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타이완 철로관리국|[[파일:타이완 철로관리국 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 {{{#0000FF '''타이완철로유한회사 {{{+1 EMU800형 전동차}}}'''[br]{{{-1 TRA}}} EMU800 series[br]台鐵 EMU800型 電聯車}}} ||}}} || ||<-3> [[파일:external/www.n-sharyo.co.jp/trta_emu800-1.jpg|width=100%]] || ||<-3> '''차량 정보''' || || '''열차형식''' ||<-2> [[근교형 전동차]]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2> 8량 1편성 || || '''도입시기''' ||<-2> 2012년 ~ 2015년, 2016년 || || '''제작사''' ||<-2> [[일본차량제조]], [[http://www.trsc.com.tw/|타이완차량주식회사]] || || '''소유기관''' ||<|2><-2> [[타이완철로유한회사|[[파일:타이완 철로관리국 로고.svg|width=100]]]] || || '''운영기관''' || || '''운행시기''' ||<-2> [[2014년]] [[1월 2일]] ~ 현재 || ||<-3> {{{#black '''차량 제원'''}}}[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3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전장''' ||<-2> 선두차 21,250mm[br]중간차 20,300mm || || '''전폭''' ||<-2> 2,889㎜ || || '''전고''' ||<-2> 3,958mm[br]팬터그래프 부착차량 4,227mm || || '''궤간''' ||<-2> 1,067㎜ || || '''차중''' ||<-2> 39.5t || || '''급전방식''' ||<-2> [[교류(전기)|교류]] 25000V 60Hz [[가공전차선]] 방식 || || '''운전보안장치''' ||<-2> [[열차자동방호장치|ATP]] || || '''제어방식''' ||<-2> [[도시바]]제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IGBT]] || || '''동력장치''' ||<-2> 도시바제 농형 3상 유도전동기 || || '''동력전달장치''' ||<-2> TD 평행카르단 || || '''제동방식''' ||<-2>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순전기제동 포함] || ||<|2> '''최고속도''' || 영업 || 130㎞/h || || 설계 || 140㎞/h || || '''가속도''' ||<-2> 0~50km/h: 2.52km/h/s[br]0~130km/h: 0.72km/h/s || || '''감속도''' ||<-2> 상용 4.32km/h/s[br]비상 4.68km/h/s || || '''MT 비''' ||<-2> 4M 4T ||}}}}}} || [clearfix] [목차] == 개요 == || [youtube(uR8YGb0YfiQ)] || || '''공식 소개 영상''' || [[타이완철로유한회사]](2023년까지 [[타이완 철로관리국]])이 운용하는 구간차 열차로 [[타이완철로유한회사 EMU700형 전동차|EMU700형]]의 계보를 잇는 차량. 2013년 첫 시운전, 2014년 1월부터 영업운전을 시작한 ~~특급~~통근형 차량이다. [[구간차]], [[구간쾌차]]로 투입. 2편성 16량은 [[일본차량제조]]에서 제작, 나머지 280량은 타이완차량주식회사에서 기술 지원으로 생산하였다. 구동음이 일명 [[뱀눈이]]라고 불리는 [[한국철도공사]] 전동차와 같은 회사의 IGBT 소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https://www.youtube.com/watch?v=4Sfk46NqauE&list=LLfH6JZuyMgqIEiyewSlIhEw&index=2&t=0s|한국 사람들에게 상당히 익숙한 구동음이다.]] EMU700형에 존재하던 계단이 사라지고, 휠체어 전용 공간, 배리어 프리 화장실, 자전거 거치대까지 설치되었다. 게다가 세미 크로스 시트[* 이미 EMU700형에 도입되었으며 [[타이베이 첩운]]이 이와 동일한 형태다.]까지 채용하여 [[광역전철]] 역할을 톡톡히 해 줄 것으로 보인다. [[파일:external/www.railway.gov.tw/106_TB.jpg]] [[파일:external/www.railway.gov.tw/107_TB.jpg]] [[파일:external/www.railway.gov.tw/108_TB.jpg]] 차내 행선지는 LED이나 천장에 LCD도 장착되어 있다. [[파일:img-58b78b9590ae3.jpg]] 2016년에 추가 도입분 6편성 48량이 타이완차량주식회사에서 생산되었다. 해당 6편성 48량의 경우 색 배치가 반전되어있어 다른 EMU800형과 쉽게 구별할수 있으며, 세미 크로스시트가 없고 전부 롱시트로 구성되어있다. 대만 철도가 [[JR 시코쿠]]와 콜라보를 했을 당시 8000계 전동차의 도색을 한 적이 있었다. == 관련 문서 == * [[타이완철로유한회사]] * [[구간차]] * [[전동차]] [[분류:대만의 철도차량]][[분류:전동차]][[분류:2012년 출시]][[분류:2016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