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키호이콴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e5d85c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e5d85c 아카데미 시상식}}}]]'''}}} || ||<-5> [[파일:oscar_logo.svg|width=80]] || ||<-5> {{{#e5d85c '''[[아카데미 남우조연상|{{{#E5D85C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 || '''[[제94회 아카데미 시상식|제94회]][br]([[2022년]])''' || {{{+1 →}}} || '''[[제95회 아카데미 시상식|제95회]][br]([[2023년]])''' || {{{+1 →}}} ||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제96회]][br]([[2024년]])''' || || [[트로이 코처]][br]([[코다(영화)|코다]]) || {{{+1 →}}} || '''키호이콴[br]([[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 {{{+1 →}}} || || ||<-5> || ---- ||
<#0C0000><-5><:> {{{#E5D85C ''' 역대 [[골든글로브 시상식|{{{#E5D85C 골든 글로브 시상식}}}]]''' }}} || ||<#ffffff,#191919><-5><:> [[파일:goldenglobe.png|width=55]] || ||<#0C0000><-5><:> {{{#E5D85C '''남우조연상 - 영화'''}}} || || ''' [[제79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79회]] [br] ([[2022년]]) ''' || {{{+1 → }}} || ''' [[제80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80회]] [br] ([[2023년]]) ''' || {{{+1 → }}} || ''' [[제81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81회]] [br] ([[2024년]]) ''' || || [[코디 스밋 맥피]][br]([[파워 오브 도그]]) || {{{+1 → }}} || '''키호이콴'''[br]([[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 {{{+1 → }}} || || ||<#0C0000><-5><:> || ---- ||<-5>
[[SAG-AFTRA#s-4|[[파일:SAG AWARDS LOGO.png|width=80]]]] || ||<-5> [[파일:SAG AWARDS TROPHY.png|width=60]] || ||<-5> [[미국배우조합상/남우조연상|{{{#000 '''영화부문 남우조연상'''}}}]] || || ''' [[제28회 미국 배우조합상 시상식|제28회]] [br] ([[2022년]]) ''' || {{{+1 →}}} || ''' [[제29회 미국 배우조합상|제29회]] [br] ([[2023년]]) ''' || {{{+1 →}}} || ''' [[제30회 미국 배우조합상 시상식|제30회]] [br] ([[2024년]]) ''' || || [[트로이 코처]][br]([[코다(영화)|코다]]) || {{{+1 →}}} || {{{#fff '''키호이콴[br]([[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fff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 {{{+1 →}}} || - [br] || ||<-5> || ---- ||<-5>
{{{#e5d85c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e5d85c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 || ||<-5> [[파일: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png|width=70]] || ||<-5> {{{#e5d85c '''남우조연상(영화)'''}}} || || '''[[제27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제27회]][br]([[2022년]])''' || {{{+1 → }}} || '''[[제28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제28회]][br]([[2023년]])''' || {{{+1 → }}} || '''[[제29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제29회]][br]([[2024년]])''' || || [[트로이 코처]][br]([[코다(영화)|코다]]) || {{{+1 → }}} || '''{{{#ffffff 키호이콴}}}[br]{{{#ffffff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ffffff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 {{{+1 → }}} || - || ||<-5> || ---- ||<-5>
{{{#e5d85c ''' 역대 [[새턴상|{{{#e5d85c 새턴 시상식}}}]] ''' }}} || ||<-5> [[파일:saturn-award.png|width=80]] || ||<-5> [[새턴상|{{{#e5d85c '''남우조연상'''}}}]] || || '''제46회[br]([[2020년]])''' || {{{+1 → }}} || '''제47회[br]([[2022년]])''' || {{{+1 → }}} || '''제48회[br]([[2023년]])''' || || [[빌 헤이더]][br]([[그것: 두 번째 이야기|그것: 두 번째 이야기]]) || {{{+1 → }}} || '''{{{#black,#fff 키호이콴[br]([[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191919,#fff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 {{{+1 → }}} || [[]][br]|| ||<-5> || ---- }}}|| ||<-2> '''{{{+1 키호이콴[* 케후이콴으로도 불린다.]}}}[br]關繼威 | Ke Huy-Quan'''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키호이.jpg|width=100%]]}}} || || '''본명''' ||조너선 케 콴[br]Jonathan Ke Quan[* 물론 키호이콴도 본명이다. 조너선은 미국 생활에 쓰는 통명이자 귀화 후 서류상 이름 ][br]關繼威(번체) 关继威(간체)[* 다만 키호이콴은 베트남 출신이기 때문에 간체자는 중국인들이 표기할 때 외에 키호이콴 본인이 쓸 일이 사실상 없다.] || ||<|2> '''출생''' ||[[1971년]] [[8월 20일]] ([age(1971-08-20)]세)|| ||[[베트남 공화국]] [[사이공]]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신체''' ||165cm || || '''직업''' ||[[배우]] || || '''활동''' ||[[1984년]] – [[현재]] || || '''학력'''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 || '''링크''' ||[[https://instagram.com/kehuyquan?igshid=YmMyMTA2M2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계 베트남인]] 출신의 미국 배우이자 무술 연기 지도자이다. 국내에선 [[인디아나 존스: 마궁의 사원]]에서 주인공을 도우는 소년 '쇼티' 역할, 그리고 [[구니스]]의 천재 발명가 꼬맹이 '데이터' 역으로 유명하다. 아역배우 시절 이후엔 출연 기회를 잡기 힘들어서 배우 활동보다는 연출이나 기획 쪽에서 활동하다가,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를 통해 [[아카데미상|아카데미 시상식]] [[아카데미 남우조연상|남우조연상]]을 수상하며 배우로서 재기에 성공했다. == 상세 == 1971년 베트남 사이공(현재의 [[호치민]])의 화교 집안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베트남 전쟁]]으로 [[보트피플|난민]]이 되어 베트남을 탈출했는데[* 흔히 [[보트피플]]이라고 부르는 베트남 전쟁 난민 중 상당수가 화교들이다.], 키호이콴은 아버지를 따라 5명의 형제자매와 [[홍콩]]의 난민 캠프로 갔고, 다른 3명의 형제자매는 어머니와 [[말레이시아]]로 갔다. 1979년에 미국 정부에게 난민으로 인정받아 가족 전체가 미국으로 이주해 자리잡았다. 어린 시절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어드벤처 영화인 〈[[구니스]]〉, 〈[[인디아나 존스와 마궁의 사원]]〉등에 출연하여 아역 배우로서 이름을 알리고 많은 인기를 끌었다. 이때만 해도 호이콴에게는 탄탄대로가 펼쳐질 것만 같았으나, 막상 그가 성인이 된 이후에는 '''그의 커리어가 거의 끊길 위기에 처했다.''' 영화계에서 동양계 배우를 주연으로 구하는 영화가 없었기 때문. 그래서 배역을 맡을 기회가 줄어드는 바람에 오디션을 수도 없이 보고 전화기 옆에서 초조하게 연락을 기다리는 생활을 수년 간 반복하다 대만과 홍콩으로 활동무대를 옮겼으나, 결국 배우를 접고 영화제작 쪽으로 선회하여 [[엑스맨(영화)]] 등에서 무술지도를 맡게 된다. [[2046]]에서 조감독을 맡기도 했다. 그렇게 영화계에서 잊힌 추억의 배우가 될 뻔하였으나 [[양자경]] 등 동양계 배우들이 주연을 맡은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을 본 후 다시 연기에 대한 꿈을 펼치기로 했다.[*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을 영화관에서 3번 보고 3번 다 울었다고 한다. 스크린 속에 동양계 배우들이 주연으로 나오는 것에 감격했기 때문이며, 자신도 그들과 함께 스크린 속에 서고 싶다는 바람 때문이기도 했다고.] 그래서 2022년도 영화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에 양자경의 남편인 웨이먼드 역 오디션을 보았고 합격하여 출연했다. 이 영화의 개봉 후 키호이콴은 큰 주목을 받아 2022년 후반기부터 2023년 상반기에 걸쳐 [[새턴상]], [[제32회 고섬 어워즈|고섬 어워즈]], 뉴욕비평가협회상, [[골든글로브 시상식]],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등 주요 영화 시상식에서 남우조연상을 휩쓸었다. [[로키 시즌 2]]에도 주요 역할로 캐스팅 되며 배우로서 제 2의 전성기를 맞고 있다. 2023년 3월 개최된 [[제95회 아카데미 시상식]]의 남우조연상까지 수상하며 오스카 트로피를 거머쥔 5번째 동아시아계 배우가 되었다.[* 1958년 제30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사요나라'로 우메키 미요시(일본계 미국인)가 수상한 바가 있으나 '일본계 미국인'이었고 키 호이 콴 역시 '베트남계 미국인'이다. 순수 '아시아 국적'으로 수상한 경우는 윤여정, 그리고 키호이콴과 같은 95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양자경]]([[말레이시아]]), [[킬링필드(영화)]]의 행 S. 응고르 역시 미국 국적을 취득했지만, [[캄보디아]] 국적을 포기하지 않은 이중국적자로 '아시아 국적'은 3명이다.] 수상 소감을 발표하며 무척 감격하여 울먹인 채 "84세인 어머니가 집에서 이걸 보고 계십니다. 엄마, 저 오스카상 받았어요!"라고 말했다. 이때 [[난민]] 캠프에서의 경험을 말하며 감동을 자아냈다. [[https://www.news1.kr/articles/?4979509|국내 기사]] 그리고 또 하나의 이야기로 주목받았는데 바로 작품상 수상 장면이었다. 시상식의 마지막에 작품상의 시상자로 [[해리슨 포드]][* 참고로 해리슨 포드는 오스카를 수상한 적이 없다.]가 등장하여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의 작품상 수상을 발표하였고, 여러 출연진들이 무대 위로 올라오는 가운데 키호이콴이 해리슨 포드와 감격스럽게 포옹하고 해맑게 방방 뛰는 장면이 포착되었다. 두 사람은 40년 전에 [[인디아나 존스와 마궁의 사원]]에 함께 출연한 바 있었기에 두 사람의 재회 장면을 본 많은 영화팬들은 더더욱 이 영화의 성공과 수상을 축하하였다.[* 게다가 관객석에는 감독이었던 [[스티븐 스필버그]]와 윌리 스코트를 연기했던 케이트 캡쇼가 착석해있었다.] 여담으로 해리슨 포드와는 몇 달 뒤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 시사회에서도 재회했는데, 이 때도 해맑게 방방 뛰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출연 작품 == === 영화 === ||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1984 || '''[[인디아나 존스와 마궁의 사원]]''' || 쇼트 라운드 || 데뷔작 || || 1985 || '''[[구니스]]''' || 리처드 왕 / 데이터 || '''키호이콴의 대표작''' || || 1986 || 호도묘적소신투 || 샤오관 || || || 1987 || 패신저: 지나간 날들 || 릭 || || || 1991 || 분노의 불 || 찰리 무어 || || || 1992 || 원시 틴에이저 || 킴 || || || 2002 || 무한부활 || 싱 웡 || || || 2021 || 알로하! 오하나를 찾아서 || 조지 판 || || || 2022 ||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 웨이먼드 왕 || '''[[제95회 아카데미 시상식]] 남우조연상 수상''' || ||<|2> 2024 || [[일렉트릭 스테이트]] || || || || [[쿵푸팬더 4]] || 한 || || === TV === ||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1986 || 투게더 위 스탠드 || 샘 || 19회 출연 || || 1991 || 헤드 오브 더 클래스 || 재스퍼 퀑 || || || 1993 || 환관과 목수 || 파다쟈 || 대만 드라마 || ||<|2> 2023 || [[아메리칸 본 차이니즈]] || 제이미 야오 || || || '''[[로키(시즌 2)|로키 시즌 2]]''' || '''[[우로보로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우로보로스]]''' || || == 여담 == * 중국계 베트남인 가정 출신으로 미국에서 자랐으며 이후 대만으로 활동무대를 옮겼다가 한동안 홍콩에 거주하며 조감독 및 무술감독으로 지내기도 했기 때문에 [[영어]], [[광동어]], [[보통화]](표준중국어), [[베트남어]]에 유창하다. * 이름 표기가 다양한 배우 중 하나다. 미국에서의 활동명은 아역 때는 조너선 케 콴[* 아무리 노력해도 오랜 시간 일이 들어오지 않자 매니저가 '영어 이름을 쓰면 나아지지 않겠느냐'고 해서 지었던 이름이라고 한다.[[https://www.youtube.com/watch?v=4W0PYVKzzq0| ]]]이었다가 성인이 된 후 본명을 사용중이고, 일반적인 포털 사이트에서는 키 호이 콴, 개인 항목이 생기기 전 나무위키에서는 케 후이 콴[* [[구니스]] 국내 비디오판에서 이렇게 표기했다. ], [[왓챠피디아]]는 또 조나단 키 쿠안이라고 부르는 등 각기 다른 표기를 보여 준다. 본인은 '''키 후이 콴'''이라고 발음한다.[[https://www.youtube.com/watch?v=mqxVXjGu5BQ| ]] * 여전히 스필버그 감독과 친해서 매년 스필버그 감독이 선물을 보내준다고 한다.[[https://variety.com/2022/film/news/ke-huy-quan-christmas-steven-spielberg-indiana-jones-1235433326/|#]] * 외모가 [[성룡]]과 상당히 닮았다,그래서 인지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에서 나왔을 때 성룡으로 오해하는 일부 사람들도 있었다. [[분류:1971년 출생]][[분류:1984년 데뷔]][[분류:미국 남배우]][[분류:미국의 영화 배우]][[분류:미국의 드라마 배우]][[분류:아역배우]][[분류:중국계 미국인]][[분류:베트남계 미국인]][[분류:호찌민시 출신 인물]][[분류:아카데미 남우조연상 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