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란가족일기]]의 등장인물. [목차] == 소개 == 黄桜 乱命 [[미다레자키 긴카]]의 회상에서 최초로 등장했다. 외모는 대략적으로 10대 후반의 적발의 소녀. 오니의 뿔과 비슷한 뿔이 두 개 나 있다. 암흑의 세계에서는 '죽지 않는 소녀'라는 공포의 존재로 군림하는 소녀다. 하나 키자쿠라 가 지하에 감금되어서 항상 술이나 마시고 있었던 듯하다. == 작중행적 == [[미다레자키 긴카]]와 히메미야 모요코(훗날 [[와카라즈노미야 밀리온]]이 된다)와 친구가 된 뒤로는 그럭저럭 마음의 평화를 되찾은 듯했다. 하지만 긴카가 이 아가씨에게 반한 걸 알아챈 키자쿠라 가 당주는 란메이가 갇혀 있는 지하에 불을 지른다. 이렇게 사망하는 듯했다. [Include(틀:스포일러)] 작품 내내 [[히라츠카 라이초]]와 동일인물이라는 떡밥을 계속 던졌고, 결국 11권에서 히라츠카 라이초가 죽을 정도의 치명상을 입고 리타이어하자 부활했다. "세상은 지옥이다. 왜 나는 죽지 못하는 것인가⋯"라고 자조하면서 술을 퍼마시는 캐릭터로 등장했다. 란메이가 죽지 못하는 이유는, 천 년 전 [[미다레자키 겟카|WARAVE]]가 지구에 추락할 때 생긴 희생자이기 때문이다. 겟카가 사망자들을 재구축해서 되살려냈는데, 그녀는 지구의 생명체의 구조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에 란메이와 같이 되살려진 자들은 불로(不老)가 되었다. 또한, 낙원에서 사는 동안 우연히 마족이 그 몸에 빙의했기 때문에 마족의 증거인 두 뿔과 불사성까지 갖추게 되어 완전한 불로불사를 체현하게 되었다. 라이초가 그 몸을 지배했던 것은 마족으로서의 힘이 라이초가 더 강대했기 때문이고, 라이초가 빈사상태에 빠지자 눌려 있던 란메이의 의식이 표면으로 부상했다. 오랜 시간이 지난 후 낙원을 탐사하러 온 지상의 사람들과 접촉하여 밖으로 나가게 된 그녀는 키자쿠라 파 창설자들과 만나 행복한 시간을 보내게 된다. 그런데 키자쿠라 파를 위해서 살겠다고 그녀는 맹세했지만 점점 시간이 흐르면서 죽지 않는 그녀를 키자쿠라 파에서 두려워하게 된다. 또 수명의 차이 때문에 마음에 품었던 사람들이 먼저 죽어가는 것에 낙심한 그녀는 자진해서 키자쿠라 파 지하감옥에 갇힌다. 그런 그녀에게 위안을 준 것이 [[미다레자키 긴카|키자쿠라 긴이치]]였다. 어릴 적 야쿠자의 삶을 강요받으며 학대받고 자란 긴이치가 감옥에 찾아올 때마다 어느 때는 돌봐주고 어느 때는 질책하면서 부모와도 같은 보살핌을 주었다. 몇 년 후에는 야쿠자 간의 전쟁 중 성숙해진 긴이치가 감옥에서 데리고 나와 작은 아파트에서 잠시 함께 지냈다. 하지만 얼마 후 키자쿠라가 조직원들이 찾아와 긴이치와 함께 구속, 란메이는 아무런 저항 없이 끌려가 격렬한 폭행을 당한 뒤 불에 태워졌다.[* 늙지 않고 죽지만 않을 뿐, 얻어터지고 불에 타는 __고통__은 그대로 느끼는 몸이다.] 이 와중에 한 번 시체가 되었다가 되살아나자 탈출하여 작중 시점에 이른다. 그녀의 친구 히메미야 모요코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혼자 히메미야 가의 묘소에 가서 봉양을 해주면서 왜 죽었냐고 하는 걸 보면 모요코를 무척이나 좋아했던 듯하다. 13권에서 [[미다레자키 긴카]]의 고백을 받아들였다. 그리고 미다레자키 가에 입양되어 '미다레자키 란카'가 되었다. 이로써 [[미다레자키 치카]]에게는 궁극의 연적이 생겼다. 장자가 되었는데 오래 살아서 그런지 할머니 마인드라 유우카가 란카 언니라고 부를 때마다 어색하게 대답하고, 유우카를 동생이라기 보다는 아가로 보는 경향이 있다.[* 그때마다 지적당하는데 유우카를 얕보는 게 아니고 오히려 좋아한다. 본인은 아이를 좋아한다고 한다.] 최종권 시점에서는 세계 여행을 한다. 다만 불로불사라 여전히 성장하지 않은 상태다. 여담으로 이때도 긴카가 제대로 정하지를 못하자, 이제는 치카라도 좋으니 둘 중 하나를 빨리 정해라고 푸념한다. [[분류:광란가족일기/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