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네덜란드 국서)] ||<-3> '''네덜란드 베아트릭스 여왕의 국서[br]{{{+1 클라우스 폰 암스베르크}}}[br]Prins Claus van Nederlanden''' || ||<-3>{{{#!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rince-claus-rvd.jpg|width=100%]]}}} || ||<|2> '''이름''' || 독일어 ||클라우스게오르크 빌헬름 오토 프리드리히 게르트 폰 암스베르크[br](Klaus-Georg Wilhelm Otto Friedrich Gerd von Amsberg)|| || 네덜란드어 ||클라우스 조지 빌럼 오토 프레데릭 게르트[br](Claus George Willem Otto Frederik Geert)|| || '''출생''' ||<-2>[[1926년]] [[9월 6일]][br][[바이마르 공화국]] 히차커|| || '''사망''' ||<-2>[[2002년]] [[10월 6일]] (향년 76세)[br][[네덜란드]] 베일메르메이르|| || '''배우자''' ||<-2>[[베아트릭스 여왕]] ,,(1966년 결혼),,|| || '''자녀''' ||<-2>[[빌럼알렉산더르]], [[요한 프리소]], [[콘스탄테인]]|| || '''아버지''' ||<-2>클라우스 펠릭스 폰 암스베르크|| || '''어머니''' ||<-2>괴스타 폰 뎀 부셰하덴하우젠 여남작|| || '''형제''' ||<-2>지그리트, 릭사, 마르기트, 바르바라, 테다, 크리스티나|| || '''종교''' ||<-2>[[루터교회]] → [[네덜란드 개혁교회]]|| || '''서명''' ||<-2>[[파일:1280px-Claus_von_Amsberg_Signature.svg.png|width=150]]|| [목차] [clearfix] == 개요 == [[네덜란드]] 여왕 [[베아트릭스 여왕]]의 남편으로 [[빌럼알렉산더르]], [[요한 프리소]] 왕자, [[콘스탄테인]] 왕자[* 콘스탄테인의 장녀 엘로이즈는 클라우스가 생전에 본 첫 손주이자, 유일한 손녀이기도 하다.]의 아버지이다. == 생애 == === 유년기 === [[탕가니카]]에서 농장을 운영하던 몰락귀족의 아들로 태어나 부모의 사업을 도우며 전 세계를 돌아다니고, 고등교육도 탕가니카의 독일인 학교를 나왔다. 이후 1930년대 독일로 귀환하였는데, 시대가 시대인지라 독일로 돌아오자마자 '''[[히틀러유겐트]]''' 활동을 하며 소년병으로 참전했던 흑역사가 있었다. 하지만 이는 [[나치]]가 독일 내의 모든 청소년 단체를 해산시키고 히틀러 소년단 가입을 의무화하면서 벌어진 일이라 본인의 의사에 따라 이루어진 일이 아니고, 대전이 격화되면서 히틀러유겐트의 주 목표는 예비 전력 및 후방에서 전선에 나간 성인 남성들을 대신하는 근로봉사로 바뀐지 오래였다. 참전 역시 병력이 모자라 후방근로를 하던 청소년 인원들까지 전쟁터에 내몬 것이라 이 경력이 크게 논란거리로 지적받지는 않았다. '''그가 장가간 네덜란드는 빼고.''' 클라우스는 대전말 [[기갑척탄병]]으로 징집되어 이탈리아에 주둔하던 90 기갑 척탄병 사단에서 복무했으나 전투 중 미국에 항복하면서 포로가 되었다. 이후 단순 가담자로 분류되어 석방된 후에는 대학에 들어가 법학을 전공했다. === 청년기 === 대학을 졸업하고 법률 사무실에서 근무하던 클라우스는 독일 외교부의 외교관 공채에 합격해 [[도미니카 공화국]], [[코트디부아르]]에서 근무하면서 커리어를 쌓아가기 시작했다. 그러다 1962년 '''[[베아트릭스 여왕|베아트릭스 공주]]'''를 만나면서 인생이 뒤바뀌게 되었는데 만남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1965년 이 사실이 파파라치에 의해 까발려지면서 네덜란드 사회에 [[뜨거운 감자]]가 되었다. 클라우스가 공주와의 연애를 발표함과 동시에 독일 외교부를 퇴직하고 네덜란드 시민권을 취득했지만 네덜란드의 주된 여론은 '''"사귀는건 좋은데 왜 하필 독일놈이냐?"'''는 내용이었다. 2차세계대전을 겪은 지 20여년밖에 되지 않았고 전쟁 세대 당사자들이 훤히 눈 뜨고 살아 사회의 중추를 담당했던 60년대였으니 시민들이 분노한 건 당연했다. 당시 시민들이 얼마나 분노했나면 결혼 마차에 돌멩이와 죽은 닭을 던지며 클라우스 꺼져라(Claus, 'raus), 독일의 점령지 수탈을 비꼬는 내 자전거 내놔라(Mijn fiets terug)라고 소리치고 일부 좌파단체는 연막탄까지 터뜨렸다. 오죽했으면 네덜란드 경찰 8천명이 증원되어 결혼식이 끝날 때까지 경비를 섰을까. 이런 여론은 쭉 이어지다 베아트릭스 공주가 [[빌럼 알렉산더르]]를 낳으며 겨우 진화되었다. 이후 클라우스는 학술단체나 네덜란드 공공기관의 명예직을 맡으며 줄곧 얼굴마담 역할을 이어나갔다.[* 이때 취재진에게 "제 임무는 누구보다 멋지게 테이프커팅을 하는 일이죠"라고 농담을 던졌다고.] === 이후의 삶 === 1980년 아내 베아트릭스가 여왕에 즉위한 이후로는 여왕을 대리해 해외를 순방하고, 각종 학술단체 또는 자선단체의 후원자를 맡는 등 여느 국서와 마찬가지로 사회에서의 얼굴 마담 역할을 했다. 말년의 클라우스는 우울증에 시달렸다. 과거 전력으로 인한 트라우마가 자신이 어떤 짓을 해도 국민들에게 인정받지 못한다는 자격지심으로 깊게 남았다는 주장이 있다. 네덜란드 전 국민을 대상으로 가장 인기있는 왕실 구성원을 꼽는 여론조사에서 클라우스가 늘 1위를 차지했지만 우울증은 나아지지 않았다. 이후 [[전립선암]]과 [[파킨슨병]]이 겹치면서 2002년 클라우스는 76세를 일기로 장인 [[리페비스터펠트의 베른하르트 공자|베른하르트 공]]과 장모 [[율리아나 여왕]]보다 앞서 눈을 감았다. == 가족관계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자녀''' || || 1남 || [[빌럼알렉산더르]][br]{{{-2 (Willem-Alexander)}}} || [[1967년]] [[4월 27일]] || || [[막시마 소레기에타 세루티]][br]슬하 3녀[* [[카타리나아말리아|오라녀 여공 카타리나아말리아]] 등] || || 2남 || [[요한 프리소|오라녀나사우의 프리소 공자]][* 2004년에 의회의 승인을 받지 않은 결혼을 해 네덜란드의 왕자라는 직함과 왕위계승권을 박탈당했다.][br]{{{-2 (Prince Friso of Orange-Nassau)}}} || [[1968년]] [[9월 25일]] || [[2013년]] [[8월 12일]] || 마벨 비서 스밋[br]슬하 2녀 || || 3남 || [[콘스탄테인|콘스탄테인 왕자]][br]{{{-2 (Prince Constantijn)}}} || [[1969년]] [[10월 11일]] || || 페트라 라우렌틴 브링크호르스트[br]슬하 1남 2녀 || 슬하에 딸 없이 삼 형제를 두어 네덜란드에서 123년만에 국왕을 탄생하게 했지만, 국왕인 장남은 딸 셋이라 다시 여왕으로 복귀할 가능성이 있다. 이 외에 일찍 죽은 둘째는 딸 둘이며, 그나마 삼 형제 중 일찍 결혼한 막내는 1남 2녀를 두었다. 네덜란드 왕위가 아들, 딸 구분 없이 장자 상속제로 바뀌긴 했지만, 부분적으로 [[살리카법]]이 아직 있다면 가문의 수장은 막내 아들 쪽으로 갈 확률이 있다. [[분류:1926년 출생]][[분류:2002년 사망]][[분류:독일의 외교관]][[분류:네덜란드 국서]][[분류:뤼호프다넨베르크 군 출신 인물]][[분류:폐렴으로 죽은 인물]][[분류:델프트 신교회 안장자]][[분류:네덜란드로 귀화한 인물]][[분류:독일계 네덜란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