼수있다.[* 정상 부분에 바위가 있는 산은 겨울에 바위종다리도 볼수있다.] *'''섬(서해)''' 서해안 외딴섬은 나그네새와 철새들이 먼저 도래하는 곳이다. 섬에 있는 숲 지형에는 솔딱새류, 할미새류, 멧새류 등의 나그네새와 뻐꾸리, 꾀꼬리, 휘파람새[* 낮동안은 섬 전체에서 휘파람새소리, 뻐꾸기 소리가 들린다.], 되지빠귀 등의 여름철새를 볼수있다.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새들이 나오기 때문에, 이동하는 동안 주변 모든 곳[* 길위, 옆 풀숲, 수로 안, 나무 꼭대기부터 아래, 하늘까지 모든 곳을 잘 살펴봐야한다.]을 잘 살펴봐야 한다. === 도시 === * '''도심, 아파트''' 접근성이 좋고 사람에 대한 새의 경계심이 비교적 약하다. 일상 생활을 하며 쌍안경이나 촬영도구를 챙겨 탐조해도 좋다. 대개 직박구리, 참새, 박새, 쇠박새, 곤줄박이, 까치, 까마귀, 멧비둘기, 황조롱이 등을 쉽게 볼 수 있다. 지역과 시기에 따라 물까치, 방울새, 동고비, 동박새, 말똥가리, 새호리기 등 의외로 다양한 새를 볼 수 있다. * '''수목원, 공원 등''' == 지역별 탐조지 == === 서울특별시 === * '''[[남산(서울)|남산]]''' 여러 [[산새]]를 볼 수 있다. * '''[[창덕궁]]''' [[원앙]]과 산새를 볼 수 있다. *''' [[북한산]]''' 다양한 산새를 볼 수 있다. * '''[[서울어린이대공원]] ''' 서울시 광진구에 위치한 시립 공원으로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고 탐조와 더불어 무료 입장이 가능한 동물원 등의 볼 거리가 많아 초보 탐조인에게 추천되는 탐조지이다. [[파랑새]], [[꾀꼬리]]와 같은 [[여름철새]]들을 흔히 관찰할 수 있다. * '''[[중랑천]] , [[탄천]], [[안양천]]''' 겨울에 가면 많은 종류의 [[오리]]들을 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넓적부리]], [[고방오리]], [[알락오리]], 흰죽지, [[댕기흰죽지]]가 있다. * '''강서습지생태공원''' 여름에도 탐조하기에 좋지만 주로 [[겨울철새]]들이 많이 찾는 편이다. 한강을 헤엄치는 [[오리]]류와 [[말똥가리]],[[흰꼬리수리]] 등의 [[맹금류]]를 주로 관찰할 수 있는 곳이다. * '''[[밤섬]]''' 람사르습지로도 등록된 섬이다. 많은 [[오리]], [[가마우지]]들을 볼 수 있다. [* 섬 출입이 금지되있어서 근처의 서강대교, 마포걷고싶은길 4코스에서 봐야한다)] * '''불암산''' 많은 산새를 볼 수 있다. 정상에 바위종다리가 산다. === 인천광역시 === * '''소래습지생태공원''' 봄에는 개개비류, 가을에는 도요물떼새를 볼수있다 * '''한강 하구 갯벌 (강화도, 교동도, 석모도)''' 많은 [[도요새]], [[물떼새]]들을 볼 수 있다. *''' [[소청도]], [[굴업도]]''' 봄에는 작은[[산새]]종류를, 가을에는 [[벌매]]등의 [[맹금류]]을 볼 수 있다. * '''[[송도]], [[영종도]]''' [[검은머리갈매기]]가 번식한다 * '''남동유수지''' 저어새가 번식한다. * '''[[교동도]]''' 겨울에 다양한 맹금을 볼 수 있다. === 경기도 === * '''[[화성호]], [[시화호]]''' 봄과 가을에 많은 [[도요새]],[[물떼새]],[[고니(조류)|고니]]를 볼 수 있는 곳이다. 화성호는 [[경기남부 통합 국제공항/유치 논란#s-2|민간인 출입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방조제 쪽에서만 관찰하는 것을 추천한다. * '''[[공릉천]]''' 가을에 여러 [[맹금류]]를 볼 수 있다. * '''[[국립수목원]]''' 겨울에 [[멋쟁이새]], 청도요와 같은 비교적 드문 [[겨울철새]]들을 볼 수 있는 곳이다. * '''남한강''' 겨울에 [[흰뺨오리]], [[비오리]], [[흰비오리]], [[호사비오리]]와 수많은 [[고니(조류)|고니]]([[백조]]), 그리고 [[흰꼬리수리]], [[참수리]], [[물수리]]등의 맹금류를 볼 수 있다. * '''안산갈대습지공원 ''' 이름 그대로 갈대가 많다. [[오목눈이]], [[붉은머리오목눈이]], [[흰머리오목눈이]], [[스윈호오목눈이]]와 북방검은머리쑥새, 검은머리쑥새를 볼 수 있다. * '''장항습지''' [[오리]], [[재두루미]]들을 볼 수 있다. * '''[[공릉천]]''' [[오리]]류, [[기러기]]와 다양한 [[맹금류]]를 볼 수 있다. 매년 가을~겨울 금눈쇠올빼미가 찾아온다. * 연천군, 파주시(철원군)의 민간인 통제 구역 [[두루미]], [[독수리]]를 볼 수 있다. (비슷한 새를 볼수있는 근처의 철원군은 강원도에 있다.) === 충청도/대전광역시 === * ''' [[대청호]]''' 여러 [[오리]]들을 볼 수 있다. * '''[[유부도]]''' 금강 하구 의 모래섬으로 봄, 가을에 가면 [[나그네새]]인 [[도요새]], [[물떼새]]를 볼 수 있다. * '''[[천수만]]''' 봄, 가을에 [[도요새]],[[물떼새]]가 찾아오는 장소이다. * '''서천 갯벌''' 봄, 가을에 [[도요새]], [[물떼새]]가 찾아오는 장소이다. * '''[[외연도]]''' [ * 전라도 어청도와 지리적으로 매우 가깝다.] 봄과 가을에 [[나그네새]]들이 들르는 곳이다. 봄에는 작은 산새 종류를,가을에는 [[맹금류]]를 볼 수 있다. * '''[[천수만]]''' 겨울에 [[오리]] 등의 [[겨울철새]]가 찾아오는 장소이다. 늦겨울에는 농경지에 있는 [[흑두루미]]를 볼 수 있다. * '''[[금강]]하구, 삽교호''' 겨울에 많은 [[가창오리]]를 볼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0HUuQnNVn-Q|새덕후 가창오리 영상]] === 전라도 === * ''' [[어청도]]''' 봄가을에 [[나그네새]]들이 들르는 곳이다. 봄에는 작은 산새 종류를, 가을에는 [[맹금류]]를 볼 수 있다. * ''' [[순천만]]''' 봄,가을에 [[도요새]], [[물떼새]]를 볼 수 있다. 매년 겨울 [[흑두루미]]가 월동하고 [[오리]]들이 찾아온다. *''' [[새만금]]'''([[만경강]], [[동진강]] 하구 갯벌) 여러 [[도요새]], [[물떼새]]를 볼 수 있다. [[오리]]들을 볼 수 있다. 논에서는 [[맹금류]]들을 볼 수 있다. 간척 사업 후 새만금을 찾는 새의 개체 수가 86% 가량 줄었다. * '''[[화엄사]]''' 지리산의 절이다. [[양비둘기]](텃새)를(매년) 볼 수 있다.[[https://youtu.be/UU1j8Zv92tA|#]] === 경상남도/부산광역시 === * ''' [[을숙도]], [[다대포해수욕장]], [[명지갯벌]]''' 겨울에 고니 등 수많은 물새들을 볼 수 있다. 다대포강변길(노을나루길)에서는 맹금류가 보인다. 놀랍게도 이곳에서는 희귀한 겨울철새인 [[솔개]]를 꽤 어렵지 않게 관찰할 수 있다. * ''' [[낙동강]] 하구''' 봄, 가을에 [[도요새]], [[물떼새]]을 볼 수 있다. 겨울에는 오리들을 볼 수 있다. 큰고니도 온다. * ''' [[우포늪]]''' 경남 창원의 습지로 우포(소벌),목포(나무벌),사지포(모래벌),쪽지벌로 이루어져 있다. 거의 매년 여름 [[물꿩]]이 와서 번식한다. 겨울에는 수많은 오리가 찾아온다. 또한 [[따오기]]의 복원지이기도하다. * ''' [[주남저수지]]''' 경남 창원의 저수지로 동판저수지, 산남저수지, [[주남저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거의 매년 [[여름철새]] [[물꿩]]이 번식하고 겨울에는 수많은 오리와 [[재두루미]], [[흑두루미]]를 비롯한 다양한 두루미류와, 멸종위기종인 [[큰고니]], [[큰기러기]] 등이 매우 흔하게 서식한다. [[흰꼬리수리]], [[독수리]]등의 맹금류도 볼 수 있다. 한 때는 10만마리 가량의 [[가창오리]]때들이 군무를 보여주었으나 최근 개체수가 감소했다. *''' [[화포천습지생태공원]]''' 경남 김해에 있는 화포천 인근의 생태공원이다. 넓은 습지가 펼쳐져 있는지라 언제든 새들이 많지만 특히 겨울에는 많은 새들을 볼 수 있다. [[독수리]] 먹이 주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데, 무척 가까이서 독수리들을 볼 수 있다고 한다. [[잿빛개구리매]], [[흰꼬리수리]]등의 겨울철새와 여름철새 [[흰눈썹황금새]]의 기록이 있다. *''' [[황산공원]], [[황산생태공원]], [[가산수변공원]]''' 경남 양산의 [[낙동강생태공원]] 중 하나로 겨울철새 [[큰고니]]와 [[고니]], [[큰기러기]], [[노랑부리저어새]]등이 관찰되며, 멧새류의 새들과 [[파랑새]], [[뻐꾸기]]를 비롯한 여름철새들이 흔하게 보인다. 봄철에는 [[도요새]]나 [[물떼새]]도 관찰되나 가을철에는 볼 수 없다. === 경상북도 === * '''[[포항]], [[형산강]]하구''' 포항 전체에 새가 무척 많다. 특히 형산강하구에코전망대에 [[물수리]]가 유명하다.[[http://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14496]] 겨울이면 댕기물떼새와 다양한 오리류의 새들을 볼 수 있다.[[도요물떼새]]도 무척 많은데, 붉은어깨도요, 중부리도요, 꼬까도요, 좀도요, 뒷부리도요, 세가락도요 등 모두 열거하자면 손이 아플 지경이다. [[갈매기]]류도 무척 많기로 유명한데, 대표적으로 [[고대갈매기]]나 줄무늬노랑발갈매기, [[큰재갈매기]]를 볼 수 있다. === 강원도 === * '''[[설악산]], [[오대산]]''' [[긴점박이올빼미]], [[소쩍새]], [[올빼미]] 등을 볼 수 있다. 특히 설악산 대청봉에서는 눈잣나무 열매를 먹는 잣까마귀를 볼 수 있다. [[여름철새]]인 바늘꼬리칼새도 관찰된다. * '''[[동강]]''' 겨울철새 [[비오리]]를 관찰할 수 있다. * '''[[철원군]]''' 매우 많은 [[두루미]]와 [[기러기]], [[독수리]]를 볼 수 있다. 특히 기러기는 하늘을 뒤덮을 정도로 많다. *''' [[태백산]]''' 흰멧새,갈색양진이를 볼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DsWVwmyeFw|#]] * '''강릉 경포호''', '''속초 청초호''', '''고성 아야진, 대진항, 송지호''' === 제주특별자치도 === *''' [[마라도]]''' 봄가을에 [[나그네새]]가 지나가는 대한민국 최남단에 위치한 섬이다. 봄에는 작은 [[산새]]종류를, 가을에는 [[맹금류]]를 볼 수 있다. 겨울에 [[뿔쇠오리]]가 번식한다. * '''[[하도리]]''' 봄과 가을에는 [[도요물떼새]]를, 겨울에는 오리류,[[맹금류]]를 볼수 있는 장소다. * '''[[한라산]]''' [[새매]], [[참매]], [[큰소쩍새]], [[소쩍새]], [[솔부엉이]], [[매]], [[새호리기]], [[조롱이]], 붉은배새매, [[황조롱이]], [[독수리]], [[검독수리]], 큰말똥가리 등의 [[맹금류]]와 [[굴뚝새]], [[제주휘파람새]], 큰부리까마귀, [[두견이]], [[팔색조]], [[긴꼬리딱새]] 등의 다양한 [[산새]]가 산다. 큰오색딱따구리가 해발 700m 이상의 낙엽활엽수에 구멍을 파서 [[번식]]한다. * '''[[곶자왈]]''' 여름에 [[팔색조]],[[긴꼬리딱새]] 등의 산새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