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전작) 2013년 이전에 출시된 클래식 시리즈, rd1=킬러 인스팅트)] [include(틀:엑스박스 주요 게임)] ||<-3>
{{{+2 {{{#d9d7ca '''Killer Instinct'''}}}}}}[br]{{{#d9d7ca '''킬러 인스팅트'''}}}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iller Instinct_cover.jpg|width=100%]]}}} || ||<-3> [[Xbox Play Anywhere|[[파일:Xbox Play Anywhere 로고 화이트.svg|height=30]]]] || ||<-2> '''개발''' ||더블 헬릭스 [br] 아이언갤럭시 스튜디오 || ||<-2> '''유통'''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white; border-radius: 4px; padding: 2px" [[마이크로소프트 스튜디오|[[파일:마이크로소프트 스튜디오 로고.svg|height=30]]]]}}} || ||<-2> '''플랫폼'''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white; border-radius: 4px; padding: 2px" [[Xbox One|[[파일:Xbox One 로고.svg|height=14]]]][* [[엑스박스 원 X]] 대응] / [[Windows 10|[[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 / [[Steam|[[파일:스팀 아이콘.svg|height=14]]]]}}} || ||<-2> '''출시일''' ||2013년 11월 22일[* XBOX ONE / Windows 10][br] 2017년 9월 28일[* 스팀] || ||<-2> '''ESD'''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white; border-radius: 4px; padding: 2px" [[Microsoft Store|[[파일:Microsoft Store 로고 다크.svg|height=16&theme=light]][[파일:Microsoft Store 로고.svg|height=16&theme=dark]]]] | [[Steam|[[파일:스팀 로고.svg|height=16]]]]}}} || ||<-2> '''장르''' ||[[대전 액션 게임]] || ||<|3> '''심의등급''' ||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white ESRB}}}''']]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파일:ESRB Mature.svg|width=16]] {{{#000000,#dddddd '''ESRB M'''}}}]] || || [[범유럽 게임 정보|'''{{{#white PEGI}}}''']] ||[[범유럽 게임 정보|[[파일:PEGI 18.svg|width=16]] {{{#000000,#dddddd '''PEGI 18'''}}}]] || || [[게임물관리위원회|'''{{{#white GRAC}}}''']]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청소년이용불가.svg|width=16]] '''{{{#000000,#dddddd 청소년 이용불가}}}''']][*스팀 15세 이용가] || ||<-3> [[https://www.ultra-combo.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킬러 인스팅트]]의 리부트작. 2013년에 [[엑스박스 원]]의 독점 런칭 타이틀[* 지금은 엑스박스 플레이 애니웨어 지원작이다.] 중 하나로 발매되었다. [[리그 오브 레전드]]와 비슷하게 무료로 일부 캐릭터만을 사용할 수 있으며 소액 결제를 통해 다른 캐릭터에 손을 대는 방식의 게임이다. 시리즈의 원래 주인인 [[레어(회사)|레어]]가 아니라 [[쿠소게]]로 악명이 드높았던 [[G.I. Joe: 더 라이즈 오브 코브라(게임)|G.I. Joe: 더 라이즈 오브 코브라]]의 개발사인 더블 헬릭스 게임즈가 개발을 한다고 해서 다들 당황했으나, 의외로 KI 특유의 느낌을 정확하게 살린 뛰어난 결과물이 나오면서 호평을 받았다. 끝없이 이어지는 콤보와 그 콤보를 끊는 콤보 브레이커라는 기본 중의 기본에 충실하게 만들어진 덕에, 비록 캐릭터 수가 부족하기는 하지만 킬러 인스팅트의 속편으로서 훌륭한 모습을 보여줬다는 평가가 주류를 이루었다. 또한 기술적으로는 놀라운 수준으로 인풋 랙을 줄이고 훌륭한 온라인 대전 환경을 만들어낸 점이 호평을 받았다.[* 어느정도냐면, 쾌적한 넷환경을 가진 대표적인 격투 게임으로 킬러 인스팅트를 꼽을 정도. 다른 격투게임 넷코드가 안 좋을때 종종 비교거리로 꺼내지기도 한다.] [* 공식 트위터에서 어떻게 이런 쾌적한 넷환경이 나올 수 있었는지 밝혀졌는데, 처음부터 게임이 90 프레임으로 구동되게 만들어져서라고.] 격투라는 장르 자체가 워낙에 매니악해져서 판매량을 견인하거나 큰 인지도를 쌓지는 못했으나, 격투 게임 팬들 사이에서는 기존의 팬들이 다수 돌아오고 새로운 플레이어도 꽤나 유입되면서 좋은 입소문을 탔다. 더블 헬릭스 스튜디오는 2/10, 3/10점 수준의 쓰레기 라이센스 게임만 만들던 회사가 이 게임과 [[스트라이더 비룡]] 리메이크로 폭발적인 호평 세례를 받는 만화같은 대반전으로 순식간에 업계의 주목을 받았으나, 이내 2014년 당시 파이어 TV로 게임 시장에 막 들어서려 했던 아마존 스튜디오에 인수되었다.[* 인수 후의 신작 소식은 없다. 럼버야드 엔진 개발 등의 여러 업무에 투입되는 것 같긴 한데, 두 게임에서 보여준 게임 개발 역량을 더 보여줄 기회가 사라졌다는 점에서 매우 큰 아쉬움이 남는다.] 때문에 시즌 2부터는 아이언 갤럭시 스튜디오[* 이 회사의 다른 작품 중 유명한걸 꼽아 보자면 다름 아닌 [[다이브킥]](...).]에 개발권이 넘어갔는데, [[배트맨: 아캄 나이트]] PC 포트에 갈려나가면서 퍼진 악명(?)과는 달리 더블 헬릭스가 만들어 놓은 효율적인 코드를 더 쥐어짜서 그래픽을 개선하고 이후 시즌 3 PC판의 [[최적화|갓적화]]를 이루어냈다. 캐릭터 부족 문제는 이후 시즌 제도를 도입하면서 캐릭터를 추가하고, 시즌마다 대회를 여는 방식으로 게임을 운영하면서 크게 해결되었다. 2014년 후반에는 시즌 2가, 2016년 3월에는 시즌 3이 시작되었으며, 매 시즌마다 압도적인 디자인과 병맛을 자랑하는 캐릭터들이 추가되면서 이제는 거의 20명에 달하는 다양한 캐릭터를 만나볼 수 있는 무지막지한 볼륨의 격투 게임이 되었다. 특히 시즌 3은 자동 콤보 시스템을 처음으로 도입하면서 킬러 인스팅트 최대의 단점인 무지막지한 학습 곡선 문제를 상당 부분 해결했고, 찰진 최적화를 등에 업은 PC판도 발매되었으니 한번 공짜로 다운로드 받아서 해 보는 것도 좋다. 시즌 3을 기점으로 클래식 시리즈의 전 캐릭터(보스 캐릭터 포함)가 등장하게 된 것은 덤. 현재 이글까지 캐릭터가 업데이트 된 뒤, 본 게임의 경우 자잘한 밸런스 패치만 지속 중인 대신 코믹스 등의 미디어 믹스를 전개하고 있다. 다만 게임이 워낙 완성도가 높았던지라 아쉬움을 느끼는 팬들이 많았는지, 2019년 7월 경부터 후속 업데이트를 진행해달라는 해시태그 서명운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BringBackKI) 공식 트위터도 이에 대해 이메일이 몰려온다는 밈 움짤로 짤막하게 반응할 정도. 그러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여파로 중지된 EVO 2020을 대신해서 개최되는 EVO Online 종목 중 하나로 선정되어서 오랜만에 활기가 돌아오기도 하였다. [youtube(ISHnql96Wis)] ▲ 2013년도 신작의 대회영상. 진입장벽이 높아서 직접 하기는 힘들지 모르지만, 고수들의 플레이는 그 어떤 격투 게임들보다도 경이롭다. [youtube(lSUCqsIodjU)] ▲ 울트라 콤보, 스테이지 울트라[* 시즌2 까진 아나운서 보이스가 울트라 콤보였으나 시즌3 이후로 스테이지 울트라 아나운서 보이스가 추가되었다.] [youtube(V_7IWf-HhBw)] ▲ 얼티메이트 모음 == 시스템 요구 사양 == ||<-3>
'''{{{#white 킬러 인스팅트 시스템 요구 사양}}}''' || || '''종류''' || '''최소 요구 사항''' || '''권장 요구 사항''' || || '''운영체제''' || 64-bit Windows 10 || 64-bit Windows 10 || || '''프로세서(AMD)''' || AMD Phenom X4 965 || AMD FX-4300 || || '''프로세서(Intel)''' || Intel Core i5-750 || Intel Core i5-4670K || || '''그래픽 카드(AMD)''' || AMD Radeon™ HD 5850 || AMD Radeon™ HD 7950 || || '''그래픽 카드(NVIDIA)''' || NVIDIA GeForce® GTX 480 || NVIDIA GeForce® GTX 670 || || '''메인 메모리''' || 4GB || 8GB || || '''그래픽 메모리''' || 2GB || 2GB || || '''하드 디스크''' || 50GB || 50GB || == 등장 캐릭터 == 얼티메이트를 보유하고 있는 캐릭터는 이름 옆에 '''U''' 마크가 붙어있다. === 시즌1 === * [[제이고]] '''U''' * [[세이버울프]] '''U''' * [[글라시우스(킬러 인스팅트)]] '''U''' * [[치프 썬더]] '''U''' * [[사디라]] '''U''' * [[블랙 오키드]] * [[스파이널]] * [[풀고어]] '''U''' * [[섀도우 제이고]] '''U'''[* 인게임 에선 이름 옆에 '''U''' 가 없지만 최초의 얼티메이트 보유 캐릭터다.] === 시즌2 === * [[TJ 콤보]] '''U''' * [[마야(킬러 인스팅트)]] '''U''' * [[칸-라]] * [[립터]] '''U''' * [[오멘(킬러 인스팅트)]] * [[아가노스]] '''U''' * [[히사코(킬러 인스팅트)]] '''U''' * [[신더]] * [[ARIA(킬러 인스팅트)]] '''U''' === 시즌3 === * [[김 우]] * [[터스크(킬러 인스팅트)]] '''U''' * [[아비터|아비터]][*게스트1 [[헤일로 시리즈]]] * [[래쉬]][*게스트2 [[배틀토드]] 시리즈] * [[미라(킬러 인스팅트)]] '''U''' * [[가르고스]] * [[라암|라암 장군]][*게스트3 [[기어스 오브 워 시리즈]]] * [[아이돌(킬러 인스팅트)]] === 추가 캐릭터 === * [[킬고어]] '''U''' * [[신 히사코]] * [[이글(킬러 인스팅트)]] == OST == [youtube(7wHVXaQRuFU)] [youtube(6JapDyUwAu8)] [youtube(cRmwFBK0cyk)] 로빈 빈랜드의 사운드트랙이 워낙에 유명한 시리즈다 보니, 아무리 개발사가 다르다고는 해도 OST에 대한 평가 기준이 대단히 높을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작곡가로 내정된 믹 고든은 '''KI 그 자체'''라는 압도적인 찬사를 받으면서 이 게임으로 출세를 했으며, 이후 [[울펜슈타인 시리즈]]([[울펜슈타인: 더 뉴 오더]]부터)와 [[둠(2016)]]에서도 특유의 음악성 덕분에 대박났다. 격투 게임 팬이 아니더라도 [[드럼 앤 베이스]] 팬이라면 반드시 들어봐야 하는 수준의 훌륭한 OST로, 로빈 빈랜드가 만들어낸 선율을 강렬하게 리믹스해서 게임에 박력을 마구 쏟아 붓는다. 믹 고든이 시즌 2를 마지막으로 물러나는 바람에 시즌 3에서는 다른 작곡가들[* [[Celldweller]]와 Atlas Plug. 이 둘도 만만치 않은 네임드 아티스트들이다.]이 들어와 썩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전임자가 워낙에 잘 한 탓에 빛을 못 보고 있다. 더불어 2013년판은 캐릭터 국적에 맞는 성우들을 기용했는지라 영어 외에도 캐릭터에 따라 일본어, 태국어 등을 구사한다. 참고로, 믹 고든이 시즌3에서 떠난 이유가 [[둠(2016)|이거]] 때문이다. 덕분에 이번에는 이드 팬들이 믹 고든의 은총을 받고 입을 모아 찬양을 하고 있다. == 관련 사이트/커뮤니티 == [[https://forums.ultra-combo.com/|킬러 인스팅트 공식 포럼]] [[https://ki.infil.net/|킬러 인스팅트 공략]] [[https://killerinstinct.fandom.com/wiki/Main_Page|킬러 인스팅트 팬덤 위키]] [[https://discord.gg/kHKaD8v|킬러 인스팅트 북미 디스코드]] == 기타 == - 랭크매치를 선호한다면 스팀 버전은 구매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일반매치는 크로스 플레이를 지원하지만 랭크매치는 지원하지 않아 유저 대부분이 엑스박스에 몰려있기 때문. - 만약 DLC를 구매하기 싫다면 스팀으로 구매하는게 좋다. 스팀은 사운드트랙을 제외한 모든 DLC가 들어있다. - 오래된 게임인지라 랭크 매치에서 올라갈 사람은 다 올라가 입문자와 킬러가 맞붙기도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공식 디스코드 서버 등에서도 수동 랭크를 나뉘어서 플매를 진행한다. - 스팀 랭크 매치가 아예 안 되는 것은 아니다. 일본인들이 진행하는데, 매달 마지막 주 금, 토, 일요일에만 사용한다. - Xbox Game Pass에 포함되어있다. [[분류:킬러 인스팅트]][[분류:엑스박스 게임 스튜디오의 게임]][[분류:Xbox One 게임]][[분류:Xbox Play Anywhere]][[분류:Xbox Game Pass]][[분류:Windows 게임]][[분류: Xbox 독점 게임]][[분류:Xbox Game Pass 출시일에 플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