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카네기 분류 R1)] ||<-3><#522D80> {{{#fff {{{+1 '''클렘슨 대학교'''}}} }}}[br]{{{#fff '''Clemson University'''}}} || ||<-3> [[파일:Clemson_University_Seal.svg|width=70%]] || ||<-3><#F56600> {{{#FFF '''대학 정보'''}}} || ||<-2> '''국가'''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분류''' || [[주립대학]] || ||<-2> '''소재''' || [[사우스캐롤라이나|{{{#000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클렘슨 || ||<-2> '''개교''' || [[1889년|{{{#000 1889년}}}]] || ||<-2> '''총장''' || 제임스 클레멘츠 (James P. Clements) || ||<-2> '''발전기금''' || $770.9 million ^^({{{-1 2020}}})^^ || ||<|2> '''교직원''' || '''교원''' || 1,431명 ^^({{{-1 2018}}})^^ || || '''행정직''' || 3,451명 ^^({{{-1 2018}}})^^ || ||<|3> '''재학생''' || '''총원''' || 25,822명 ^^({{{-1 2019}}})^^ || || '''학부''' || 20,195명 ^^({{{-1 2019}}})^^ || || '''대학원''' || 5,627명 ^^({{{-1 2019}}})^^ || ||<|2> '''상징''' || '''교색'''[* [[https://www.clemson.edu/brand/guide/color.html|Color Palette]] 참고]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 padding: 3px 5px; background: #F56600; font-size: 0.9em" {{{#fff '''Clemson Orange''' ({{{-2 #F56600}}})}}}}}}[br]{{{#!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 padding: 3px 5px; background: #522D80; font-size: 0.9em" {{{#fff '''Regalia''' ({{{-2 #522D80}}})}}}}}} || || '''마스코트''' || The Tiger, The Cub || ||<-2> '''웹사이트''' || [[http://www.clemson.edu/|[[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 ||<-3><#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lemson_University_Wordmark.svg.png|width=70%]]}}} || ||<-3> '''로고''' || ||<-3><#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Clemson University, 너비=100%, 높이=100%)]}}} || ||<-3> '''위치'''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clemson.edu/bowman-field.jpg|width=100%]]}}} || 1889년에 토머스 그린 클렘슨이 재산을 내놓아 설립한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주립대학]]이다. 캠퍼스 전체가 하나의 도시이다.[* 대학을 둘러싸는 클렘슨이라는 도시가 있기는 하지만 대학교의 전교생수(약 29,000명)가 클렘슨 도시의 인구수 (약 18,000명)보다 많다.] 부동의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최고의 대학교 자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USC]]가 수십년째 추격하는 중이다. 클렘슨 대학은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학교로 설립자 토마스 클렘슨은 1800년대 중반 지하자원 발굴과 과학 농업 분야에 있어서 미국에서 가장 저명한 학자의 한 사람이었으며 벨기에 주재 미국 농부장관을 역임한 인물이었다. 클렘슨은 1887년 사망하면서 남은 재산을 자신의 기반인 사우스캐롤라이나에 헌납하면서 농업 중심의 고등교육기관을 만들 것을 부탁했고, 자신의 이름을 딴 클렘슨 대학교는 1889년 개교할 때부터 클렘슨의 전공이었던 농업,광업에 중점을 둔 실용학문 중신대학으로 전통을 오늘날 까지도 이어오고 있다, 농과대학을 중심으로 시작된 대학이여서 지금도 농대가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2만여 에이커가 넘는 자체 농학실험지구를 가지고 있다. 농대 외에도 컴퓨터그래픽, 섬유학, 간호학, 응용수학으로 유명하며 인문사회계열은 발전이 늦었지만 철학, 어학, 역사 등이 높이 평가받고있다. 근래 건물을 새로 짓는 등, ~~USC를 의식하는 건지~~경영학과를 점점 지원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반대급부로 공대 계열에 대한 지원은 다소 떨어진다.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에선 가장 좋은 대학교인 만큼 주 전체의 최상위권 학생들 중 높은 등록금을 내고 타 주의 대학교로 갈 정도의 경제적 여유가 되지 않는 경우, 십중팔구 클렘슨 대학교에 입학하며, 그 대다수가 타 주의 의과대 진학을 노리며 생화학과 또는 유전공학과를 거치는 루트가 정착되었고, 그만큼 주 내에선 생명과학으로 쉽게 비교할 상대가 없을 정도의 독점적 강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정작 클렘슨 대학교는 의과대를 운영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생명과학 계통의 학생들은 오히려 대학 졸업 후 USC의 의과대로 빠지는 경우가 부지기수이다. 지역 산업 중심대학 답게 학생들의 3분의 2가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출신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며 이 역할은 USC에게 옮겨지고 클렘슨 대학교는 현재 절반 가량이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출신이다. 이중 80%가 백인계. 때문에 소수인종은 적은 편. 흑인이 6%, 아시안은 3%정도로 한국 학생들은 매우 적은 수다[* 2023-24년 학기 기준 현재 대략 10명 내외의 1-2세대 이민자 학생들과 한국계 미국인 학생들이 재학 중이다.]. 학교측은 소수계 인구를 20% 이상 늘린다는 계획을 마련해 비백인계 학생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다. 유명 동문으로는 [[백운규]]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니키 헤일리]] 전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 등이 있다. 현재 고려대와 연세대로 유학하는 프로그램이 운영 중에 있으며, 한양대 및 KAIST와는 교환학생 제도를 체결하고 운영중인 상태다. == 스포츠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Clemson_University_Tiger_Paw_logo.svg.png]]|| ||<:><#f66733> '''{{{#ffffff 클렘슨 타이거스 }}}''' || ||<:><#522d80> '''{{{#ffffff Clemson Tigers }}}''' || [[ACC]] 소속이며, 팀의 상징은 [[호랑이]], 상징색은 주황과 보라이다. 그래서 클렘슨은 물론 주변 도시들까지 집부터 차, 도로부터 상점가까지 전부 호랑이 발바닥 스티커로 도배된 모습을 볼 수 있다. === 풋볼 === ||
<-3><:> [[칼리지 풋볼 플레이오프|{{{#FFFFFF ''' NCAA College Football Playoff Champions ''' }}}]] || ||<)> [[앨라배마 크림슨 타이드|{{{#222222 Alabama (2015) ◀}}}]] ||<:> [[앨라배마 크림슨 타이드 |{{{#222222 '''Clemson Tigers''' (2016) }}}]] ||<(> ▶ [[앨라배마 크림슨 타이드|{{{#222222 Alabama (2017) }}}]] || ||<)> [[앨라배마 크림슨 타이드|{{{#222222 Alabama (2017) ◀}}}]] ||<:> [[앨라배마 크림슨 타이드 |{{{#222222 '''Clemson Tigers''' (2018) }}}]] ||<(> ▶ [[LSU 타이거스|{{{#222222 LSU (2019)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Frank_Howard.jpg]] 17대 감독 프랭크 하워드 (1940~1969 재임. 1996년 작고.) - 오렌지 볼 우승 (1950), 슈거 볼 진출 (1959)[* [[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한테 0:7로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한다.] [[파일:external/img.spokeo.com/danny_ford_1989_01_02.jpg]] 21대 감독 대니 포드 (1978~1989 재임. 현재 생존.) - 내셔널 챔피언/오렌지 볼 우승 (1981) [[파일:FRAyzNw.jpg]] 25대 감독 다보 스위니 (2008~ 현재 재임중.) - 내셔널 챔피언([[칼리지 풋볼 플레이오프]]) 2회 (2016, 18), [[피에스타 볼(미식축구)|피에스타 볼]] 우승 (2016), [[오렌지 볼(미식축구)|오렌지 볼]] 2회 우승 (2013, 15), [[코튼 볼(미식축구)|코튼 볼 클래식]] 우승 (2018) 미국 남부지방 대학답게 스포츠에 투자를 많이 하며 특히 [[FBS/ACC|대학풋볼]]에 많은 투자를 한다. 특히, 미국 [[대학풋볼]]에서 그해 최우수선수에게 주는 상인 [[하이즈먼 트로피]]는 클렘슨 출신으로 가장 유명한 동문 풋볼 선수이자 헤드코치인 공격라인맨 존 하이즈맨의 이름을 딴 트로피이다. 내셔널 챔피언 등극 회수는 2회다. 2015/16 시즌 내셔널 챔피언쉽 게임에서 [[앨라배마 대학교]]에 아쉽게 패했다. 그러나 이듬해 내셔널 챔피언쉽 게임 리턴 매치에서 극적으로 역전승을 거두며 1981년 첫 우승 이후 35년만에 내셔널 챔피언쉽 왕좌 자리에 복귀했다. 쿼터백 [[드션 왓슨]]과 2021년 [[NFL 드래프트]] 전체 1순위 지명자 [[트레버 로렌스]]가 클렘슨 타이거스 출신이다. 다보 스위니의 시즌 별 성적은 아래와 같다. 2016년과 2018년에는 '''내셔널 챔프전 우승''', 2015년과 2019년은 '''내셔널 챔프전 준우승'''이다. 앨라배마와 결승전에서만 3번 격돌하여 2015년에는 패했으나 2016년과 2018년에 승리했다. 2019년은 LSU에 패했다. 2022년 시즌을 앞두고 앨라배마가 유효표 63표중 54표를 얻으며 프리시즌 1위로 랭크됐다. 2위 [[오하이오 스테이트 버카이즈/미식축구|오하이오 스테이트]]가 6표로 2위, [[조지아 불독스|조지아]]가 3표로 3위에 랭크됐다. 4~10위는 클렘슨, 노트르담, 텍사스 A&M, 유타, 미시건, 오클라호마, 베일러가 차례대로 랭크됐다. 2022년 9월 학교는 다보 스위니와 계약기간 10년, 총액 1억 1,500만불의 연장계약을 체결했다. 스위니의 귀책이 아닌 감독 교체의 경우 학교에서 지불해야 하는 바이아웃은 6,400만불(2022, 2023), 6,000만불(2024, 2025), 5,700만불(2026)의 대형 계약이다. 2022년 11월 26일, 동향인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에 패해 [[칼리지 풋볼 플레이오프]] 진출이 좌절되었다. 아울러 홈경기 40연승 기록도 마감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클렘슨은 USC 상대로 절대적 우세인 전적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 홈경기 40연승 기록은 미 대학풋볼 리그 역사상 공동 1위 기록으로 해당 패배로 신기록 수립이 좌절되었다. 2023년 시즌 개막전에서 [[듀크 대학교]]에 무려 7-28이란 졸전으로 대패, [[칼리지 풋볼 플레이오프]]에 먹구름이 낀 상황이다. AP POLL 랭킹은 9위에서 25위로 급락했다. 이후 11월 첫째주까지 시즌 5승 4패를 마크하고 있으며, 가장 최근 경기에서 경쟁자 노트르담 대학교에 승리하긴 했으나, 포스트시즌 진출에 난항을 겪고 있다. || 시즌 || 성적 || || 2008[* 토미 보우덴 감독의 사퇴로 시즌 중간에 팀을 맡았다.] || 4-3 || || 2009 || 9-5 || || 2010 || 6-7 || || 2011 || 10-4 || || 2012 || 11-2 || || 2013 || 11-2 || || 2014 || 10-3 || || 2015 || 14-1[*준우승] || || 2016 || 14-1[*우승] || || 2017 || 12-2 || || 2018 || 15-0[*우승] || || 2019 || 14-1[*준우승] || || 2020 || 10-2 || || 2021 || 10-3 || || 2022 || 11-3 || || 2023 || 5-4 || || 총계 || 161-40 || 풋볼 경기 선수 입장 시, 하워드 록이라는 돌을 만지고 110%의 퍼포먼스를 낼 수 있길 기도하며 경기장으로 뛰어 내려 가는 전통이 있다. === 야구 === [[파일:external/whns.images.worldnow.com/15022455_BG1.jpg]] 26대 감독 빌 윌헬름 (1958~1993 재임. 2010년 작고.) - 칼리지 월드시리즈 6회 진출 (1958, 59, 76, 77, 80, 91) [[파일:external/image.cdnllnwnl.xosnetwork.com/BUHTBLKPANKESEC.20120913175441.jpg]] 27대 감독 잭 레겟 (1994~2015 재임.) - 칼리지 월드시리즈 6회 진출 (1995, 96, 2000, 02, 06, 10) 야구는 한 번도 칼리지 월드시리즈에서는 우승하지 못했지만 명실공히 대학야구계의 강호 중 하나이며, 데니 월링, [[지미 키]]가 나왔다. [[애틀란타 브레이브스]]의 [[스펜서 스트라이더]]가 이 대학 출신이다. === 농구 ===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418YuTfxT3L.jpg]] 17대 감독 빌 포스터(1936년생) (1975~1984 재임. 2015년 작고.) - NCAA 토너먼트 8강 진출 (1980)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410AjMPagxL.jpg]] 18대 감독 클리프 엘리스 (1984~1994 재임. 현재 코스탈 캐롤라이나 대학교 감독으로 재직중.) - NCAA 토너먼트 16강 진출 (1990) [[파일:external/image.cdnllnwnl.xosnetwork.com/KGLCFONYWEMADDM.20120723140023.jpg]] 19대 감독 릭 반스 (1994~1998 재임. 현재 테네시 대학교의 감독으로 재직중.) - NCAA 토너먼트 16강 진출 (1997) 농구는 1990년대까지만 해도 강팀이었지만 요즘 들어서는 성적이 좀 저조하다. 트리 롤린스, [[래리 낸스]], [[호레이스 그랜트]], [[엘든 캠벨]], 데일 데이비스, 엘든 밀러가 대표적인 동문이다. === 기타 === 최대의 라이벌은 콜럼비아에 위치한 같은 주의 주립대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이들의 더비는 Battle of the Palmetto라고 부른다. 팔메토는 사우스캐롤라이나 사람의 별명. [[삼성전자]]가 현지에 세탁기 공장을 설립한것을 계기로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와 클렘슨 대학교가 공동제작연구 콘소시엄이 구성되어 5년간 투자를 받게되었다. == 관련 문서 == * [[미국/교육]] * [[Precalculus]] * [[대학입시/미국]] * [[SAT]] * [[ACT(시험)|ACT]] * [[Advanced Placement|AP]] * [[Common Application]] * [[국외 소재 대학교 일람/북미]] * [[주립대학]] * [[대학 서열화/외국/미국]] * [[카네기 분류]] * [[유학/국가별 정보]] * [[외국 유학 장학금]] * [[NCAA]] [[분류:사우스캐롤라이나 주의 주립대학]][[분류:1889년 개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