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어떠한 게임 리그의 스폰서를 '''다른 게임'''의 회사가 해 주는 경우를 말한다. 딱히 지칭하는 명사가 없기에 '''타게임 스폰서'''라고 본 문서명을 이렇게 임시로 정해지게 되었다. [[대한민국]]에서 이런 경우는 [[스타크래프트]] 리그를 제외하면 없었으며, 세계적으로 범위를 넓힌다면 사례가 어느 정도 있을지도 모른다. == [[온게임넷 스타리그]] == 스타리그가 타게임 스폰서를 받은 적은 없지만, 스타리그의 하부리그[* [[온게임넷 챌린지리그|챌린지리그]], 듀얼 토너먼트, 스타챌린지.]는 한 번 타게임 스폰서를 받은 적이 있으며 바로 [[구룡쟁패]]. [[BATOO 스타리그 08~09]]은 그냥 자기네 계열사 게임 홍보한 거다. 다시 말해서 자사 스폰. * [[한빛소프트]]([[2001 한빛소프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 게임 자체가 아닌 게임 회사 스폰서. 그리고 [[스타크래프트]]의 초기 유통사이자, 이후 [[한빛 스타즈]]를 운영. * [[한게임]]([[NHN 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03~04]]) - 게임 자체가 아닌 게임 포털사이트 스폰서. * [[네오위즈]] [[피망(네오위즈)|피망]]([[neowiz Pmang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 - 게임 자체가 아닌 게임 포털사이트 스폰서. 그리고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 당시에는 프로리그가 [[온게임넷]] 주관 대회였다. 이후 2005년 [[MBC GAME]]의 [[팀리그]]와 합쳐지면서 [[KeSPA]]로 넘어갔다.] 스폰서. * [[게임빌]] - 게임 자체가 아닌 게임 회사 스폰서, 거기에 하부리그인 [[온게임넷 챌린지리그|챌린지리그]]&듀얼 토너먼트 스폰서.[* 해당 대회는 [[IOPS 스타리그 04~05]]와 연동되었다.] * [[구룡쟁패]] - 하부리그인 듀얼 토너먼트 스폰서.[* 해당 대회는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와 연동되었다.] * [[바투#s-3|바투]]([[BATOO 스타리그 08~09]]) - 온게임넷과 같은 계열사인 [[온미디어]]에서 만든 게임.[* 참고로 온미디어는 [[바둑TV]]를 운영했던 적이 있다. 이후 [[CJ E&M]]을 거쳐 현재는 [[한국기원]]으로 이관.] 한마디로 그냥 자사 스폰. 그리고 온미디어가 [[CJ그룹]]에 인수된 후인 '''2010년 10월 28일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MBC GAME 스타리그]] == '''타게임 스폰서'''를 꽤 많이 받았다. 게임리그 주제에 다른 게임한테 스폰서를 받는다는 게 좀 웃긴 현실이긴 한데, 완불엠(…) 특성상 대기업들은 왠지 꺼리지만 어쨌든 스타크래프트 리그가 스폰서 가격대비 홍보효과(특히 10대~20대)가 컸기 때문에 신생 게임들이 홍보를 노리고 스폰서를 해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스폰서가 어느 기업이냐에 따라 사람들의 인식이 많이 달랐기 때문에 타게임 스폰서는 거의 마지막 선택이라고 봐야 했다. * 센게임([[하나포스 센게임 MSL]]) - 게임 포탈사이트 스폰서인데 있는지조차 모르는 사람이 많다. 게다가 센게임의 모기업인 [[하나포스]]는 결국 [[SK]]에 합병당했다. * 당신은 골프왕([[당신은 골프왕 MSL]]) - [[팡야]]의 벽을 넘지 못하고 결승전 후 3년 만인 2008년 6월 19일 서비스 종료. * 클럽데이 온라인([[Clubday Online MSL 2008]]) - 가장 엄청난 케이스로 2009년 2월 28일 서비스 종료. 결승전 끝나고 3개월 만에 [[망했어요]]. 참고로 해당 게임은 [[CJ 엔투스]]와 같은 계열의 [[CJ그룹]]에 속한 채널인 [[Mnet]]에서 서비스하였다. * [[로스트사가]]([[로스트사가 MSL 2009]]) - 하는 사람만 한다. 그래도 게임성 부분은 괜찮다는 얘기가 많이 나온 편이고, 가장 중요한 건 '''MSL 타게임 스폰서 가운데서 유일하게 2023년 현재까지 서비스 중이라는 거다'''. 즉, 하는 사람만 하긴 해도 망하진 않았고 게임은 꽤 괜찮은 편이다. 참고로 대회 당시 해당 게임은 [[삼성전자 칸]]의 모기업인 [[삼성전자]]에서 서비스하였다.[* 그래서 당시 [[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유니폼|삼성전자 칸의 유니폼]] 패치로 [[로스트사가]] 패치가 붙어 있었다.] * [[아발론 온라인]]([[아발론 MSL 2009]]) - 리그도 벌였고 홍보를 열심히는 했지만 [[카오스(워크래프트 3/유즈맵)|워3 카오스]] 짝퉁이라는 딱지가 붙어 있었다. 리그도 여는가 싶었지만 시원찮으니 캐시템을 풀어서[* 소수 팀원간 유기적 플레이가 강력하게 요구되는 [[AOS]] 장르에서 꾸미기 말고 게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를 캐시화한다는 건 미친 짓이다. 이 경우는 리그까지 열었지만 신통치 않자 그냥 원금이라도 일부 회수하고 접으려는 의도로 보인다. 유명 게임만 아는 일반인에겐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중국과 한국에선 심지어 처음부터 저런 걸 염두에 두고 유령 회사 차려서 겉만 번지르르한 게임을 만들어 [[호구(유행어)|호구]]를 낚는 경우가 많다.] 결국 결승전 후 3년 만인 2012년 8월 6일 서비스 종료. 이후 2014년에 부활하기는 하였으나 이마저도 1년만인 2015년 서비스 종료. 참고로 대회 당시 해당 게임은 [[위메이드 폭스]]의 모기업인 [[위메이드]]에서 서비스하였다. 참고로 클럽데이-로스트 사가-아발론 ~~3연벙~~3연속 타게임 스폰서다. 또한 이 3게임은 [[스폰서의 저주]]라는 공통점도 있다. MSL을 후원한 게임이 망하는 이유는 '''반드시 완불엠 때문은 아니고''' 게임성을 높이는 것보다 마케팅에 [[올인#s-4]]하다 망했어요가 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사실[[ 스타크래프트]] 리그 스폰서를 통해 성공한 경우는 [[신한은행]]과 [[곰앤컴퍼니|곰TV]], [[KT테크|EVER]], [[팬택 스카이 시리즈|SKY]][* 원래는 [[SK텔레콤]] 산하의 [[SK텔레텍]]에서 생산했다가 이후 [[팬택]]으로 넘어갔다.], SK플래닛 외에는 적은 듯하다. 역대 최고 흥행 리그였던 [[So1 스타리그 2005]]도 정작 스폰서인 So1은 [[망했어요]]. 그 외에는 중박 아니면 쪽박.[* 스타리그 스폰서 전부터 잘되던 기업인데 젊은층을 더 이끌기 위해 스폰서를 유치한 [[코카콜라]]나 [[파나소닉]], [[올림푸스]], [[질레트]], [[프링글스]], [[신한은행]], [[박카스]], [[대한항공]], [[하나대투증권]], [[ABC마트]] 등 스타리그의 흥행과 상관 없는 초대박 기업은 제외.] 그나마 2009년까지는 이런 타게임 스폰서로 감지덕지하던 MSL은 [[NATE MSL]]에서 그 유명한 [[1.23 정전사건]]을 일으키면서 휘청이기 시작했으며, 이후 [[하나대투증권 MSL]][* 다만 리그 시작 당시에는 정전사건의 여파 때문인지 스폰서가 없었다.], [[ABC마트 MSL]]과 같이 괜찮은 스폰서를 물어왔지만, 이어진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승부조작 사건]]과 [[스타크래프트 저작권 분쟁|저작권 분쟁]]의 후폭풍으로 인해 중간에 [[빅파일 MSL|두]] [[피디팝 MSL|시즌]] 연속으로 [[웹하드#s-2|웹하드]]로부터 스폰서를 받는 지경에 이르렀다. 결국 마지막 MSL이었던 [[2011 MSL 시즌 2]]가 [[MBC MUSIC|음악채널]] 개국을 밀어붙이던 [[김재철(언론인)|당시 사장]]과 고위층의 방해공작으로 인해 취소되었으며, 그 뒤 MSL과 [[MBC GAME]] 모두 [[MBC GAME 폐국 사태|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각주] [[분류:e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