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군마현의 시정촌)] ||<-6><:>[[파일:Kiryu_logo.png|width=100]]|| ||<:><-6>{{{#ffffff '''{{{+2 [ruby(桐生, ruby=きりゅう)][ruby(市, ruby=し)]}}}'''[br]키류시 / Kiryū City}}}|| ||<-6>{{{#!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키류시 시기.svg|width=100%]]||<:>[[파일:키류시 시장.svg|width=80]]|| ||<:>'''{{{#ffffff 시기(市旗)}}}'''||<:>'''{{{#ffffff 문장(紋章)}}}'''||}}}|| ||<-6><:>{{{#!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群馬県桐生市, 너비=100%, 높이=100%)]}}}|| ||<-6><:>{{{#ffffff '''기본 정보'''}}}|| ||<-2><:>'''국가'''||<-4>[[일본]]|| ||<-2><:>'''지방'''||<-4>[[간토]]|| ||<-2><:>'''도도부현'''||<-4>[[군마현]]|| ||<-2><:>'''면적'''||<-4>274.45km²|| ||<-2><:>'''인구'''||<-4>104,854명[* 추계인구 2021년 8월 1일 기준.]|| ||<-2><:>'''시장(市長)'''||<-4>아라키 게이지(荒木恵司; [include(틀:무소속 표시)])|| ||<-6><:>{{{#ffffff '''시의회 (22석)'''}}}|| ||<-2><:>'''의장(議長)'''||<-4>기타가와 히사토(北川久人; [include(틀:무소속 표시)])|| ||<-2><|6><:>'''[[회파]]'''||<-4><:>{{{#ffffff '''창지회(創志会)'''}}} {{{#ffffff (7석 / 32%)}}}|| ||<-4><:>{{{#ffffff '''소조 미라이(そうぞう未来)'''}}} {{{#ffffff (6석 / 27%)}}}|| ||<-4><:>{{{#ffffff '''클럽21'''}}} {{{#ffffff (3석 / 14%)}}}|| ||<-4><:>[[공명당|{{{#ffffff '''공명클럽'''}}}]] {{{#ffffff (2석 / 9%)}}}|| ||<-4><:>[[일본 공산당|{{{#ffffff '''일본 공산당'''}}}]] {{{#ffffff (2석 / 9%)}}}|| ||<-4><:>[[무소속|{{{#ffffff '''무소속'''}}}]] {{{#ffffff (2석 / 9%)}}}|| ||<-6><:>{{{#ffffff '''상징'''}}}|| ||<-2><:>'''시화'''||<-4>[[사루비아]](サルビア)|| ||<-2><:>'''시목'''||<-4>[[목서]](モクセイ)|| ||<-6><:>[[https://www.city.kiryu.lg.jp/|홈페이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iryutenmangu.jpg]] 키류텐만구 [목차] == 개요 == [[일본]] [[군마현]] 동남부에 위치해 있는 시. 역사가 매우 오래된 도시라 '''「동쪽의 작은 교토」'''로써 불리고 있다. 시가지 가운데로 와타라세 강(渡良瀬川), 키류 강(桐生川)이 흐르며, 시의 북부는 병풍처럼 이어져 있는 산맥이 볼거리인 아름다운 도시이다. 옛날부터 직물의 도시로써 발전해 왔는데, 무려 [[나라 시대]] 때부터 직물을 조정에 바쳐 왔다고 한다. 이후 에도 시대에 '''「서쪽의 니시진[* 현재 교토에 위치한 고급 직물의 산지이다.], 동쪽의 키류」'''로 불릴 만큼 일대 산지로써 상당히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 비범한 시역 == [[파일:키류시 시역.png]] '''시역이 2개의 영역으로 쪼개져 있다!''' 일본의 [[월경지]] 중에서도 큰 편에 속하는 이 월경지가 생긴 이유는 헤이세이 대합병 때문이다. 본래 이 지역은 합병 전에 쿠로호네촌(黒保根村), 니사토촌(新里村)으로써 존속하고 있었는데, [[2005년]] [[6월 13일]] 키류시가 이 두 촌을 편입해 버렸다. 문제는 그 두 촌과 키류시의 사이에 미도리시(みどり市)[* 당시는 합병 전이라, 카사카케정(笠懸町), 오마마정(大間々町), 아즈마촌(東村)으로써 존속하고 있었다.]가 있었던 바람에(...) 본의 아니게 초대형 월경지가 만들어져 버린 것. 이런 사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면적이 키류시 본 시역과 맞먹을 만 하게 거대한 바람에 모르는 사람이 보면 가운데를 절단해 버린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현재 이 지역 내에는 쓰레기 처리장과 쇼핑센터가 있다. == 역사 == 시내에서 [[조몬 시대]]의 석기나 토기, 집터가 발굴된 것으로 보아 꽤 오래 전부터 사람이 거주했던 것 같다. 본래에는 키류령이었다. 그러나 [[1661년]] 키류령이 타테바야시번령으로 바뀌게 되고, [[1682년]] 아라토신마치(荒戸新町)가 키류신마치(桐生新町)로 개칭한다. 이후 [[1868년]] 이와하나현 관할이 되었다가 3년 후인 [[1871년]] 군마현의 관할지역으로 바뀐다. [[1873년]] 이마이즈미, 모토주쿠, 츠츠미, 무라마츠 촌이 합병하여 아라토촌(安楽土村)이 된다. [[1884년]] [[료모선]]이 개통한다. [[1889년]] 키류신정(桐生新町), 신슈쿠촌(新宿村), 카미히사카타촌(上久方村), 야마다촌(山田村), 시모히사카타촌(下久方村)이 대규모 합병을 해 키류정(桐生町)이 탄생했다. [[1911년]]에 [[와타라세 계곡철도]] [[키류역]] ~ [[오마마역]]간이, [[1913년]]에 [[도부 철도]] [[도부 키류선|키류선]] [[오타역(군마)|오타역]] ~ [[아이오이역(군마)|아이오이역]]간이 개통된다. [[1921년]] 키류시(桐生市)로 승격했다. 이는 군마현에서 3번째로, 전국에서 84번째로 하는 시제 시행이었다. [[1928년]] [[조모 전기철도]]가 개통되었다. [[1933년]]에 사카이노촌(境野村)을 편입했고, 4년 후 [[1937년]] 히로사와촌(広沢村)을 편입했다. [[1954년]] 우메다촌(梅田村), 아이오이촌(相生村), 카와우치촌(川内村)을 '''또''' 편입했다. [[1955년]] 모리타촌(毛里田村)의 요시자와(吉沢) 지역 일부분을 편입했다. [[1959년]]에는 무려 옆동네인 [[도치기현]]의 히시촌(菱村)을 편입해버렸다(...). [[1968년]]에도 도치기현 타누마정(田沼町) 뉴히코마(入飛駒)라는 곳을 슬쩍 편입했다. 마지막 합병은 [[2005년]]으로, 상기한 월경지가 되어버린 쿠로호네촌과 니사토촌과의 합병이다. == 교통 == * '''철도''' * [[JR 동일본|JR]] [[료모선]] - [[키류역]] ~ [[시모신덴 신호장]] 구간 * [[JR 동일본|JR]] [[와타라세 계곡철도]] - [[키류역]] ~ [[미즈누마역]] 구간 * [[조모 전기철도]] [[조모 전기철도 조모선|조모선]] - [[니시키류역]] ~ [[니사토역(군마)|니사토역]] 구간 * [[도부 철도]] [[도부 키류선|키류선]] - [[신키류역]] ~ [[아이오이역(군마)|아이오이역]] 구간 * '''도로''' * [[일본 50번 국도|국도 50호선]] * [[일본 122번 국도|국도 122호선]] * [[일본 353번 국도|국도 353호선]] == 관광 == * 키류가오카 유원지 * 키류텐만구 * 나시키온천 * 현립 군마 곤충의 숲 * 키류가오카동물원 == 기타 == * [[시노하라 료코]]가 여기서 태어났다. * 만화가 [[오시미 슈조]]의 고향이다. * 이 지역 5대 성씨가 한국계가 많이 쓰는 성씨이다[* 호시노(성)-아라이(박)-코바야시(임)-카네코(김)-타카하시(고)] * [[핸더랜드의 대모험]]의 배경이 되는 테마파크 [[핸더랜드]]의 원어판 주소지가 바로 이곳이다.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경기도]] [[용인시]]로 [[에버랜드|로컬라이징했다.]] [[분류:군마현의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