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탐라국]][[분류:연표]]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탐라국)] [include(틀:탐라)] [목차] == 개요 == [[탐라국]]의 역사를 연표로 정리한 문서. 날짜는 모두 음력 기준이다. == [[삼국시대]] == * 476년 4월 [[문주왕]] 시기 탐라(躭羅)가 [[백제]]에 방물을 바쳤다. 탐라국 사신은 백제로부터 은솔에 임명됐다.[*A 『[[삼국사기]]』.] * 498년 8월 탐라에서 백제에 공부(貢賦)를 바치지 않아 [[동성왕]]이 직접 [[무진주]]에 이르니 탐라가 죄를 빌었다.[*A] * 508년 탐라인이 처음으로 백제와 통교했다.[*C 『[[일본서기]]』.] * 589년 [[수나라]]의 전투선이 표류해 탐모라국(躭牟羅國)에 닿았다. 전투선은 탐라에서 백제를 거쳐 수나라로 돌아갔다.[* 『[[북사]]』. 『[[수서]]』에서는 탐모라(𨈭牟羅)라고 한다.] == [[삼국통일전쟁]] == * 660년 7월 18일 백제 [[의자왕]]이 신라에 항복했다.[*A] * 661년 * 5월 23일 [[왜국]]에 왕자 아파기(阿波伎)를 보내 공물을 바쳤다.[*C] * 8월 탐라국의 조공 사절이 [[당나라]]에 이르렀는데[* 『당회요』.], 탐라국왕 [[유리도라]](儒李都羅)[* '유리'가 성이고, '도라'가 이름이다. (『당회요』)]가 직접 입조해 방물을 바쳤다.[* 『책부원구』.] * 662년 * 2월 탐라국주(耽羅國主) 좌평 [[도동음률]](徒冬音律)이 [[신라]]에 항복해 탐라국은 신라의 속국이 됐다.[*A] * [[고을나왕]]의 15대손인 [[고후(탐라국)|고후]](高厚), 고청(高靑) 등 삼형제가 [[강진군|탐진]]을 거쳐 신라에 입조했다. [[문무왕]]은 고후를 성주, 고청을 왕자, 그리고 막내를 도내라고 불렀다.[* 이원진(李元鎭), 『탐라지』.] * 663년 8월 13일 [[주류성]] 전투에서 패한 백제인들과 [[왜국|왜]]인들이 당나라에 항복할 때 탐라국 사신들도 포로로 잡혔다.[*D 『[[구당서]]』 유인궤전.] * 665년 8월 탐라 사신이 신라, 백제, 왜의 사신과 함께 유인궤를 따라 [[태산]]의 봉선 의식에 참여했다.[*A][*D] 왜국에 사신을 보내 조공했다.[*C] * 666년 1월 11일 왕자 [[고여]](姑如)가 왜국에 공물을 바쳤다.[*C] * 667년 * 7월 11일 탐라에서 좌평 [[연마(탐라국)|연마]](椽磨) 등을 보내 왜국에 공물을 바쳤다.[*C] * 11월 11일 탐라 사신이 비단 등을 받았다.[*C] * 669년 * 3월 11일 왕자 구마기(久麻伎)가 왜국에 공물을 바쳤다. * 3월 18일 탐라 사신이 오곡의 종자를 받고 귀국했다.[*C] * 674년 * 윤6월 8일 왕자 구마예(久麻藝), 도라(都羅), 우마(宇麻)가 왜국에 조공했다.[*C] * 8월 25일 탐라국왕과 구마예 등이 대을상[* 본 사료에서는 그 나라 좌평에 해당한다(當其國之佐平位)고 서술했는데, 사실 대을상은 [[https://ja.wikipedia.org/wiki/%E5%A4%A7%E4%B9%99%E4%B8%8A|19관등 중 15위]]로 낮은 편이다.]의 작위를 받고 츠쿠시(筑紫, [[구마모토현]])를 통해 귀국했다.[*C] * 675년 9월 29일 신라가 [[매소성 전투]]에서 당에 승리했다. * 676년 * 8월 1일 왜국에 공물을 바치러 간 왕자 구마기가 츠쿠시에 도착했다.[*C] * 9월 27일 탐라왕 고여(姑如)가 [[나니와]](難波, [[오사카시]])에 도착했다.[*C] * 11월 [[기벌포 전투]]에서 신라가 당군을 격퇴했다. * 677년 * 2월 24일 탐라 사신이 왜국에서 배 한척을 받았다.[*C] * 7월 8일 탐라 사신이 돌아갔다.[*C] == [[남북국시대]] ~ [[후삼국시대]] == * 678년 8월 28일 왕자 도라가 일본에 조공했다.[*C] * 679년 * 1월 22일 탐라인이 일본의 수도로 향했다.[*C] * 2월 신라에서 사신을 보내 탐라국을 경략했다.[*A] * 680년 9월 23일 탐라에 왔던 일본 사신이 돌아가 일본 조정에 인사했다.[*C] * 685년 10월 3일 일본에서 사신을 보냈다.[*C] * 686년 8월 20일 일본 사신들이 탐라에서 귀국해 본국에 도착했다.[*C] * 688년 * 8월 25일 탐라왕이 좌평 [[가라(탐라국)|가라]](加羅)를 일본에 보내 방물을 바쳤다.[*C] * 9월 23일 츠쿠시관(筑紫館)의 연회에서 물품을 받는다.[*C] * 778년 11월 10일 탐라도(耽羅嶋) 사람들이 일본 견당사를 노략질하고 억류했다. 녹사 등 40여명이 일본으로 도망쳤다.[*E 『[[속일본기]]』.] * 779년 2월 일본에서 태재부(太宰府) 관원을 신라에 보내 탐라도에 억류된 견당판관(遣唐判官) 등을 데려가려 했다.[*E] * 801년 10월 신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했다.[*A] * 918년 6월 15일 [[왕건]]이 [[고려]]를 건국했다. * 925년 11월 고려에 방물을 바쳤다.[*B 『[[고려사]]』.] * 935년 12월 12일 신라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했다.[*B] == [[고려시대]] == 탐라국이 국가로서 정체성을 상실했다고 여기는 시점을 언제로 보는가 하는 견해는 938년설부터 1104년설까지 다양하다. * 938년 12월 탐라국 태자 [[고말로|말로]]가 고려에 입조하고 성주·왕자의 작위를 받았다.[*B] * 1011년 9월 15일 탐라에서 고려에 주(州)·군(郡)의 예에 따라 [[인장|주기]](朱記)를 내려주기를 요청했다.[*B] * 1012년 8월 7일 탐라인이 고려에 큰 배 두척을 바쳤다.[*B] * 1019년 9월 15일 고려의 중양절(重陽節) 연회에 탐라 사람들이 [[송나라]] 사람, [[흑수말갈|흑수인]]등과 함께 초대받았다.[*B] * 1021년 7월 3일 고려에 방물을 바쳤다.[*B] * 1022년 2월 9일 고려에 방물을 바쳤다.[*B] * 1024년 7월 27일 고려에서 추장 [[주물(탐라국)|주물]](周物)과 그 아들 [[고몰]](高沒)을 운휘대장군 상호군에 임명했다.[*B] * 1027년 6월 15일 고려에 방물을 바쳤다.[*B] * 1029년 6월 26일 세자 [[고오노]](孤烏弩)가 고려 조정에 입조하고 유격장군의 관직과 관복 한벌을 받았다.[*B] * 1030년 9월 1일 고려에 방물을 바쳤다.[*B] * 1034년 * 11월 4일 [[송나라]] 상인, [[여진]]의 동번, 서번과 더불어 탐라국에서 고려에 방물을 바쳤다.[*B] * 11월 14일 고려에서 베푼 [[팔관회]]에 (탐라국의 사신이) 참석했다.[*B] * 1036년 11월 15일 고려에서 팔관회를 열자 방물을 바쳤다.[*B] * 1043년 12월 27일 탁라국 성주 유격장군 가리(加利)가 고려에 왕자를 새로 책봉해줄 것을 요청했다.[*B] * 1049년 11월 13일 진위교위 부을잉(夫乙仍) 등 77명이 고려에 방물을 바쳤다.[*B] * 1052년 3월 27일 고려의 [[삼사(관청)|삼사]]에서 탐라국이 매년 바쳐야 하는 귤의 양을 정해 제도화했다.[*B] * 1053년 2월 7일 왕자 [[수운나]]가 아들을 고려에 보내 조공을 바치고 하사품을 받았다.[*B] * 1054년 5월 16일 사신 13명을 고려에 보내 [[순종(고려)|태자]]의 책봉을 축하했고 사신들은 관직을 받았다.[*B] * 1055년 2월 20일 [[한식#s-3]]을 맞아 고려에서 외국인들에게 음식을 대접하는데 수령 고한(高漢) 등 158인이 조종관(朝宗館)에서 음식을 대접받았다.[*B] * 1056년 2월 27일 고려에 방물을 바쳤다.[*B] * 1057년 가을 고려에서 탐라의 목재를 베어 바다 건너에 [[절(불교)|절]]을 새로 지었다.[*B] * 1062년 * 2월 27일 고협(高叶)이 고려에 방물을 바쳤다.[*B] * 10월 6일 성주 고일(高逸)이 고려에 방물을 바쳤다.[*B] * 1063년 3월 9일 탐라의 새 성주 두량(豆良)이 고려에 입조해 명위장군의 관직을 받았다.[*B] * 1068년 3월 성주 유격장군 가야잉(加也仍)이 고려에 방물을 바쳤다.[*B] * 1077년 12월 1일 고려에 방물을 바쳤다.[*B] * 1086년 2월 7일 [[선종(고려)|선종]]이 [[사숙태후]]에게 책문을 올리고 건덕전에서 베푼 잔치에 유격장군 가어내(加於乃)가 가서 축하하고 방물을 바쳤다.[*B] * 1090년 1월경 성주 유격장군 가양잉(加良仍)이 죽고 배융부위 [[고복령]]이 뒤를 이었다. 고려에서는 전례에 따라 부의품을 보냈다.[*B] * 1092년 2월 26일 성주 의인(懿仁)이 고려에 방물을 바쳤다. 고려에서 의인을 정원장군으로 승진시키고 관복과 의대를 하사했다.[*B] * 1094년 6월 19일 탁라에서 고적(高的)등 194인이 [[헌종(고려)|헌종]]의 즉위를 하례하고 방물을 바쳤다.[*B] * 1095년 7월 20일 고물(高勿) 등 80인이 고려에 방물을 바쳤다.[*B] * 1096년 9월 12일 탁라 성주가 고려에 사람을 보내 [[숙종(고려)|숙종]]의 즉위를 하례했다.[*B] * 1100년 11월 16일 송상, 여진과 함께 고려에 방물을 바쳤다.[*B] * 1101년 * 10월 8일 고려에서 탁라의 새 성주 배융부위 구대(具代)를 유격장군에 임명했다.[*B] * 11월 14일 고려에 방물을 바쳤다.[*B] * 1104년 고려가 탁라(乇羅)를 탐라군(耽羅郡)으로 고쳤다.[*B] 제주도에 처음으로 한반도 종주국의 [[군현제|군현]]이 설치됐다. === 탐라현 === * 1153년 11월 15일 탐라현의 도상 인용부위 중련(中連), 진직(珍直) 등 12인이 방물을 바쳤다.[*B] * 1168년 11월 20일 [[양수(고려)|양수]](良守)가 [[양수의 난|반란을 일으켰다]].[*B] * 1186년 7월 9일 탐라에서 반란이 일어났다는 거짓 정보가 고려 조정에 퍼졌고, 기존 현령을 파면하는 조서와 함께 탐라안무사와 새 수령이 보내졌다. 반란은 없었지만 명령을 취소할 수 없어 결국 기존 현령은 교체됐다.[*B] * 1202년 * 10월 번석(煩石)과 번수(煩守)가 반란을 일으켰다.[*B] * 12월 5일 탐라안무사가 진압하고 수괴를 처형했다.[*B] * 1266년 * 11월 28일 성주가 고려 국왕 [[원종(고려)|원종]]을 알현했다.[*B] * 12월 6일 성주는 정연 현석(玄錫)과 함께 원나라에 향했다.[*B] * 1267년 * 1월 6일 백제의 신하 [[양호(탐라국)|양호]]가 원나라에 입조했고, 수놓은 비단(錦繡)을 차등 있게 받아 돌아왔다.[*F 『[[원사(역사책)|원사]]』.] * 문행노(文幸奴)가 반란을 일으켜 부사 최탁(崔托)과 성주 양호가 진압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 1271년 5월 15일 [[김통정]]이 [[삼별초]] 잔당을 이끌고 탐라로 도망쳐 들어왔다.[*B] * 1272년 원나라 중서성과 추밀원에서 일본보다 탐라를 먼저 정벌할 것을 제안했다. 그 근거는 탐라국왕에 대한 의리[* 탐라국왕이 원나라에 입조해 황제를 뵌 적이 있는데, [[김통정|반적]]이 군주를 내쫓고 성에 들어가 반란을 일으켰다는 것. 탐라국왕이란 앞서 원나라에 입조했던 탐라 성주 양호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였다.[*F] * 1273년 4월 28일 [[홍차구]]가 김통정의 사위 김영(金永)등 7명을 항복을 권유하는 사신과 함께 보내왔으나, 김통정과 성주는 김영을 제외한 모든 사신을 죽였다. [[흔도]]는 (항파두리성을) 공격해 함락시키고 모두를 죽였다.[* 『원고려기사』.] === [[탐라총관부]] === * 1273년 6월 원나라가 [[삼별초의 난|적당들]]을 토벌하고 몽골인 [[실리백]]을 탐라국초토사로 임명했다. 탐라국은 매년 모시포 100필을 원나라에 진상했다.[*F] * 1275년 6월 29일 손탄(遜攤)이 탐라국 다루가치에 임명됐다.[*F] * 1276년 * 4월 9일 탐라 성주가 고려 조정에 입조했다. 성주의 서열이 4품관 아래로 정해졌다.[*B] * 8월 25일 실리백의 아들 [[탑랄적]]이 탐라국 다루가치에 임명됐다.[*F] * 1281년 5월 18일 원나라가 이 해애 바쳐야 하는 백저포(白紵布)를 면제해줬다.[*F] * 1284년 1월 21일 원나라에서 탐라국군민안무사를 세웠다.[*F] * 1287년 11월 7일 원나라에서 온 타자르(塔刺兒)가 탐라 다루가치로 임명됐다.[*B] * 1293년 9월 13일 탐라 다루가치의 죄상을 밝혀낸 우승 아살(阿撒)이 탐라 다루가치로 임명됐다.[*B] * 1294년 5월 5일 탐라인 쿠케다이(曲怯大), 뭉구다이(蒙古大), 타스바투(塔思拔都) 등이 원나라에 가서 말 400필을 바쳤다. 고려 충렬왕이 탐라를 고려에 돌려줄 것을 요청했고, 원나라 [[성종(원)|성종]]이 허락했다.[*B] * 1294년 11월 4일 탐라 왕자 문창유(文昌裕)와 성주 [[고인단]](高仁旦)이 충렬왕으로부터 붉은 띠와 상아 홀, 모자, 가리개, 신발을 받았다. 탐라가 고려에 귀속됐기 때문인데, 그럼에도 원나라에 대한 조공은 중단되지 않았다.[*B] === 제주목/[[탐라만호부|만호부]] === * 1295년 윤4월 9일 고려에서 탐라라는 명칭을 '''제주(濟州)'''로 고치고 최서(崔瑞)를 제주목사로 임명했다.[*B] * 1298년 5월 24일 탐라국에서 원나라에 방물을 바쳤다.[*F] * 1301년 5월 12일 고려가 원나라에 탐라총관부 폐지와 탐라만호부 설치를 요청했다. 원나라 황제가 [[정동행성]] 산하 [[탐라만호부]]의 설치를 승인했다.[*B] * 1318년 * 2월 제주 백성 사용(使用)과 김성(金成)이 반란을 일으키고 성주와 왕자를 쫓아냈다. 그러나 두 사람은 곧 목이 잘렸고, 반군 무리는 고려에서 온 안무사 송영(宋英)에게 항복했다. 송영이 제주목사로 임명됐다.[*B] * 4월 9일 원나라 [[인종(원)|인종]]이 정동행성에 칙서를 내려 도적질을 하는 탐라포렵호(耽羅捕獵戶) 성금(成金)을 잡게 했다.[*F] * 4월 18일 탐라 반란의 원인 제공자인 대호군 장공윤(張公允)과 제주부사 장윤화(張允和)가 고려 순군부에 수감됐다.[*B] * 6월 제주의 반적들이 모두 평정됐다.[*B] * 1323년 * 1월 12일 제주만호 [[임숙]]이 임지를 멋대로 이탈해 (정동)행성에 수감됐다.[*B] * 1월 17일 제주만호 임숙이 파직되고 박순인(朴純仁)이 대신 임명됐다.[*B] * 1333년 12월 13일 탑랄적의 아들 노열니타(奴列你他)가 아버지를 대신해 탐라국군민안무사사 다루가치로 임명됐다.[*F] * 1336년 초적 사용(士用)과 엄복(嚴卜)이 반란을 일으켰다. 고을 사람 문공제(文公濟)가 군사를 일으켜 진압했다.[*B] * 1357년 7월 29일 제주 성주가 고려에 말을 바쳤다. 고려 [[공민왕]]이 성주에게 붉은 가죽 허리띠와 쌀 30석을 하사했다.[*B] * 1362년 * 8월 24일 목호 [[초고독불화|고독불화]](古禿不花)와 [[석질리필사]](石迭里必思), 성주 [[고복수(탐라국)|고복수]](高福壽)가 고려에 반란을 일으켰다.[*B] * 10월 22일 제주에서 원나라에 예속될 것을 청했다. 원나라에서 세운 탐라만호 문아단부카가 제주만호 박도손을 살해했다.[*B] * 1363년 6월 11일 탐라만호 문아단부카가 동생 문인부(文仁富)를 고려에 보내 양과 말을 바쳤다.[*B] * 1367년 4월 고려에서 전교령 임박을 제주선무사로 임명해 보냈다. 제주만호와 성주, 왕자를 비롯한 군민 모두가 명령에 따르겠다고 말했다. 임박은 다른 지방관과 달리 백성에게서 털끝만큼도 취한 것이 없었기에 도민들이 기뻐했다.[*B] * 1369년 9월 제주가 고려에 항복하자 고려에서 박윤청(朴允靑)을 제주목사로 임명했다.[*B] * 1372년 * 4월 2일 탐라 목호들이 제주목사 겸 만호 [[이용장]](李用藏), 권만호 안방언(安邦彦) 등을 모두 죽이고 반란을 일으켰다.[*B] * 7월 25일 고려 [[공민왕]]은 탐라국이 조공[* 고려에서 명나라로 보내야 하는 말.]을 바치지 않고, 탐라국에 몽골인이 많이 사는데 이들을 옮겨야 하며, 난수산(蘭秀山)에서 도망친 도적들이 무리를 이뤘다는 이유를 들어 탐라국을 토벌해줄 것을 [[명나라]]에 요청했다.[*G 『명실록』.] * 1374년 7월 12일 카치(哈赤, 목호) 석질리필사, 초고독불화(肖古禿不花) 등이 명나라에 말을 조공하기를 거부했다.[*B] * 1375년 * 4월 탐라에서 고려에 금 허리띠(金帶) 2개와 은그릇(銀器)을 바쳤다.[*B] * 11월 차현유(車玄有) 등이 관아를 불태우고 안무사, 목사, 마축사(馬畜使) 등을 살해하고 반란을 일으켰다. 제주에서 문신보(文臣輔), 성주 고실개, 진무 임언(林彦), 천호 고덕우(高德羽) 등이 병사를 일으켜 모두 죽였다.[*B] * 1376년 5월 제주만호 김중광(金仲光)이 역적 카치 강바얀(姜伯顔) 등 13명을 죽이고 처자를 광주와 나주에 유배보냈다.[*B] * 1384년 8월 제주만호 김중광이 고려에 말 40필을 바쳤다.[*B] * 1386년 7월 고려에서 전의부정 [[이행(고려)|이행]], 대호군 진여의를 파견해 성주 [[고신걸]]과 아들 [[고봉례]]를 개경에 데려갔다.[*B][* 고려사 이행 열전에서는 "탐라가 (고려에) 귀순한 것은 이 때부터이다." (耽羅歸順始此) 라고 밝히고 있다.] * 1387년 탐라국에서 명나라에 말을 조공했다. 명나라에서는 앞서 말을 조공한 고려의 경우와 같은 값을 줬다.[*G] == [[조선시대]] == * 1394년 * 3월 27일 조선에서 제주에 교수관(敎授官)을 설치해 토관 자제에게 [[유교|유학]]을 교육하도록 했다. 그 중에서 육지에서 [[과거 시험]]을 보고 벼슬살이하는 이들이 천호와 백호가 될 수 있도록 했다.[*H 『[[태조실록]]』.] * 4월 17일 [[황군서]](黃君瑞)가 도안무사(都安撫使)에 임명돼 와서 제주민을 선위(宣慰)했다.[*H] * 7월 7일 [[고봉례]]가 조선에 말 100필을 바치고 쌀 100섬을 받았다.[*H] * 1395년 * 7월 1일 도안무사 황군서의 건의에 따라, 조선이 제주에서 매년 건마육(乾馬肉)을 바치는 풍속[* 매년 섣달에 암말을 잡아 포를 떠서 본국에 조공하는 풍습이 있었다.]을 금지했다. * 7월 13일 왕자 문충보(文忠甫)가 좋은 말 7필을 바쳤다.[*H] * 1397년 7월 25일 전 제주목사 이침(李忱)이 토관의 딸을 아내와 며느리로 맞아서 직첩이 회수됐다.[*H] * 1398년 * 3월 17일 조선에서 제주에 말 100필과 소 100두(頭)를 매년 바치도록(歲貢) 명했다.[*H] * 1401년 5월 2일 건마육을 진상하지 말라는 어명이 다시 내려졌다.[*I 『[[태종실록]]』] * 1402년 성주 고봉례와 왕자 문충세 등이 성주 왕자의 호를 고치기를 청했다.[* 『[[세종실록]]』 「지리지」.] * 1403년 윤11월 19일 조선 [[사간원]]에서 제시한 행정구역 명칭 변경안에 제주를 '탐라대도호부'로 삼는 내용이 포함됐으나 태종의 윤허를 받지 못했다.[*I] * 1404년 4월 21일 제주 동·서도 천호소의 명칭이 동·서도 정해진(靜海鎭)으로 바뀌고 도천호(都千戶)·상천호(上千戶)·부천호(副千戶)는 각각 도사수(都司守)·상사수(上司守)·부사수(副司守)로 바뀌었다. 그리고 도주관(都州官)을 세워 성주를 도주관 좌도지관(左都知管), 왕자를 도주관 우도지관(右都知管)으로 삼았다.[*I][* 도지관 외에도 여러 토관이 있었으나 [[세종(조선)|세종]] 때 도지관을 제외하고 모두 혁파됐다.] * 1408년 9월 12일 처음으로 제주에 조선의 세제(稅制)가 적용됐다. 제주에서는 공부(貢賦)로 각 호(戶)에서 차등으로 말을 바치게 됐다.[*I] * 1416년 5월 6일 제주인이 사적으로 말을 바치는 것이 금지됐다.[*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