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JR 동일본|[[파일:JR 동일본 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8900 '''JR 동일본 {{{+1 키하 E120형 기동차}}}'''[br]{{{-1 JR東日本 }}} キハE120形気動車 [br]{{{-1 JR East}}} Kiha E120 Series Car }}} ||}}} || ||<-2> [[파일:img_0_m121.jpg|width=100%]]|| ||<-2>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 일반형 [[디젤동차]] || || '''구동방식''' || 액체식 디젤동차 || || '''편성량수''' || 1량 1편성 || || '''도입년도''' || [[2008년]] || || '''제작회사''' || [[니가타 트랜시스|[[파일:니가타 트랜시스 로고.svg|width=130]]]] || || '''소유자''' ||<|2> [[JR 동일본|[[파일:JR 동일본 로고.svg|width=220]]]] || || '''운영자''' || || '''차량기지''' || [[코리야마 종합 차량센터]] 아이즈와카마츠 파출소 || ||<-2> '''차량 제원''' || || '''전장''' || 20,000㎜ || || '''전폭''' || 2,920㎜ || || '''전고''' || 3,620㎜ || || '''궤간''' || 1,067㎜ || || '''신호장비''' || ATS-Ps || || '''동력 장치''' || 3상 농형 유도전동기 || || '''제동 방식''' || 전자직통식 공기제동, 내설제동, 억속제동 || || '''기관 출력''' || 331Kw || || '''최고속도''' || 100km/h || || '''기동가속도''' || 1.58km/h/s || || '''감속도''' || 3.5km/h/s || [목차] [clearfix] == 개요 == 원래 니가타 지역 비전화 주력열차는 키하 40계였으나 잦은 고장 등으로 인해 후속모델이 필요한 상황이였다. 마침 도호쿠지방에서는 로컬선에 [[키하 E130계 동차]]를 찍어내서 투입을 하고있는 상황이였다. 결국 [[키하 E130계 동차]] 기반으로 해서 니가타 지역에 맞게 개량해서 만들었진 열차[* [[키하 E130계 동차]]와 차체 공통화를 하여 제작하였지만 출입문 수는 다르다. 키하 E130계는 출입문이 3비차 이지만 키하 E120형은 2비차인게 특징이다.] [* 사실 [[E127계 전동차]], [[E129계 전동차]]도 도호쿠 지방에서 운영하는 [[701계 전동차]], [[E721계 전동차]]와 외형 디자인은 비슷하게 제작되었다. 이렇게 제작하면 제작비를 줄일 수있고, 설비 공통화 등을 하는등 이점이 많기 때문. 차이점이 있다면 전자 2개는 직류용이고 후자2개는 교류용 이라는게 특징이다.] 2006년에 [[키하 E130계 동차]]를 도입했을때, 동력계통의 기동차용 알칼리성 축전지를 납품한 후루카와 전지사의 제품을 이 열차에도 탑재하였다. 2008년 11월1일에 영업 운전을 개시하였다. 당초는 우에츠선, 반에츠사이선·신에츠선, 요네사카선, 하쿠신선에 투입했다. 8량이나 도입하여 운행하였지만 키하40계를 완전히 대체하진 못했고 결국 [[GV-E400계 동차]]가 등장하여 대체한다고 한다. 한편 E120계는 다이어개정으로 [[타다미선]]으로 전출되어 운행중이다. == 관련 문서 == * [[타다미선]] * [[JR 동일본]] * [[키하 E130계 동차]] [[분류:일본의 철도차량]][[분류:2008년 출시]][[분류:2008년 단종]][[분류:디젤동차]][[분류:JR 동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