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성운상|{{{#ffffff 역대 성운상 시상식}}}]]''' || ||<:><-5>[[파일:seiunprize.jpg|width=200]]|| ||<:><-5>[[성운상/일본 장편 부문|{{{#fff '''일본 장편 부문'''}}}]]|| ||<:>'''제12회[br](1981년)'''||<:>{{{+1 → }}}||<:>'''제13회[br](1982년)'''||<:>{{{+1 → }}}||<:>'''제14회[br](1983년)'''|| ||<:> 카와마타 치아키[br]《火星人先史》 || {{{+1 → }}} ||<:> '''이노우에 히사시[br]《키리키리인》''' || {{{+1 → }}} ||<:> [[고마츠 사쿄]][br]《[[안녕 주피터#소설판]]》 || ||<:><-5>|| [목차] == 개요 == {{{+2 '''吉里吉里人'''}}} [[일본]]의 작가 이노우에 히사시(井上ひさし)의 [[풍자]]소설. 오랜 기간동안 핍박받아온 [[도호쿠]] 지방의 마을 "키리키리촌(村)"이 "키리키리국(國)"이라는 나라로 [[독립]]을 선언하고, [[오슈 후지와라]]의 황금을 취재하러 온 작가 후루하시 겐지와 편집자 사토 히사오가 거기에 휘말리는 이야기다. 1973년부터 1974년까지 "종말부터(終末から)"에서 연재하다가 잡지가 폐간되어 이후 "소설신조(小説新潮)"로 옮겨가서 1978년부터 1980년까지 연재했다. 단행본은 1985년 신조문고(新潮文庫)에서 출판되었다. 제33회 요미우리 문학상, 제13회 [[성운상]], 제2회 [[일본 SF 대상]] 수상작. == 키리키리국 == 작중 배경인 독립국가. 국어는 키리키리어([[도호쿠벤]]), 화폐는 '이[[일본 엔|엔]]'. 인구는 4187명, 면적은 40제곱킬로미터. 식량과 에너지는 자급자족하고있다. 당연히 일본 정부는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방해하지만, 그걸 온갖 기상천외한 방법으로 극복하고 있다. == 기타 == 이 작품으로 이노우에 히사시는 일약 국민적인 작가가 되었다. 작품이 인기를 끌자 [[키리키리역]]이 위치한 [[오츠치초]]에서 1982년 마을 행사의 일원으로 "키리키리국" 독립을 선언하면서 언론의 주목을 받으며 관광객도 많이 모여들었는데, 이에 영향받아 1980년대 일본에선 여러 [[초소형국민체]]가 생겨났다. 이노우에 히사시가 1964년 [[라디오 드라마]]용으로 쓴 각본 "키리키리 독립"이 이 작품의 원형이라고 한다. 호평받은 소설과는 달리 이때는 [[1964 도쿄 올림픽]]의 개최로 애국적인 분위기가 강했던지라 욕도 많이 먹고 담당 감독도 좌천되었다고 한다. == 외부 링크 == * [[일본어 위키백과]] [[https://ja.wikipedia.org/wiki/吉里吉里人|#]] [[분류:일본 소설]][[분류:1973년 소설]][[분류:성운상 수상 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