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Lycosa_tarantula.png|width=100%]] || ||<-5> '''타란툴라늑대거미''' || ||<-3> Tarantula wolf spider ||<-2>이명: 타란툴라거미|| ||<-5> ''' ''Lycosa tarantula'' ''' (Linnaeus, 1758) || ||<|10> 분류 || || [[계]] ||<-3>[[동물계]]|| || [[문]] ||<-3>절지동물문(Arthropoda)|| || [[아문]] ||<-3>[[협각아문]](Chelicerata)|| || [[강]] ||<-3>거미강(Arachnida)|| || [[목]] ||<-3>거미목(Araneae)|| || [[목|아목]] ||<-3>새실젖거미아목(Araneomorphae)|| || [[과]] ||<-3>늑대거미과(Lycosidae)|| || [[속]] ||<-3>짧은마디늑대거미속(''Lycosa'')|| || [[종]] ||<-3>'''타란툴라늑대거미'''(''L. tarantula'')|| [목차] == 개요 == 남[[유럽]]에 서식하는 [[늑대거미]]과의 [[거미]]. 흔히 '[[타란툴라]]' 하면 몸집이 크고 털이 숭숭 난 거미를 뜻하지만, 원래 타란툴라는 이 거미를 가리키는 이름이었다. 즉 이쪽이 '''원조 타란툴라'''라고 할 수 있다. 타란툴라라는 이름은 [[이탈리아]] [[타란토]]에서 유래되었다. == 상세 == 늑대거미 중 대형으로 암컷은 30mm, 수컷은 19mm 정도 된다. 암컷은 최대 4년 이상, 수컷은 최대 2년까지 살 수 있다. == 무도병 == > Tarantula, noun: An insect whose bite is only cured by musick. > (타란툴라, 명사: 물리게 되면 오직 음악으로만 그 병을 치유할 수 있는 곤충.) > ----- > 새뮤얼 존슨, "영어 사전"(A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1775)[* 새뮤얼 존슨은 영국의 시인이자 작가로 최초로 근대적인 영어 사전을 편찬한 것으로 유명하다. 존슨은 풍자시도 여럿 발표하는 등 풍자에도 일가견이 있었기에 그의 사전은 간결하고 일관적이면서 동시에 블랙 코미디스러운 어휘 설명으로도 유명하다. 여담으로 설명에서 music이 musick으로 된 것은 오타가 아니라 18세기 영어로 작성된 원문 문장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무도병(舞蹈病, tarantism)은 과거 유럽, 특히 남부 이탈리아 지역을 중심으로 유행하였던 미스터리한 질병의 이름이다. 타란툴라늑대거미에게 물릴 시 걸리게 되는 것으로 알려진 무도병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1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15세기에서 17세기 사이 절정을 찍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동시에 무도병은 전염성이 매우 강하여, 한 명이 무도병에 걸리게 되면 주변의 인물 전체가 이 병에 걸리는 경우도 드물지 않았다. 무도병의 가장 큰 특징은 자신의 의지로 절제할 수 없는 춤에 대한 충동이다. 당시에는 탈진할 때까지 미치도록 춤을 추어야 병에서 해방될 수 있다고 보았고, 이러한 치료법에서 발달한 것이 남부 이탈리아, 특히 타란토(Taranto)[* 남부 이탈리아에 위치한 지역 이름.] 지역을 중심으로 발달한 민속 무용 타란텔라(Tarantella)이다. || [youtube(MbdeUMynQaM)] || || [[조아키노 로시니]], 나폴리 타란텔라 춤곡(La Danza Tarantella napoletana)[* 당시 무도병의 유행과 함께 타란텔라를 위한 곡이 상당히 유행했으며, 로시니 등 유명 음악가들 또한 타란텔라 춤곡을 작곡한 것이 많이 남아 있다.] || 현대 들어 무도병은 더 이상 보고되고 있지 않다. 오늘날 의학계에서는 이 병의 정체를 집단 히스테리로 보고 있으며, 심리학계에서는 무도병을 그 유명한 프랑스 제55보병사단 와해 사건과 함께[* [[6주 전쟁]] 항목 참조.] 광란적 집단 환각의 대표사례로 간주한다. [[분류:늑대거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