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wiki style="margin: 0px -5px" [[키타오사카 급행전철|[[파일:Kitakyu_Wlogo.pn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키타오사카 급행전철|{{{#ffffff 키타오사카 급행전철}}}]]}}}|| ||<-2>{{{#!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kitakyu_namboku.svg|width=50]]||{{{#0e0d72,#605fca {{{+1 '''[ruby(南北線, ruby=なんぼくせん)]'''}}}[br]Namboku Line[br]난보쿠선}}}||}}}|| ||<-2><:>[[파일:kitakyu_9000.jpg|width=100%]] ---- [[키타오사카 급행전철#9000형|키타오사카 급행전철 9000형 전동차]]|| ||<-2><:>'''{{{#ffffff 노선도}}}'''|| ||<-2><:>{{{#!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Kitakyu_Line_Vroutemap.png|width=100%]] }}}}}}|| ||<-2><:>'''{{{#ffffff 노선 정보}}}'''|| ||<:>'''분류'''||[[도시철도]]|| ||<:>'''기점'''||[[에사카역]]|| ||<:>'''종점'''||[[센리츄오역]]|| ||<:>'''역 수'''||5|| ||<:>'''노선 기호'''||{{{#0e0d72 {{{+1 '''M'''}}}}}}|| ||<:>'''개통일'''||1970년 2월 24일|| ||<:>'''소유자'''||<|2>[[키타오사카 급행전철|[[파일:Kitakyu_logo.png|width=240]][br]{{{#db3440 키타오사카 급행전철}}}]]|| ||<:>'''운영자'''|| ||<:>'''사용차량'''||[[오사카메트로 21계 전동차]][br][[오사카메트로 30000계 전동차]][br][[키타오사카 급행전철#8000형|키타오사카 급행전철 8000형 전동차]][br][[키타오사카 급행전철#9000형|키타오사카 급행전철 9000형 전동차]]|| ||<:>'''차량기지'''||모모야마다이 차고, 나카모즈 검차장|| ||<-2><:>'''{{{#ffffff 노선 제원}}}'''|| ||<:>'''노선연장'''||5.9km|| ||<:>'''궤간'''||1435mm|| ||<:>'''선로구성'''||전구간 [[복선]]|| ||<:>'''사용전류'''||[[직류]] 750V [[제3궤조집전식]]|| ||<:>'''폐색방식'''||자동폐색식|| ||<:>'''신호방식'''||WS-[[열차자동제어장치|ATC]]|| ||<:>'''최고속도'''||70km/h|| ||<:>'''개통 연혁'''||1970. 2. 24. [[센리츄오역|센리츄오]] ↔ [[에사카역|에사카]][br]1975. 3. 30. [[료쿠치코엔역|료쿠치코엔]]|| ||<:>'''개통 예정'''||2024. 3. 23.[[센리츄오역|센리츄오]] ↔ [[미노오카야노역|미노오카야노]]|| ||<:>[[파일:Kitakyu_Line_linemap.png.png|width=100%]]|| ||<:>{{{#ffffff 실측지도 상의 키타큐 난보쿠선}}}|| ||<:>[youtube(ftezY1KqDoU,width=100%,start=2620)]|| ||<:>{{{#ffffff 상행 전구간 주행영상}}}|| [목차] == 개요 == [[키타오사카 급행전철]]의 유일한 노선으로 모든 열차가 [[오사카메트로 미도스지선]]과 직통운행을 하고 있다. 미도스지선이 워낙에 존재감이 쩌는 노선인지라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미도스지선의 곁다리 할증노선(+주유패스 적용 안되는 미도스지선 구간) 취급을 받는다. 그러나 최대 120엔밖에 더 안 받는다. 주로 센리 뉴타운에 수요가 있으며, 미도스지선과 직결운행하기 때문에 센리 뉴타운의 교통 편의는 좋은 편이다. == 역사 == [[센리 뉴타운]]을 개발하면서 여기에 따른 교통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었고, 때마침 [[1970 오사카 엑스포]]를 개최하며 엑스포 회장 일대의 교통망을 확충하기 위해 [[오사카메트로 미도스지선]]의 연장이 검토되었으나 신도시건 엑스포 회장이건 오사카시가 아닌 [[스이타시]]에 위치해있었기 때문에 [[오사카시]]는 연장에 미적지근한 반응을 보였다. 막대한 건설비를 들여 지어도 엑스포가 끝나면 공사비 회수조차 불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에 계속 오사카시는 건설에 부정적인 입장이었다. [[오사카시 교통국]]은 세금으로 미도스지선을 운영해야 했고, 시외 연장은 오사카 시민의 지지를 얻기 어려운 안건이었기 때문이다. 엑스포 개최 전까지는 교통 문제를 해결해야 했기에 결국 [[오사카부]]에서 주도적으로 노선 건설을 하기로 결정되었다. 오사카시와 [[한큐 전철]]에게 견적을 요청했고 한큐 전철의 예산안이 더 현실적이어서, 한큐 전철 주도로 노선 건설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한큐 전철의 자회사로써 키타오사카 급행전철 주식회사가 설립되어 현재의 형태에 이르게 된다. 엑스포 기간 중에는 모모야마다이역에서 조금 지난 곳에서 분기해 나가는 [[키타오사카 급행전철 카이죠선|카이죠선(会場線; 회장선)]]이 박람회장까지 이어졌으며, 엑스포 종료 후 카이죠선이 폐선되고 센리츄오역이 정식 개통되어 지금과 같은 형태의 노선이 되었다. 미노오시에 있는 [[미노오카야노역]]까지 연장공사가 진행중이며, [[2024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이에 맞춰 역명판과 안내판 디자인이 [[https://www.kita-kyu.co.jp/upload/211.pdf|전면 리뉴얼된다.]] 역명판은 기존의 파란색을 버리고 미도스지선의 빨강색을 강조한 디자인이 되었다. == 요금 == [[하코네 등산철도 강삭선]] 다음으로 일본 내에서 가장 기본요금이 저렴한 노선이다. 2017년 이후 개정으로 기본 요금이 올랐는데, 그래도 '''100엔'''이다. 원래는 하코네 강삭선[* 다만 이쪽은 기본요금만 저렴한거다. 기본요금 80엔으로 갈수 있는 거리는 240m에 불과하다. 전구간(1.2km)을 완주하면 420엔. 이쪽은 관광 성격이 강한 노선이라 직접 비교는 무리다.]과 함께 80엔으로 일본에서 가장 저렴한 철도였지만[* 다만 개통 당시에는 이보다 저렴한 노선이 존재했다. 무려 운임 1엔짜리 노선이 존재했기 때문. 아케노베역에서 미코바타역을 잇는 광산철도로 개통했던 메이신 전차는 1950년 여객 운임을 1엔으로 인상한 후, 1985년 여객 운행 폐지시까지 유지했다.], 2014년 4월에 요금을 10엔 인상하였다. 두 정거장 운임은 130엔, 세 정거장 운임은 140엔으로 전 구간 완주를 하더라도 저렴한데, 이는 대부분의 승객이 [[오사카메트로 미도스지선|미도스지선]] 방향으로 드나드는 특성상 높은 운임을 적용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미 [[우메다역]]에서 [[에사카역]]까지 운임이 230엔인 마당에 난보쿠선 운임까지 높아지면 높은 운임 부담으로 이용객이 많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때문에 이렇게 저렴한 운임이 설정된 것. 여기에 [[신오사카역]] ↔ [[모모야마다이역]] 내에서만 이동하면 환승할인이 적용되어 정규 운임에서 20엔이 더 빠진다. 예를 들어 [[신오사카역]]에서 [[료쿠치코엔역]]까지 정규 운임은 미도스지선 180엔 + 키타큐선 100엔으로 280엔이 되어야하나 환승 할인이 들어가 260엔이다. 미도스지선 끝부분에서 승차했는데 얼마 안 가 [[에사카역]]에서 돈을 또 뜯어가는 게 미안했는지 이런 제도가 도입되어있다. [[센리츄오역]]은 대상 외이다. 그리고 이러한 운임체계로 유지가 가능한 또 하나의 이유는 이 노선의 건설 목적이었던 1970년 오사카 엑스포가 역대급 흥행을 기록한 덕에 개통 초기부터 이미 건설비용 이상의 뽕을 뽑았기(...)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운임이 비싼 노선들[* [[호쿠소선]], [[토요 고속선]], [[미나토미라이선]], [[린카이선]], [[츠쿠바 익스프레스]],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공영화 이전의 [[호쿠신 급행전철]], 운영권 양도 이전의 [[오사카항 트랜스포트 시스템]] 등]의 경우 건설 당시 들어간 막대한 공사비를 회수하기 위해 고액의 운임을 징수한다. 반면 난보쿠선은 노선 길이도 길지 않을 뿐 더러, 신도시 개발에 따른 교통대책으로 개통한 노선인 만큼 연선 일대가 개발이 거의 되지 않아 환승 노선이라고는 있지도 않았고[* [[오사카 모노레일]]도 난보쿠선이 개통하고 한참 뒤에야 개통했다], 종점인 센리츄오역을 제외하면 전 구간이 지상구간이라 저렴한 비용으로 건설을 진행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역 목록 == * 전구간 [[오사카부]]내 소재. * 괄호 km는 에사카로부터 측정한 거리. * 노란색 구간은 미개통. ||<-5><:>{{{#ffffff '''키타오사카 급행전철 난보쿠선'''}}}|| ||<:>{{{#ffffff km}}}||<:>{{{#ffffff 번호}}}||<:>{{{#ffffff 역명}}}||<:>{{{#ffffff 환승노선}}}||<:>{{{#ffffff 소재지}}}|| ||<:>(8.4)||<:>M06||<:>--[[미노오카야노역|{{{#7777ff 미노오카야노}}}]][br]箕面萱野--||<:>||<:><|2>[[미노오시]]|| ||<:>(7.1)||<:>M07||<:>--[[미노오센바한다이마에역|{{{#7777ff 미노오센바한다이마에}}}]][br]箕面船場阪大前--||<:>|| ||<:>0.0||<:>M08||<:>[[센리츄오역|센리츄오]][br]千里中央||¶[[오사카 모노레일]] [[파일:OSMono_logo.png|width=17]][[오사카 모노레일선]](15)||<:>[[토요나카시]]|| ||<:>2.0||<:>M09||<:>[[모모야마다이역|모모야마다이]][br]桃山台||<:>||<:>[[스이타시]]|| ||<:>4.0||<:>M10||<:>[[료쿠치코엔역|료쿠치코엔]][br]緑地公園||<:>||<:>[[토요나카시]]|| ||<:>5.9||<:>M11||<:>[[에사카역|에사카]][br]江坂||¶[[오사카메트로]] [[파일:Osaka Metro-M.svg|width=17]][[오사카메트로 미도스지선|미도스지선]] '''(직통운행)'''||<:>[[스이타시]]|| ||<:>↓||<-4>[[오사카메트로]] [[파일:Osaka Metro-M.svg|width=17]][[오사카메트로 미도스지선|미도스지선]] [[나카모즈역|나카모즈]]까지 직통||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키타오사카 급행전철, version=157)] [[분류:일본의 도시철도]][[분류:키타큐 난보쿠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