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위서(북조))] [include(틀:북사)] ||<-2> '''강하왕(江夏王)[br]{{{+2 拓跋呂 | 탁발여}}}''' || || '''작위''' ||강하공(江夏公) → 강하왕(江夏王) || || '''성''' ||탁발(拓跋) || || '''휘''' ||여(呂) || || '''자''' ||불명 || || '''생몰''' ||불명 || || '''출신''' ||운중군(雲中郡) 성락현(盛樂縣)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위]]의 황족. 도무제 [[탁발규]]의 사촌동생. == 생애 == 태연 5년(439년) 9월, 태무제 [[탁발도]]가 [[북량]]을 정벌하여 고장(姑臧)을 포위하자, 북량의 군주 [[저거목건]]이 문무백관을 거느리고 나와 투항하였다. 이때 탁발여에게 양주(涼州) 평정의 공이 있어, 태무제가 그를 강하공(江夏公)에 봉하고, 외도대관(外都大官)으로 삼아 조정의 정치를 위임하였다. 태무제는 탁발여를 높이 평가하고 존중을 표했다고 한다. 탁발여는 사후 강하왕(江夏王)으로 추증받았고, 운중금릉(雲中金陵)에 배장되었다. [[분류:남북조시대/황족]][[분류:탁발선비]][[분류:몰년 미상]][[분류:후허하오터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