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타이완의 성도)] ||<-2><:> {{{#ffffff {{{+1 '''타이완 성도 제9호선''' }}}[br]{{{+1 '''臺9線/台9線'''}}}}}}||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TW_PHW9_maps.svg.png|width=100%]]|| ||<-2><:> || || 주선 길이 || 476.072 km || || 지선 길이 || 46.409 km || || 속도 제한 || 30~70 km/h || || 기점 || 타이베이 시 중정구 [[https://www.google.com/maps/@25.0454925,121.5194242,3a,75y,173.74h,90.66t/data=!3m6!1e1!3m4!1s1QdM3uz76rEJGKIu_j1ztA!2e0!7i13312!8i6656?hl=kr|스트리트 뷰]] || || 종점 || 핑둥 현 팡상향 [[https://www.google.com/maps/@22.205505,120.6879187,3a,75y,300.00h,104.27t/data=!3m6!1e1!3m4!1ss2u7EOImfFOnX_SrELNgmw!2e0!7i16384!8i8192?hl=kr|스트리트 뷰]] || [목차] == 개요 == 타이완 성도의 노선 중 하나이며 [[타이완 성도 제1호선|성도 1호선]]과 함께 대만을 일주하는 환도공로를 구성한다. 기점은 둘 다 [[타이베이]] [[행정원]] 앞 사거리로 도로원표가 있는 곳 이며 종점에서 성도 1호선 및 성도 26호선과 교차한다. [[신베이]] 신뎬에서 [[이란현|이란]] 짜오시 구간과 이란 쑤아오에서 화롄 신청까지 구간이 험난하기로 유명했다. 구간이 짧은 것도 아니라 서울부터 강릉까지 가는데 대관령고갯길만 지나간다고 생각해도 될 정도였다. 때문에 [[타이베이]]-[[화롄]]간 교통은 항공편과 열차편에만 의존했다. 신베이-이란 구간은 2006년 장웨이수이 고속도로 개통으로 나아졌고 쑤아오-화롄 구간은 2018년 확장 구간의 부분 개통과 2020년 추가 확장개통으로 해소되었다. 중간중간 아직 확장되지 않은 구간이 있는데 잔여구간 25km의 확장 개통은 2030년으로 예정되어 있다. 쑤화공로로 악명 높았던 이 구간은 台9丁 지선으로 2018년 재지정되었다. 과거라면 도로를 이용해 타이베이와 화롄을 오가는건 엄두도 못냈는데 새로 개통된 고속버스가 화롄시내에서 타이베이 외곽까지 3시간이면 도착한다. == 지선 == * 갑선(甲線) ||<-2><:> {{{#ffffff {{{+1 '''타이완 성도 제9호선''' }}}[br]{{{+1 '''臺9甲線/台9甲線'''}}}}}}|| ||<-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TW_PHW9a.svg.png]] || || 지선 길이 || 19.833 km || [[타이베이]](신베이)~[[이란현]] 간 구간에서 [[이란선]]과 함께 협곡따라 가는 것을, 산맥에 터널 뚫고 우회한 구간이다. * 을선(乙線) ||<-2><:> {{{#ffffff {{{+1 '''타이완 성도 제9호선''' }}}[br]{{{+1 '''臺9乙線/台9乙線'''}}}}}}||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TW_PHW9b.svg.png]] || || 지선 길이 || 3.781 km || 타이둥 부근 고갯길이 크게 돌아가는 구간을 직선화한 곳이다. ~~이 문서 상단 지도에서도 잘 안 보인다~~ * 병선(丙線) ||<-2><:> {{{#ffffff {{{+1 '''타이완 성도 제9호선''' }}}[br]{{{+1 '''臺9丙線/台9丙線'''}}}}}}||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TW_PHW9c.svg.png]] || || 지선 길이 || 22.745 km || 화롄 남쪽의 구배(경사)를 S자로 돌아서 넘는 옛 구간을 직선화하면서, 구 본선이 지선으로 격하된 구간이다.[* 한국은 이런 경우 보통 구도로를 한 단계 낮게 격하시키는데(영동고속도로 [[대관령]] 구간이나 [[남해고속도로]] 하동~사천 사이 금오산 구간 등) 대만은 그냥 주간선의 지선으로 편입시키는 경우가 많다.] * 정선(丁線) ||<-2><:> {{{#ffffff {{{+1 '''타이완 성도 제9호선''' }}}[br]{{{+1 '''臺9丁線/台9丁線'''}}}}}}|| ||<-2><:> || || 지선 길이 || 69.074 km || [[이란현]] 쑤야오 ~ [[화롄현]] 신청향 사이의 그 악명높던 해안절벽 구간으로, 터널과 교량으로 시원하게 직선화하면서 구 본선이 지선으로 격하된 구간이다. * 무선(戊線) ||<-2><:> {{{#ffffff {{{+1 '''타이완 성도 제9호선''' }}}[br]{{{+1 '''臺9戊線/台9戊線'''}}}}}}|| ||<-2><:> || || 지선 길이 || 16.151 km || == 여담 == * 9호선이 시작하는 기점에서 남쪽으로 200m 정도 내려간 사거리 오른쪽에 큰 건물을 볼 수 있는데, 바로 [[타이완대학병원역|국립대만대학 병원]] 내에 있는 어린이 병원으로, [[디모]]의 소녀가 입원해 있었던 곳이다. [[http://cafe.naver.com/911206/40302|출처]] [[분류:타이완 성도]][[분류:나무위키 도로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