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인)] [목차] == 개요 == 탁소북([[濁]][[小]][[北]])은 [[북인]]에서 분당한 [[소북]]에서 다시 분당하여 [[류영경]]을 중심으로 형성된 붕당이다. 특이하게 [[북인]] 중 [[인조반정]]에서 멸문되지 않고 그전에 멸문된 붕당. 탁북, 류당(柳黨)이라고도 한다. == 설명 == [[선조(조선)|선조]] 후반에 [[소북]]은 두 영수인 남이공과 [[류영경]] 사이 갈등 때문에 [[청소북]]과 탁소북으로 다시 분당되었다. 1608년 [[광해군일기]] 사론에 >"류영경이 나라의 권력을 잡았을 때는, [[김신국]](金藎國)·남이공이 모주(謀主)가 되더니만, 영경이 패한 뒤에는 김신국과 남이공이 맨 먼저 제창하여 창을 거꾸로 잡고 공격하면서 깊이 희분(希奮)[* 류희분.]과 결탁하여 날뛰고 기탄없이 굴었다. 청북(淸北)이니 탁북(濁北)이니 하는 말들을 만들어 내어 영경과 다르다는 것을 보였다. " (『광해군일기(중초본)』 즉위년 4월 21일) 고 하였으며 1610년의 실록 기사에는, >"당초 류영경의 당(黨)을 소북이라고 호칭하였는데, 소북 중에 또 청북(淸北)과 탁북(濁北)이 있었다. 대개 그 중에서 다소 강직하여 스스로 염치가 있다고 하는 자를 사람들이 청북이라고 칭하고, 그 나머지 무리를 탁북이라 이르니 김대래와 같은 무리였다."(『광해군일기(중초본)』 2년 3월 9일) 고 하여, 비록 수장 [[류영경]]은 1608년 사망하였으나 그의 영향력으로 탁북의 형성 이유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실록에는 "[[소북]] 중에는 또 청북과 탁북이 있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연려실기술』에는 >"임인년(1602년)에 류영경이 정승으로 들어와서 등용한 것은 모두 소북이었다. 정권을 잡은 7년 동안 남이공 등은 다시 기용되지 못하다가 영경이 패하게 되자 이공 일파가 미리 그 기미를 알고 대립하는 형상을 취하니, 당시 사람들이 이공의 무리를 청소북(淸小北)이라 하고 영경의 무리를 탁소북(濁小北)이라 지목하였다." 고 하여 남이공과 류영경의 정치적 대립이 소북 분당, 즉 청소북과 탁소북 분당의 주요 원인임을 기록하고 있다. 결국 선조 후기에만 아주 잠깐 정권을 잡았다가 [[광해군]] 즉위와 동시에 멸문을 당했고 살아남은 이들은 청소북으로 전향했다. 사실 영수인 [[류영경]]이 [[영창대군]]을 선조의 후계로 밀며 당시 세자였던 [[광해군]]과 노골적으로 대립하고, 그에게 왕위를 물려준다는 선조의 교지까지 숨겨버릴 정도였으니 목숨을 구하길 바란 것 자체가 무리수였다. 결국 류영경의 [[부관참시]] 이후 남아있는 탁소북은 대부분 광해군을 지지했지만, 류영경의 행태가 워낙에 도를 넘었던지라 영향력은 땅에 떨어졌고 대북의 눈치만 보는 신세로 전락했다. [[인조반정]] 이후 류영경이 [[서인]]들에 의해 복권됐으니 그걸 위안으로 삼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탁소북은 그때 거의 없어지고 지방의 일부 [[유림]], 유생들이나 중앙의 말단 관리들 모두 [[남인]]으로의 흡수, 혹은 서인으로의 전향을 택했다. == 주요 인물 == * '''[[유영경]]''' * 최천건(崔天健) * 김대래(金大來) * 이홍로(李弘老) * [[김신국]](金藎國) * 유영근(柳永謹) * 박이장(朴而章) * 박안현(朴顔賢) * [[박승종]](朴承宗) * 황섬(黃暹) * 황근중(黃謹中) * 신광립(申光立) == 둘러보기 == [include(틀:조선의 역대 집권세력)] [include(틀:조선의 역대 집권세력)] [include(틀:조선의 붕당)] [[분류:소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