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trikeforce 라이트헤비급 챔피언)] ||<-2>
[[파일:muhammed-lawal1.jpg|width=100%]]|| || '''{{{#white 이름}}}''' || '''무하마드 라왈[br](Muhammed Lawal)''' || || '''{{{#white 생년월일}}}''' || '''[[1981년]] [[1월 11일]] ([age(1981-01-11)]세)''' || || '''{{{#white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white 출생지}}}''' || '''[[테네시]] 머프리즈버러''' || || '''{{{#white 거주지}}}''' || '''[[플로리다]] 코코넛 크릭''' || || '''{{{#white [[종합격투기|{{{#white 종합격투기}}}]] 전적}}}''' || '''[[http://sherdog.com/fighter/Muhammed-Lawal-29858| 32전 21승 10패 1무효]]''' || || '''{{{#white 승}}}''' || '''13KO, 8판정''' || || '''{{{#white 패}}}''' || '''7KO, 3판정''' || || '''{{{#white [[킥복싱|{{{#white 입식}}}]] 전적}}}''' || '''2전 2승 (1KO)''' || || '''{{{#white 체격}}}''' || '''183cm / 96kg / 201cm''' || || '''{{{#white 링네임}}}''' || '''King Mo''' || ||<|6> '''{{{#white 주요 타이틀}}}''' || '''2003 [[NCAA]] Division I [[올 아메리칸#s-1|All-American]]''' || || '''2007 FILA [[팬아메리칸 게임|팬아메리칸 레슬링 선수권 대회]] (자유형 레슬링) -96kg {{{#AA9872 금메달}}}''' || || '''2007 FILA [[월드컵(동음이의어)#s-2|레슬링 월드컵]] (자유형 레슬링) -96kg {{{#C0C0C0 은메달}}}''' || || '''[[Strikeforce]] 4대 라이트헤비급 챔피언''' || || '''[[Bellator MMA]] 2013 섬머 시리즈 라이트헤비급 토너먼트 우승''' || || '''[[Rizin FF]] 2015 헤비급 그랑프리 우승''' || ||<|2> '''{{{#white 기타}}}''' || '''[[Bellator MMA]] 시즌 8 라이트헤비급 토너먼트 3위''' || || '''[[Bellator MMA]] 시즌 10 라이트헤비급 토너먼트 준우승''' || || '''{{{#white SNS}}}'''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ingMoFH, 크기=22)] [[https://www.facebook.com/King.Mo.FH?refsrc=deprecated&_rdr|[[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https://instagram.com/kingmofh?utm_medium=copy_lin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 개요 == 전 종합격투기 선수. 주로 헤비급과 라이트헤비급에서 활약했다. == 전적 == * 주요 승: [[트래비스 위프]], 파비오 실바, [[카와무라 료]], [[마크 커]], [[마이크 화이트헤드]], [[게가드 무사시]], [[호저 그레이시]], [[세스 페트루젤리]], 제이콥 노, 미하일 자야츠, [[더스틴 자코비]], [[조 비더포]], [[이리 프로하츠카]], [[칙 콩고]], [[린튼 바셀]], 브렛 백더모트, [[이시이 사토시]], [[퀸튼 잭슨]] * 주요 패: [[하파엘 카바우칸치]], [[엠마누엘 뉴턴]](2), [[퀸튼 잭슨]], [[필 데이비스]], [[미르코 크로캅]], [[라이언 베이더]], [[리암 맥기어리]], [[이리 프로하츠카]], 앤드류 카펠 * 무효: [[로렌즈 라킨]] == 커리어 == === [[Strikeforce]] === [[게가드 무사시]]를 이기면서 Strikeforce 챔피언이 되었다. 당시 언더독으로 이변으로 평가 받는다. 하지만 1차 방어전에서 [[하파엘 카바우칸치]]에게 지면서 거품이 빠졌다. === [[Bellator MMA]] === 2018년 헤비급 토너먼트에 참가하였으나, 첫 경기에서 탈락하였다. ||<#FFFF00> ||<#FFFF00> '''상대''' ||<#FFFF00> '''경기일''' ||<#FFFF00> '''결과''' || || 8강 || [[라이언 베이더]] || [[2018년|2018.]][[5월 13일|5.13]] || 패배 || [[라이언 베이더]] 전 이후 3연패를 당하였고 결국 은퇴를 선언했다. == 파이팅 스타일 == NCAA 디비전 l 올 아메리칸과 각종 레슬링 대회에 수상경력이 있는 엘리트 레슬러 출신이다. 주로 타이밍 태클과 위빙하면서 태클, 상대가 레그킥이나 바디킥하면 킥캐치로 한 다리를 잡는 싱글렉 위주로 활용하며 힘도 좋아 슬램도 여러번 시켰다. 그 [[마크 커]]도 쌀배달 슬램으로 넘겼으며 테이크다운 시킨후 개비기를 주로 하며 파운딩도 잘 넣는다. 그리고 레슬링 베이스치고는 복싱실력이 상당히 좋다. 키는 작지만 리치가 굉장히 길어서 거리싸움에서 불리해진 적은 거의 없다. 이 긴리치로 상대 공격을 패링으로 방어해주며 잽을 주로 활용해서 상대방의 타이밍을 끊어먹으며 이 잽이 정확도도 좋고 꽤 빠르다. 바디 안면을 오가는 레벨 체인지와 간혹 날아오는 앞손 체크훅도 좋으며 상대가 잽 무시하고 달려들면 동체시력과 헤드무브먼트가 좋아서 위빙, 더킹, 스웨이로 피해내거나 양훅 카운터나 풀백카운터를 주로 활용한다. 넉아웃 파워도 좋은편이다. 주로 콤비네이션을 넣기보단 카운터 운용을 자주하는 편이다. 어떻게 보면 [[플로이드 메이웨더]]스타일을 MMA로 갖고온것 같은 느낌. 단점은 레슬링도 좋고 복싱도 좋은데 둘 다 따로따로 논다는 점이다. 하나하나 기술로 따지고 보면 좋으나 MMA에서 가장 기본적인 잽 - 태클 조차도 잘 안쓰며 먼저 태클로 들어갈때 셋업없이 그냥 들어간다. MMA적인 전술의 폭이 넓지는 않다. 주로 타격전에 자신있어서 그런지 타격전으로만 풀어가고 레슬링은 쓰기는 하는데 타이밍 태클만 잘쓰고 활용도 자체는 그렇게 높지는 않다. 눕히고 때리는건 잘하지만 그라운드 운용도 별로 좋지는 못하다. 포지셔닝 가드패스 부분에서 미흡함이 보인다. 테이크다운시키고 사이드마운트까지 잡아 놓고 상대에게 리커버리를 허용하거나 상대가 이스케이프한 경기도 많으며 의외로 클린치에서 약한 면모를 보이며 서브미션 시도조차 하지않는다. 그리고 펀치는 좋지만 킥 활용도가 높은 편이 아니고 체급 내에서 신장도 작은데다 복싱 스탠스로 서며 가드보다는 헤드 무브먼트를 활용하기 때문에 킥에 약점을 보인다. 체력적인 문제도 있는편이여서 초반에는 정타를 잘 피해내지만 후반으로 갈수록 스피드가 둔화되면서 정타를 잘 맞는 편이다. 맷집이 약한 편은 아니나 많은 경기를 치르다 보니 맷집도 상실해서 은퇴 이전에 라이언 베이더를 시작으로 4번의 넉아웃 패배를 당했다. 종합해보자면 기술은 정말 좋지만 MMA파이터로서의 완성도는 떨어지는 파이터였다. == 기타 == [[나이지리아]]계 미국인이다. 3자녀중 장남이며 남동생, 여동생 각각 1명있다. 아버지는 그가 12살에 자살했고 어머니 혼자서 3자녀를 키워냈다. 이름이 무하마드인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무슬림이다. 어머니가 무슬림이라 여기에 영항을 받은 듯하다. [[다니엘 코미어]]와 절친이다. [[오클라호마 주립대학교]] 동창이기도 하고 같이 [[아메리칸 킥복싱 아카데미|AKA]]에서 수련하기도 했다. 간혹 코미어의 경기때 스파링 파트너도 뛰어주기도 했다. [[프로레슬링]] 팬이며 선수이기도 하다. 실제로 [[TNA]]와 여러 중소단체에서 프로레슬링 경기도 뛰기도 하며 [[메이저 리그 레슬링]]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분류:미국의 레슬링 선수]][[분류:미국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81년 출생]][[분류:Strikeforce 챔피언]][[분류:머프리즈버러(테네시)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무슬림]][[분류:2008년 데뷔]][[분류:2019년 은퇴]][[분류:나이지리아계 미국인]][[분류:오클라호마 주립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