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누메노르 국왕)] ---- ||<-2>
'''[[레젠다리움/등장인물|{{{#fff 레젠다리움의 등장인물}}}]][br]{{{+1 타르메넬두르}}}[br]{{{#!htmlTar-Meneldur}}}''' || || '''본명''' ||'''Írimon'''[br]이리몬 || || '''이명''' ||'''Tar-Meneldur'''[br]타르메넬두르[br]Elentirmo[br]엘렌티르모 || || '''성별''' ||남성 || || '''종족''' ||[[인간(가운데땅)|인간]] {{{-2 ([[누메노르인]])}}} || || '''거주지''' ||[[누메노르]] || || '''출생''' ||S.A. 543 || || '''가문/왕조''' ||House of Elros[br][[엘로스 왕조]] || || '''직책''' ||King of the Númenor[br][[누메노르]]의 왕 || || '''재위기간''' ||S.A. 740 - 883 || || '''가족관계''' ||[[타르엘렌딜]] {{{-2 (아버지)}}}[br][[실마리엔]] {{{-2 (누나)}}}[br]이실메 {{{-2 (누나)}}}[br]알마리안 {{{-2 (아내)}}}[br][[타르알다리온|아나르딜]] {{{-2 (아들)}}}[br]아일리넬 {{{-2 (딸)}}}[br]알미엘 {{{-2 (딸)}}} || [목차] [clearfix] == 소개 == 타르메넬두르는 [[누메노르]]의 제 5대 왕이다. 그는 [[제2시대]] 543년. 제 4대 왕 [[타르엘렌딜]]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실마리엔]]과 이실메라는 두 명의 누나가 있으므로, 왕의 세 번째 자식이었다[* 큰 누나 실마리엔은 [[안두니에]]의 엘라탄과 결혼하였는데, 그들의 아들이 오랜 후에 [[가운데땅]]에서 [[곤도르]]와 [[아르노르]]의 왕들의 가계로 이어졌던, 안두니에의 영주인 [[발란딜#s-1|발란딜]]이었다.]. 그는 740년에 즉위하여 143년간 통치하였고, 883년에 340세의 나이로 왕위를 양도하였는데, 942년에 399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그는 [[타르엘렌딜]]하의 배들의 선장 베안투르(Vëantur)의 딸 알마리안과 결혼하였다. 그는 현명하지만, 온화하며 참을성이 있었다. == 이름 == * '''이리몬(Írimon)'''[*Q [[퀘냐]]] - 뜻은 불명이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조합의 변형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 경우에는 [[발라(가운데땅)|발라]] [[이르모]]와 같은 어원을 둔 이름이 된다.] '''írë'''[* Desire(욕망). 'desire/long for(욕망하다/열망하다)'를 의미하는 원시 요정어 어근 '''ID''' 또는 '''IR'''에서 파생됐다.] + '''-mo'''[* -er(-하는 사람). 남성형 접미사이다.] * '''메넬두르(Meneldur)'''[*Q] - '천상의 시종(Servant of the Heavens)'이라는 뜻이다. 그의 별명이지만 그가 천문 지식에 심취해있었기 때문에 왕호로 채택됐다. '''타르메넬두르(Tar-Meneldur)'''는 왕호이다. '''-tar'''[* High/King/Queen(높은/왕/여왕). 'high/lofty/noble(높은/숭고한/고귀한)'을 의미하는 원시 요정어 어근 '''TĀ/TAƷ'''에서 파생된 접사이다. [[누메노르]]의 왕, 또는 여왕의 이름에서 왕호처럼 쓰인다.] + '''menel'''[* Heaven(천상). 원시 요정어 어근 '''MENEL'''에서 파생됐다.] + '''-(n)dur'''[* Servant/to Serve(하인/접대하다). 'Love/Feeling of special concern with/Care for(사랑하다/특별한 관심의 감정/보살피다)'를 의미하는 원시 요정어 어근 '''(N)DUR'''에서 파생됐다.] === 별칭 === * '''엘렌티르모(Elentirmo)'''[*Q] - '별 관측자(Star-watcher)'라는 뜻이다. '''elen'''[* Star(별). 원시 요정어 어근인 '''EL'''에서 파생됐다.] + '''[ruby(tirmo,ruby=tir- + -mo)]'''[* Watcher(감시자). 'watch(보다)'를 의미하는 원시 요정어 어근 '''TIR'''에서 파생된 단어 '''tir-'''와 남성형 접미사 '''-mo'''가 결합해서 파생된 단어이다.] * '''대왕(High-King)''' - [[길 갈라드]]의 편지에서 언급되는 명칭으로, 다른 누메노르의 왕들에게는 대왕이라는 호칭이 사용됐다는 서술이 없는 것으로 보아 가운데땅에 식민지를 개척한 그를 높여 부른 호칭으로 추측된다. == 생애 == 왕위에 오르기 전 메넬두르는 천체의 움직임을 연구하기 위해 누메노르 최북단의 포로스타르에 탑을 세웠다. 그곳의 하늘이 다른 곳의 하늘보다 맑았기 때문에 '''엘렌티르모'''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 베안투르의 딸 알마리안과 결혼하여 아들 [[타르알다리온|아나르딜]]과 딸 아일리넬, 알미엘을 낳았다. [[제2시대]] 740년. 메넬두르는 누메노르의 홀을 받아 누메노르의 왕이 된다. 그래서 [[아르메넬로스]]에 있는 거대한 왕들의 저택에서 거주하였다. 그는 천문에 대한 학식을 넓히는 것에 대한 동경을 쉽게 접지 못했지만, 통치에 집중하면서 선량하고 현명한 왕임을 입증하였다.[* 그런데 아들이자 차기 왕인 타르알다리온은 항해가 좋아서 일생과 재위 기간 대부분을 바다에서 보내느라 국정에 소홀히 하고, 가정을 파탄내고 말았다.] 아들인 아나르딜은 자라서 항해에 대해 갈망하게 되었고, 이윽고 알다리온이라는 이름을 얻게 된다. 그리고 자주 항해를 떠났다. 하지만 메넬두르가 왕에 올랐을 때 알다리온은 그의 곁에 머무르며 그를 위로했다. 얼마 뒤 알다리온에게는 다시금 항해를 향한 욕구가 나타나게 되었고, 항해자 길드를 세워 항해를 떠난다. 지속적인 항해에 우려를 표한 메넬두르는 누메노르의 나무를 베지 못하는 명을 내렸다. 하지만 알다리온은 [[가운데땅]]에서 나무를 잘라 선박을 건조했다. 알다리온이 점차 항해에만 집중하면서 결혼도 안 하고, 후계자 수업도 소홀히 하자 타르메넬두르도 서서히 알다리온에게 분노했다. 결국 800년 타르메넬두르는 알다리온의 항해를 금지한다. 그러나 6년 후 알다리온은 다시 항해하는 것을 허락받게 된다. 그럼에도 두 부자는 종종 알다리온의 항해를 두고 다투었다. 심지어 타르메넬두르가 허락하지 않았음에도 알다리온이 출항하면서 둘의 갈등이 극이 달했다.[* 이건 단순히 아버지의 명령을 거절한 게 아니라, 어명을 거부, 즉 반역에 가까운 행동이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882년 알다리온이 가져온 [[길 갈라드]]의 편지를 받은 그는 [[엘다르]]와 [[두네다인]]에게 적대하는 [[사우론|사악한 영혼]]이 가운데땅을 선동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그러나 그 누구도 아직은 그 정체가 [[사우론]]임을 알지 못하였다. 다만 그 선동자에 대해 뭔가 안 좋은 예감이 들었을 뿐이다.] 이때문에 타르메넬두르는 [[타르알다리온|자신의 아들]]이 [[요정(가운데땅)|요정]]을 지속적으로 돕고 있었으며, 이 문제에 대해서는 아들이 더 잘 대처할 것이라는 판단 하에 883년, 예정했던 때보다 훨씬 이전에 그의 아들 [[타르알다리온|알다리온]]에게 누메노르의 왕위를 양도하였다. === 천문학자로서 === 메넬두르는 교만하지 않은 온화한 품성에, 그의 활동은 육체적 행위보다는 오히려 사고에 있었던 사람이었다. 그는 누메노르의 땅과 그 안의 모든 것들을 매우 사랑하였지만, 그 모든 주위에 놓인 저 바다에는 주의를 주지 않았는데, 그는 북쪽 곶 근처 소론틸(독수리 뿔)산에 별을 관찰하기 위해 탑을 세울 정도로 별을 좋아하였다. 그래서 '''메넬두르''' 또는 '''엘렌티르모(Elentirmo)'''라고 불렸다. 만일 그의 큰 누나인 [[실마리엔]]이 여왕이 되었더라면 메넬두르는 '''천문학자로서 명성을 날렸을 지도 모른다. [[분류:레젠다리움/등장인물/인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