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타일러 앤더슨/선수 경력)] ||<-5>
'''{{{#FFFFFF [[타일러 앤더슨|{{{#FFFFFF 타일러 앤더슨}}}]]의 연도별 시즌 일람}}}''' || || [[타일러 앤더슨/선수 경력#s-6.1|2021년]] || ← || '''{{{#005A9C 2022년}}}''' || → || [[타일러 앤더슨/선수 경력#s-9.1|2023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다저스타일러앤더슨.jpg|width=100%]]}}} || [[타일러 앤더슨]]의 2022 시즌을 정리한 문서다. 이 문서에 나오는 날짜는 한국 시간이라는 명시가 없다면 현지 시각(PDT)을 기준으로 작성되어있다. == 시즌 전 == 3월 18일, 다저스와 1년 800만 달러 계약에 합의했다. 다저스는 타일러 앤더슨의 자리를 마련해주기 위해 외야수 [[루크 레일리]]를 탬파베이 레이스에 보내고 마이너리그에서 뛰는 오른손 투수 태너 닷슨을 받는 트레이드를 성사시켰다. == 페넌트레이스 == === 4월 === ==== 4월 9일: [[콜로라도 로키스|COL]]전 ([[쿠어스 필드|원정]]) [ND]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ND || 4 || 4 || 2 || 1 || 1 || [[|#]] || ---- 선발 투수 [[토니 곤솔린]]의 뒤를 이어 등판하며 다저스에서의 데뷔전을 친정팀을 상대로 치렀다. 4이닝 2피안타 1실점 4삼진으로 호투했으나 다저스는 [[블레이크 트레이넨]]을 상대로 [[코너 조]]의 솔로포와 타선의 침묵 속에 3-2로 석패했다. 하지만 계속 이런 활약을 이어간다면 곤솔린을 제치고 4선발 입성도 꿈은 아닌 일. ==== 4월 15일: [[신시내티 레즈|CIN]]전 ([[다저 스타디움|홈]])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승 || 4 || 4 || 2 || 1 || 1 || [[|#]] || ---- 이날 역시 선발 투수 [[토니 곤솔린]]의 뒤를 이어 5회부터 등판했다. 4이닝 2피안타 1실점 4삼진으로 호투하며 다저스 데뷔 이후 첫 승을 챙겼다. ==== 4월 23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SD]]전 ([[펫코 파크|원정]]) [ND]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ND || 4⅔ || 4 || 4 || 0 || 2 || [[|#]] || ---- * 경기 전 시즌 3번째 등판이자 다저스 소속으로 첫 선발 등판을 가진다. [[앤드루 히니]]가 부상으로 빠져나가서 [[토니 곤솔린]]과 함께 선발 1+1으로 나왔던 보험용 투수가 선발로 등판하기에 지난 2경기에서 보여준 호투를 샌디에이고전에서도 보여줄 수 있을지 주목된다. ---- * 경기 결과 다저스 데뷔 첫 선발 등판의 결과는 다소 아쉬웠다. 2회말 선두타자 [[주릭슨 프로파]]에게 2루타를 내주며 흔들렸고 다음 두 타자에게 1루수 땅볼-희생플라이로 선취점을 내주며 출발했고 3회말에는 연속 삼진을 잡아낸 다음 타자 [[제이크 크로넨워스]]에게 홈런을 맞았다. 5회말에도 안타와 볼넷을 내주며 득점권 위기를 맞았고 결국 5이닝을 채우지 못하고 강판되었다. 팀 타선이 다르빗슈에게 막혀 패전의 위기에 있었다가 8회초 [[트레이 터너]]의 동점 적시타 덕분에 패전의 위기에서 벗어났다. ==== 4월 29일: [[디트로이트 타이거즈|DET]]전 ([[다저 스타디움|홈]])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승 || 5 || 3 || 5 || 1 || 1 || [[|#]] || ---- * 경기 전 디트로이트와의 홈 1차전에 선발 등판하여 시즌 4번째 등판을 가진다. ---- * 경기 결과 5이닝 1실점으로 호투하며 지난 경기의 부진을 씻어내고 시즌 첫 선발승이자 다저스 데뷔 첫 선발승을 기록했다. === 5월 === ==== 5월 7일: [[시카고 컵스|CHC]]전 ([[리글리 필드|원정]])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승 || 5 || 2 || 7 || 1 || 2 || [[|#]] || ---- * 경기 전 6일 컵스와의 시리즈 1차전이 우천으로 연기되었고, 예정대로라면 7일 더블헤더 1차전 오전 경기에 나설 차례였으나, 커쇼의 루틴 준수를 위해 앤더슨은 2차전에 선발로 등판하게 되었다. ---- * 경기 결과 1회말 선두타자 3루타와 먼시의 실책으로 1점을 먼저 내주며 흔들렸지만 팀 타선이 선구안을 바탕으로 컵스 투수진을 털어버리며 4득점 빅이닝을 챙겼고 이에 힘입은 앤더슨이 5회말에 [[윌슨 콘트레라스]]에게 홈런을 내줬지만 5회까지 안정을 찾으면서 2실점으로 막아내며 승리투수가 되었다. ==== 5월 12일: [[필라델피아 필리스|PHI]]전 ([[다저 스타디움|홈]]) [ND]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ND || 6 || 5 || 10 || 0 || 7 || [[|#]] || ---- * 경기 전 필라델피아와의 홈 4연전 1차전에 선발 등판한다. [[브라이스 하퍼]]를 위시한 필라델피아 타선을 잘 막아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 * 경기 결과 다저스 이적 후 처음으로 6이닝을 소화했지만 홈런 2방을 맞고 7실점으로 크게 털렸다. 특히 [[브라이스 하퍼]]를 넘지 못한 것이 가장 뼈아팠다. 그러나 팀 타선이 난타전을 벌이면서 패전이 지워졌다. ==== 5월 17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ARI]]전 ([[다저 스타디움|홈]])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승 || 7 || 7 || 7 || 0 || 2 || [[|#]] || ---- * 경기 전 애리조나와의 더블헤더 2차전에 선발등판한다. 직전 경기 필라델피아전에서의 아픔을 씻어줄 수 있을지 주목된다. ---- * 경기 결과 1회부터 [[조던 루플로]]와 [[크리스티안 워커]]에게 백투백 홈런을 맞으며 좋지 않게 출발했지만 이후에는 안정을 찾으며 7이닝 2실점으로 다저스 이적 후 처음으로 퀄리티스타트 플러스 피칭을 해줬고 팀 타선도 상대 선발 다상바 [[메릴 켈리]]를 화끈하게 털어버리며 승리 투수가 되었다. ==== 5월 23일: [[워싱턴 내셔널스|WSH]]전 ([[내셔널스 파크|원정]])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승 || 8 || 8 || 5 || 0 || 0 || [[|#]] || ---- * 경기 전 [[워싱턴 내셔널스]]와의 원정 1차전에 선발 등판한다. 전날 끝내기 패배로 불펜 소모가 심했던 만큼 앤더슨이 긴 이닝을 소화해줄 필요가 있다. ---- * 경기 결과 지난 경기 퀄리티스타트 플러스에 이어 오늘 경기는 시즌 처음으로 8이닝을 먹어주며 문자 그대로 초각성했다. 처음 6회 1사까지 퍼펙트 피칭을 했고 8회까지 워싱턴 타선을 완벽하게 잠재우며 불펜 소모를 줄였고 가볍게 승리를 챙겼다. ==== 5월 29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ARI]]전 ([[체이스 필드|원정]])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승 || 6 || 6 || 5 || 1 || 0 || [[|#]] || ---- * 경기 전 체이스 필드로 장소를 옮겨 4연전 마지막 경기에 선발 등판한다. 최근 2경기 연속 퀄리티스타트 플러스 피칭을 할 만큼 앤더슨의 컨디션이 최상인 것이 호재다. ---- * 경기 결과 최상의 컨디션을 보이던 앤더슨의 모습이 오늘도 이어졌다. 6이닝 6K 무실점 퀄리티스타트를 기록하며 애리조나 타선을 완벽하게 잠재우며 승리투수가 되었다. === 6월 === ==== 6월 3일: [[뉴욕 메츠|NYM]]전 ([[다저 스타디움|홈]])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승 || 6 || 5 || 3 || 1 || 0 || [[|#]] || ---- * 경기 전 메츠와의 홈 2차전에 선발 등판한다. 최근 다저스의 분위기가 그리 좋지는 않은 상황에서 메츠의 강력한 타선을 잠재울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 * 경기 결과 우려와는 달리 메츠 강타선을 상대로 단 3개의 안타만을 허용하는 짠물투로 메츠 강타선을 잠재우며 승리투수가 되었다. [[토니 곤솔린]]도 연신 호투하고 있어 원래 1+1 선발 듀오였던 이 둘이 지금은 다저스의 1, 2선발로 자리잡았다. ==== 6월 9일: [[시카고 화이트삭스|CHW]]전 ([[개런티드 레이트 필드|원정]]) [ND]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ND || 3 || 2 || 4 || 3 || 4 || [[|#]] || ---- * 경기 전 [[시카고 화이트삭스]]와의 원정 3차전에 선발 등판한다. ---- * 경기 결과 3회말에 선두 타자 3루타로 선취실점했지만 그래도 3회까지는 나름대로 경기 운영을 잘했다. 그러나 4회가 문제였다. 선두 타자 볼넷 이후 연타를 허용하며 급격히 무너졌고 다음 투수 [[브루스더 그라테롤]]이 분식회계로 추가 2점을 더 내주면서 3이닝 4실점으로 털리며 패전의 위기에 있었다. 그러나 팀 타선이 5회부터 상대의 어수선한 수비를 틈타 [[딜런 시즈]]를 털어버리며 패전의 위기에서 벗어났다. ==== 6월 15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LAA]]전 ([[다저 스타디움|홈]])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승 || 8⅓ || 8 || 2 || 3 || 1 || [[|#]] || ---- * 경기 전 에인절스와의 홈 2차전에 선발 등판한다. 지난 화이트삭스전의 부진을 씻어야 하고 팀의 최근 부진도 씻어야 한다. ---- * 경기 결과 1회 시작부터 [[테일러 워드]]의 타구 때 벨린저와 베츠가 충돌하며 실책이 있었지만 워드가 2루에서 아웃되며 위기를 넘겼고 7회초 2사 이후 [[제러드 월시]]의 번트 타구 때 앤더슨이 송구 실책을 범했지만 역시 위기를 넘겼다.[* 처음에는 실책으로 기록되었지만 경기가 끝나고 나서 이 타구는 안타로 기록되었다.] 그렇게 9회 1사까지 노히트 피칭을 하고 있었지만, 아웃카운트 2개를 남겨놓고 [[오타니 쇼헤이]]에게 3루타를 맞으며 노히터의 꿈이 좌절되고 말았다. 그리고 마무리 [[크레이그 킴브럴]]이 [[맷 더피]]에게 적시타를 내주며 분식회계를 했고 아쉽게 8⅓이닝 1실점이 기록되었지만 123구를 던지는 투혼의 피칭으로 승리를 챙겼다. ==== 6월 22일: [[신시내티 레즈|CIN]]전 ([[그레이트 아메리칸 볼파크|원정]]) [ND]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ND || 5 || 2 || 5 || 2 || 4(3) || [[|#]] || * 경기 전 신시내티와의 원정 2차전에 선발 등판한다. 신시내티가 약체라는 것이 앤더슨에게는 다행이지만 직전 에인절스와의 경기에서 123구를 뿌리며 체력소모가 다소 컸다는 부분이 우려스럽다. ---- * 경기 결과 역시 예상대로 에인절스와의 경기에서 체력소모가 컸다는 부분을 극복하지 못하고 약팀 신시내티에게 5이닝 4실점으로 털렸지만 팀 타선이 상대 선발 [[루이스 카스티요]]를 털어버리며 동점 상황에서 내려간 덕분에 패전을 면했다. ==== 6월 27일: [[콜로라도 로키스|COL]]전 ([[쿠어스 필드|원정]]) [패배]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패 || 6 || 2 || 10 || 2 || 4 || [[|#]] || * 경기 전 콜로라도와의 원정 1차전에 선발 등판한다. 하지만 전날 애틀랜타와의 연장 11회까지 가는 혈전 끝에 승리를 거둔 다저스이기에 피로도가 누적되었고 [[쿠어스 필드]]이기에 어려운 승부가 예상된다. ---- * 경기 결과 6이닝을 버텼지만 4실점을 기록하며 시즌 첫 패전을 떠안고 말았다. 거기에 팀 타선도 상대 선발 [[채드 쿨]]의 슬라이더에 제대로 당하면서 쿠어스 필드 완봉승을 헌납하고 말았다. === 7월 === ==== 7월 2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SD]]전 ([[다저 스타디움|홈]])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승 || 6⅓ || 6 || 6 || 2 || 1 || [[|#]] || * 경기 전 샌디에이고와의 홈 3차전에 선발등판한다. 상대는 [[다르빗슈 유]]로 지난 4월 23일 선발 맞대결에서는 다르빗슈가 판정승을 거뒀는데 과연 이 경기에서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주목된다. ---- * 경기 결과 6회까지 완벽했지만 7회초에 흔들리며 [[트렌트 그리샴]]에게 희생플라이를 내주고 마운드를 내려갔다. 그래도 뒤이어 올라온 [[브루스더 그라테롤]]이 실점 없이 막아내며 퀄리티스타트를 기록했고 팀 타선도 천적 다르빗슈를 털어버리며 승리를 챙겼다. ==== 7월 8일: [[시카고 컵스|CHC]]전 ([[다저 스타디움|홈]]) [ND]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ND || 7 || 4 || 5 || 0 || 3 || [[|#]] || * 경기 전 [[시카고 컵스]]와의 홈 2차전에 선발 등판한다. ---- * 경기 결과 5회초 [[니코 호너]]에게 선제 홈런을 맞았고 6회초에는 시작부터 3연속 안타를 맞으며 2점을 더 내주었지만 그래도 7이닝을 먹어주며 퀄리티스타트 플러스로 꾸역꾸역 버텨냈다. 팀 타선이 터지지 않아 패전의 위기에 몰렸지만 9회말 무키 베츠의 동점 희생플라이 덕분에 패전의 위기에서 벗어낫다. 팀은 [[윌 스미스(1995)|윌 스미스]]의 연장 끝내기 적시타로 6:5 승리를 거뒀다. ==== 7월 14일: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STL]]전 ([[부시 스타디움|원정]])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승 || 6 || 4 || 3 || 2 || 0 || [[|#]] || * 경기 전 세인트루이스와의 원정 3차전에 전반기 마지막 등판을 가진다. 지난 2경기에서 불펜진의 소모가 컸던 만큼 이날 앤더슨이 긴 이닝을 소화해줄 필요가 있다. ---- * 경기 결과 6이닝 무실점 퀄리티스타트로 지난 2경기에서 불타올랐던 세인트루이스 타선을 완벽하게 잠재우며 빅리그 데뷔 이후 처음으로 시즌 10승을 챙겼다. 보험용으로 데려온 선수가 로또에 완벽하게 당첨되며 다저스 고쳐쓰기 철학이 빛을 보고 있다. ==== 7월 16일: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2년|MLB 올스타전]] 발탁 ==== [[카를로스 로돈]]이 출전을 포기하면서 로돈을 대신해 생애 처음으로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 7월 22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전 ([[다저 스타디움|홈]]) [ND]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ND || 6 || 4 || 3 || 2 || 1 || [[|#]] || * 경기 전 홈에서 라이벌 샌프란시스코를 상대로 후반기 첫 등판을 갖는다. 상대는 자이언츠의 에이스 [[로건 웹]]이라 쉽지 않다. ---- * 경기 결과 4회초 2사 1,3루 상황에서 [[예르민 메르세데스]]에게 동점 적시타를 맞았지만 6이닝 1실점으로 호투했다. [[로건 웹]]과 투수전으로 가는 바람에 승리를 챙기지 못했지만 8회말 [[코디 벨린저]]의 만루 홈런으로 팀은 5:1 승리를 거뒀다. ==== 7월 28일: [[콜로라도 로키스|COL]]전 ([[쿠어스 필드|원정]])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승 || 7 || 4 || 4 || 1 || 0 || [[|#]] || * 경기 전 후반기 두 번째 등판. 6월 27일의 아픔을 씻어내야 하지만 [[쿠어스 필드]]라 쉽지 않다. ---- * 경기 결과 투수들의 무덤인 [[쿠어스 필드]]에서 7이닝 무실점으로 승리를 챙기며 6월 27일의 아픔을 씻어냈다. 이날의 승리로 앤더슨은 2014년 [[클레이튼 커쇼]] 이후 처음으로 쿠어스 필드에서 7이닝 무실점을 기록한 다저스 선발 투수가 되었다. === 8월 === ==== 8월 2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전 ([[오라클 파크|원정]])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승 || 5 || 3 || 5 || 4 || 5 || [[|#]] || * 경기 전 샌프란시스코와의 원정 2차전에 선발 등판한다. 후반기 2경기에서 보여준 좋은 모습을 이어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 * 경기 결과 3회까지 잘 던지다가 4회말에 [[조이 바트]]의 투런 홈런 포함 연타를 얻어맞으며 5득점 빅이닝을 헌납했다. 6회말 연속 볼넷을 내주고 내려간 앤더슨이지만 [[에반 필립스]]가 이 위기를 벗어나면서 승리 요건이 유지되었고 결국 팀이 9:5로 승리하면서 앤더슨은 시즌 12승을 챙겼다. 한편 이 경기 도중 다저스의 전설적인 캐스터인 [[빈 스컬리]]가 타계했다는 슬픈 소식이 전해졌다. ==== 8월 7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SD]]전 ([[다저 스타디움|홈]])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승 || 7 || 3 || 2 || 1 || 0 || [[|#]] || * 경기 전 샌디에이고와의 홈 3차전에 선발 등판한다. 상대는 [[다르빗슈 유]]로 지금까지 2번 상대해서 1승을 거둔 앤더슨이기에 과연 이 경기에서 지난 경기의 부진을 씻어낼 수 있을지 관심거리다. ---- * 경기 결과 수비 도움을 받아가며 그야말로 완벽한 투구를 선보이며 지난 경기의 부진을 씻어냈다. 샌디에이고 타선을 상대로 단 한 번도 2루를 허용하지 않는 투구로 완벽하게 상대 타선을 잠재우며 다르빗슈에 판정승을 거뒀다. 앤더슨의 현재 페이스는 [[훌리오 유리아스]], [[토니 곤솔린]]과 함께 시즌 15승 이상을 올릴 수 있는 페이스다. 이 세 명이 15승 이상, 2점대 평균자책점을 동반 기록한다면 다저스 역사상 1975년 앤디 메서스미스, [[돈 서튼]], 버트 후튼 이후 47년 만의 기록이 된다. ==== 8월 14일: [[캔자스시티 로열스|KC]]전 ([[카우프만 스타디움|원정]]) [패배]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패 || 6 || 4 || 7 || 2 || 3 || [[|#]] || * 경기 전 캔자스시티의 원정 3차전에 선발 등판한다. 최근 대단한 화력을 선보인 팀의 13연승을 이끌 수 있을지 주목된다. ---- * 경기 결과 많은 득점권 위기에도 6이닝 3실점 퀄리티스타트로 꾸역꾸역 잘 막아줬지만 최근 대단한 화력을 선보였던 팀 타선이 상대 선발 [[브래디 싱어]]에게 거짓말처럼 완벽하게 막히는 바람에 패전 투수가 되었고 팀의 13연승도 좌절되었다. ==== 8월 19일: [[마이애미 말린스|MIA]]전 ([[다저 스타디움|홈]]) [ND]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ND || 7 || 6 || 5 || 3 || 1 || [[|#]] || * 경기 전 마이애미와의 홈 1차전에 선발 등판한다. ---- * 경기 결과 6회까지 무실점으로 잘 막다가 7회초 [[제라르 엔카나시온]]에게 선제 적시 2루타를 내주었다. 그래도 7이닝 1실점 퀄리티스타트 플러스를 했지만 팀 타선이 터지지 않아 노디시전에 그쳤다. 그래도 팀은 8회말에 행운의 야수선택으로 결승점을 만들며 짜릿한 역전승을 거뒀다. ==== 8월 26일: [[마이애미 말린스|MIA]]전 ([[론디포 파크|원정]]) [ND]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ND || 5⅓ || 4 || 3 || 2 || 2(1) || [[|#]] || * 경기 전 이번에는 장소를 옮겨 [[론디포 파크]]에서 리턴매치를 가진다. ---- * 경기 결과 처음 5이닝은 무실점으로 잘 틀어막았지만 6회 1사 1루에서 [[저스틴 터너]]가 송구 실책을 범했고, 이에 흔들린 앤더슨이 다음 타자에게 볼넷을 내주며 심상치 않더니 결국 [[조이 웬들]]에게 역전 적시타를 맞고 내려가며 패전의 위기에 놓였다. 하지만 [[무키 베츠]]가 하드캐리하면서 패전 위기에서 벗어났다. ==== 8월 31일: [[뉴욕 메츠|NYM]]전 ([[시티 필드|원정]]) [패배]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패 || 7 || 3 || 8 || 0 || 2 || [[|#]] || * 경기 전 메츠와의 원정 2차전에 선발 등판한다. 미리보는 NLCS로 상대가 [[제이콥 디그롬]]이기에 뜨거운 관심거리다. ---- * 경기 결과 7이닝 2실점으로 퀄리티스타트 플러스를 기록하며 상대 디그롬의 호투에 기죽지 않고 명품 투수전을 보여줬지만 하필이면 타선이 디그롬을 넘지 못하는 불운이 겹치며 퀄리티스타트 플러스를 하고도 패전 투수가 되었다. === 9월 === ==== 9월 6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전 ([[다저 스타디움|홈]])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승 || 7 || 3 || 8 || 0 || 3 || [[|#]] || * 경기 전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의 홈 2차전에 선발 등판한다. 전날 [[앤드루 히니]]가 홈런 4방을 내주고 탈탈 털리며 불펜 소모가 컸기에 앤더슨은 최대한 긴 이닝을 끌어줄 필요가 있다. ---- * 경기 결과 시작부터 [[루이스 브린슨]]에게 홈런을 맞았고 6회초에는 [[브랜든 크로포드]]에게 2점 홈런을 맞으며 3실점하긴 했지만 7이닝을 먹어줬고 타선도 자이언츠 킬러 [[맥스 먼시]]의 2홈런을 앞세워 홈런 공방전에서 승리를 거두며 시즌 14승을 챙겼다. ==== 9월 12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ARI]]전 ([[체이스 필드|원정]]) [승리]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승 || 7 || 2 || 5 || 2 || 0 || [[|#]] || * 경기 전 애리조나와의 1차전에 선발 등판한다. 상대는 [[라인 넬슨]]. 샌디에이고와의 데뷔전을 7이닝 7K 무실점 승리로 장식했던 신인이기에 어려운 승부가 예상된다. 하지만 앤더슨 본인은 올 시즌 애리조나와의 대결에서 2경기 2승 ERA 1.38로 극강의 면모를 보여왔다. 이날 승리를 거두면 다저스는 지구 우승 매직넘버를 1로 줄일 수 있다. ---- * 경기 결과 체인지업 제구가 영 신통치 않았지만 그럼에도 병살 3개를 잡아내는 피칭으로 애리조나 타선을 7이닝 무실점으로 잠재웠고 [[라인 넬슨]]에 막혀 고전했던 타선도 불펜을 한순간에 무너뜨리면서 시즌 15승을 챙겼다. ==== 9월 20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ARI]]전 ([[다저 스타디움|홈]]) [패배]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패 || 6 || 6 || 2 || 4 || 3(0) || [[|#]] || * 경기 전 이번에는 장소를 [[다저 스타디움]]으로 옮겨 2경기 연속 애리조나를 상대한다. 상대는 [[드레이 제임슨]]. 샌디에이고와의 데뷔전을 7이닝 5K 무실점 승리로 장식했던 신인이기에 어려운 승부가 예상된다. 올 시즌 앤더슨은 애리조나와의 대결에서 3경기 3승 ERA 0.90으로 저승사자의 모습을 보여준 바 있다. ---- * 경기 결과 하지만 이 경기는 팀이 실책 4개를 범하며 자멸했고 앤더슨 본인도 6회말에 몸에 맞는 공 2개를 허용했고 실책 2개를 저지르며 거기서 승부가 갈리고 말았다. 3실점은 모두 비자책이긴 했지만 팀 타선도 [[드레이 제임슨]]에게 막히면서 당연히 패전 투수가 되었다. ==== 9월 27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SD]]전 ([[펫코 파크|원정]]) [ND]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ND || 6 || 3 || 3 || 0 || 2 || [[|#]] || * 경기 전 샌디에이고와의 1차전에 선발 등판한다. 올 시즌 앤더슨은 샌디에이고와의 대결에서 3경기 2승 ERA 1.50으로 극강의 면모를 보여왔다. ---- * 경기 결과 1회말에는 커맨드가 원활하게 돌아가지 않으며 [[윌 마이어스]]에게 적시타를 내줬지만 이후에는 안정을 찾으면서 6이닝 2실점 퀄리티스타트로 잘 막아줬다. 하지만 타선이 ‘니가 해라 1승’을 시전하는 바람에 승리를 챙기지 못했다. === 10월 === ==== 10월 2일: [[콜로라도 로키스|COL]]전 ([[다저 스타디움|홈]]) [패배]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자책)}}}''' || '''{{{#FFFFFF 하이라이트}}}''' || || 패 || 5 || 10 || 6 || 0 || 2 || [[|#]] || * 경기 전 콜로라도와의 3차전에 선발 등판하여 정규시즌 마지막 등판을 가진다. 올 시즌 앤더슨은 콜로라도와의 대결에서 3경기 1승 1패 ERA 2.64로 강한 면모를 보여왔다. ---- * 경기 결과 1회부터 [[브랜든 로저스]]에게 홈런을 내줬고 3회초에도 1점을 더 내주면서 2실점으로 고전했지만 5회까지 삼진 10개를 잡아냈다. 하지만 팀 타선이 3안타로 빈공에 허덕이면서 패전 투수가 되었다. === 페넌트레이스 전체 요약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일자}}}''' || '''{{{#FFFFFF 상대}}}'''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 || '''{{{#FFFFFF 비고}}}''' || || 4월 9일 || [[콜로라도 로키스|COL]] || ND || 4 || 4 || 2 || 1 || 1 || ND || || 4월 15일 || [[신시내티 레즈|CIN]] || 승 || 4 || 4 || 2 || 1 || 1 || 시즌 첫 승 || || 4월 23일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SD]] || ND || 4⅔ || 4 || 4 || 0 || 2 || ND || || 4월 29일 || [[디트로이트 타이거즈|DET]] || 승 || 5 || 3 || 5 || 1 || 1 || 2승 || ||<-9> 4월 전체 4G '''2승 0패''' ERA 2.55 WHIP 0.96 || || 5월 7일 || [[시카고 컵스|CHC]] || 승 || 5 || 2 || 7 || 1 || 2 || 3승 || || 5월 12일 || [[필라델피아 필리스|PHI]] || ND || 6 || 5 || 10 || 0 || 7 || ND || || 5월 17일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ARI]] || 승 || 7 || 7 || 7 || 0 || 2 || QS+[br]4승 || || 5월 23일 || [[워싱턴 내셔널스|WSH]] || 승 || 8 || 8 || 5 || 0 || 0 || QS+[br]무실점[br]5승 || || 5월 29일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ARI]] || 승 || 6 || 6 || 5 || 1 || 0 || QS[br]무실점[br]6승 || ||<-9> 5월 전체 5G '''4승 0패''' ERA 3.09 WHIP 1.03 || || 6월 3일 || [[뉴욕 메츠|NYM]] || 승 || 6 || 5 || 3 || 1 || 0 || QS[br]무실점[br]7승 || || 6월 9일 || [[시카고 화이트삭스|CHW]] || ND || 3 || 2 || 4 || 3 || 4 || ND || || 6월 15일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LAA]] || 승 || 8⅓ || 8 || 2 || 3 || 1 || QS+[br]8승 || || 6월 22일 || [[신시내티 레즈|CIN]] || ND || 5 || 2 || 5 || 2 || 4(3) || ND || || 6월 27일 || [[콜로라도 로키스|COL]] || 패 || 6 || 2 || 10 || 2 || 4 || 1패 || ||<-9> 6월 전체 5G '''2승 1패''' ERA 3.81 WHIP 1.09 || || 7월 2일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SD]] || 승 || 6⅓ || 6 || 6 || 2 || 1 || QS[br]9승 || || 7월 8일 || [[시카고 컵스|CHC]] || ND || 7 || 4 || 5 || 0 || 3 || QS+ || || 7월 14일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STL]] || 승 || 6 || 4 || 3 || 2 || 0 || QS[br]무실점[br]10승 || || 7월 22일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ND || 6 || 4 || 3 || 2 || 1 || QS || || 7월 28일 || [[콜로라도 로키스|COL]] || 승 || 7 || 4 || 4 || 1 || 0 || QS+[br]무실점[br]11승 || ||<-9> 7월 전체 5G '''3승 0패''' ERA 1.11 WHIP 0.87 || || 8월 2일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승 || 5 || 3 || 5 || 4 || 5 || 12승 || || 8월 7일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SD]] || 승 || 7 || 3 || 2 || 1 || 0 || QS+[br]무실점[br]13승 || || 8월 14일 || [[캔자스시티 로열스|KC]] || 패 || 6 || 4 || 7 || 2 || 3 || QS[br]2패 || || 8월 19일 || [[마이애미 말린스|MIA]] || ND || 7 || 6 || 5 || 3 || 1 || QS+ || || 8월 26일 || [[마이애미 말린스|MIA]] || ND || 5⅓ || 4 || 3 || 2 || 2(1) || ND || || 8월 31일 || [[뉴욕 메츠|NYM]] || 패 || 7 || 3 || 8 || 0 || 2 || QS+[br]3패 || ||<-9> 8월 전체 6G '''2승 2패''' ERA 2.89 WHIP 1.13 || || 9월 6일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승 || 7 || 3 || 8 || 0 || 3 || QS+[br]14승 || || 9월 12일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ARI]] || 승 || 7 || 2 || 5 || 2 || 0 || QS+[br]무실점[br]15승 || || 9월 20일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ARI]] || 패 || 6 || 6 || 2 || 4 || 3(0) || QS[br]4패 || || 9월 27일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SD]] || ND || 6 || 3 || 3 || 0 || 2 || QS || ||<-9> 9월 전체 4G '''2승 1패''' ERA 1.73 WHIP 0.85 || || 10월 2일 || [[콜로라도 로키스|COL]] || 패 || 5 || 10 || 6 || 0 || 2 || 5패 || ||<-9> 10월 전체 1G '''0승 1패''' ERA 3.60 WHIP 1.20 || ||<-9> 2022시즌 전체 30G '''15승 5패 2.57 ERA 178⅓이닝 138K WHIP 1.00''' || }}} == 정규시즌 총평 == 보험용으로 영입한 선수가 다저스 고쳐쓰기 로또 복권에 당첨되면서 커리어 하이 시즌을 보냈다. 시즌 초반에는 [[토니 곤솔린]]과 1+1 선발로 붙여서 나왔지만 [[앤드루 히니]]의 부상으로 선발 자리를 꿰차며 맞춰 잡는 피칭으로 효과를 봤고 팀 내에서 가장 많은 이닝을 먹으며 본래 그저 그런 4~5선발급 투수가 1~2선발급 투수로 변신하는 데 성공했다. == 포스트시즌 == === [[2022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NLDS]] === ==== 10월 15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SD]]전 ([[펫코 파크|원정]]) [ND] ==== || '''{{{#FFFFFF 승/패}}}''' || '''{{{#FFFFFF 이닝}}}''' || '''{{{#FFFFFF 탈삼진}}}'''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실점}}}''' || '''{{{#FFFFFF 하이라이트}}}''' || || ND || 5 || 6 || 2 || 2 || 0 || [[|#]] || * 경기 전 팀이 2차전부터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며 탈락의 위기에 놓여 있다. 위기를 구원하기 위해서라면 4차전 선발인 앤더슨의 어깨는 더더욱 무거워졌으며 올 시즌 샌디에이고전 4경기 2승 ERA 1.88로 극강의 면모를 보여왔다는 것에 희망을 걸어야 한다. ---- * 경기 결과 엘리미네이션 게임에서 5이닝 6K 무실점으로 호투하고 내려갔지만, 불펜진이 7회말에 불을 거하게 지르면서 결국 노디시전에 그쳤고 팀도 1승 3패로 업셋을 당하며 111승 디비전딱이라는 불명예 기록을 쓰며 멸망하고 말았다. == 시즌 후 == 다저스가 퀄리파잉 오퍼를 제시했지만 거절하고 FA 시장에 나갔으며 시장이 열리자마자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와 3년 39M 계약을 맺고 이적했다. == 관련 문서 ==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2022년]]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타일러 앤더슨/선수 경력, version=43, paragraph=8.1)] [[분류:야구선수/커리어]][[분류:로스앤젤레스 다저스/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