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경제이론]] [[거시경제학]]에서, 특정 형태의 신용시장 불완전성이 가져오는 영향을 분석한 모형이다. 노부히로 키요타키(Nobuhiro Kiyotaki)와 존 무어(John M. Moore)가 1997년 JP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에 기고한 모형[* 논문은 [[https://www.nber.org/papers/w5083|"Credit Cycles" (1997)]] 참고할 것.]으로, 어떻게 작은 충격이 [[신용]]시장의 불완전함으로 인하여 증폭되어 [[생산]]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모델링한 것이다. 기존의 [[실물경기변동이론]]은 외생적인 충격이 상당히 큰 것으로 가정하였는데 이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고 한다. 모형상에서는 두 부류의 결정하는 사람이 존재하며, 서로의 시간선호도(time preference)가 다르다. 할인율이 낮은 사람들, 즉 기다릴 수 있는 사람들은 [[저축]]을, 할인율이 높은 사람들은 [[대출]]을 받는다.[* 원래 논문에서는 전자는 'gatherer', 후자는 'farmer'라고 하였다.] 그리고 할인율이 높은 사람들이 수행하는 경제활동에는 그들의 지식이 필수적이며, 또한 그들이 경제활동을 수행하도록 강제할 수도 없다. 따라서 이들에게 대출을 해주기 위해서는 [[담보]]가 되는 자산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실물자산, 즉 땅이나 건물 등.] 이 때, 이 자산의 가격이 내려간다면 그들이 받을 수 있는 [[대출]]도 감소하고, [[대출]]의 총량이 감소함으로 인해 총 투자량 또한 줄어들며, 이는 또 다시 기업가치를 낮춤으로서 기존에 [[대출]]에 제약을 받고 있던 기업을 더욱 더 힘들게 만드는 승수효과를 보인다. 또한 단기적으로 담보가 되는 자산의 총량이 고정되어 있다면, 대출에 제약을 받던 기업은 담보가 될 수 있는 자산에 대한 수요가 줄고, 이는 해당 자산에 대한 가격을 낮추며, 그로 인해 대출에 제약을 받는 [[기업]]의 기업가치는 더욱 떨어지게 된다. 즉 두가지의 [[승수효과]]가 존재하는 셈이다. 관련 논문: [[https://www.aeaweb.org/articles.php?doi=10.1257/0002828054201477|Iacoviello, Matteo. 2005. "House Prices, Borrowing Constraints, and Monetary Policy in the Business Cycle." American Economic Review, 95(3): 739-764.]][* 새케인지언 방식의 [[DSGE]]모형에 키요타키-무어 방식의 제약을 추가한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