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클라라 주미 강}}}[br]Clara-Jumi Kang'''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클라라 주미 강.jpg|width=100%]]}}} || || '''{{{#white 한국명}}}''' ||강주미|| ||<|2> '''{{{#white 출생}}}''' ||[[1987년]] [[6월 10일]] ([age(1987-06-10)]세)|| ||[[서독|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바덴-뷔르템베르크 주]] [[만하임]] 시 || || '''{{{#white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https://violin.org/2010-laureates|링크]]|| || '''{{{#white 가족}}}''' ||아버지 강병운, 어머니 한민희, 2남 2녀 중 차녀|| || '''{{{#white 직업}}}''' ||[[바이올리니스트]]|| || '''{{{#white 종교}}}''' ||[[기독교]]([[개신교]])|| || '''{{{#white 링크}}}''' ||[[http://clarajumikang.com/|공식사이트]] [br] [[https://www.facebook.com/clarajumikang1|페이스북]] [br] [[https://www.instagram.com/clarajumikang|인스타그램]]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계]] [[독일인]] [[바이올리니스트]]. 재독교포 2세이다. 한국 이름은 강주미. [youtube(KAnY05z4Bok)] 파가니니아나(Paganiniana. 나단 밀스타인 작곡) 연주 영상. == 생애 == 1987년 독일 [[만하임]]에서 2남 2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 부모 모두 음악인으로 특히 아버지인 성악가 강병운(Philip Kang)은 독일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바그너 작품들로 이름을 날렸고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에 한국인 최초로 출연하기도 했던 베이스로, 이후 서울대 음대 교수로 초빙되어 귀국해 재직하다 현재는 은퇴했다. 어머니 한민희 또한 [[쾰른]] 음악대학교 출신의 성악가로, 독일에서 젊은 시절 오페라 주역을 하기도 했다고 한다. 처음에는 피아노로 음악을 시작했지만,[* 클라라라는 이름도 슈만의 부인이자 피아니스트였던 [[클라라 슈만]]에서 따왔다. 어머니가 지어준 이름인데, 피아노로 음악 공부를 시작했던 것을 생각하면 딸이 피아니스트가 되길 기대했던 듯.] 이후 바이올린으로 바꾸어 10살도 안된 나이에 재능을 인정받아 줄리어드 음대 등에서 수학했다. 줄리어드 시절에는 [[이작 펄만]], [[장영주]] 등을 발굴했던 [[도로시 딜레이]]를 사사하기도 했다. 12세때 학교에서 농구를 하던 중 왼쪽 새끼손가락이 부러지는 부상을 당했다. 당시 대여받았던 고가의 바이올린을 반납하고, 세계적인 지휘자 [[다니엘 바렌보임]]과의 협연도 무산되었다. 게다가 좀처럼 손가락이 회복되지 않아서 연주를 다시 하기 어렵다는 진단을 받기도 하는 등, 하마터면 연주자로서의 경력이 위태로워질 수도 있었다. 다행히 3년 동안의 재활을 통해 연주를 계속할 수 있게 되었다.[* 당시 '1년만 더 해보고도 안되면 미련없이 그만 두자'는 각오로 연습을 재개했는데, 다행히도 부상 전의 연주감각을 회복할 수 있었다.] 이때의 일은 그녀가 겪었던 가장 힘든 시기로 회자된다. 연주를 재개한 2004년(당시 16세)에 한예종을 들어가 [[김남윤]] 교수를 사사했고,[* 당시 한국어가 익숙치 못해서 한예종으로의 '역유학'을 주저하기도 했지만, 연주 연습에만 전념하면 된다는 김남윤 교수의 설득, 배려를 받아들였다.] 이후 다수의 콩쿠르에 입상하였다. 바이올리니스트 [[김봄소리]], [[신지아(바이올리니스트)|신지아]], 피아니스트 [[손열음]] 등과 함께 한국 클래식 음악계에서 1980년대생 출신의 대표적 연주자로 손꼽힌다. == 수상경력 == 2009년 서울국제음악콩쿠르 우승 2009년 하노버 국제콩쿨 2위 2010년 일본 센다이 국제콩쿠르 우승 2010년 인디애나 폴리스 국제 콩쿨 우승 2015년 차이코프스키 국제 콩쿠르 4위[* 함께 출전한 김봄소리는 그 다음 순위인 5위에 입상했다.] == 발매 음반 == [[파일:external/www.cooltrack.co.kr/001005001731.jpg]] 2011년 [[데카]] 제작으로 '모던 솔로'(Modern Solo)라는 음반을 발표했다. 외진느 이자이, 나단 밀스타인, 하인리히 빌헬름 에른스트, 이영조 등의 작품 9곡 연주를 담고 있다. [[파일:external/www.applemusic.co.kr/147808175766l0.jpg]] 2016년에는 역시 데카에서, 피아니스트 [[손열음]]과 함께 슈만, 브람스의 곡들을 담은 음반을 발표했다. 해당 곡들은 11월 17일 예술의 전당에서 열린 연주회에서도 연주된 바 있다. [[파일:cjkviolinist.jpg]] 2021년에는 같은 한예종 출신 피아니스트 [[김선욱]]과 함께 베토벤 탄생 250주년 기념으로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전곡을 음반으로 발매했다. == 기타 == * 언니와 오빠도 각각 첼로, 피아노를 연주하는 음악가 가족이다. 다만 동생은 음악과 무관한 분야(보다 정확히는 호텔 경영)를 전공하여 유일한 예외. 집은 독일 [[뮌헨]]에 있다.[* [[정명화]], [[정경화]], [[정명훈(지휘자)|정명훈]] 집안도 7남매 중 6명이 음악을 했으나 막내이자 정명훈의 남동생 정명규는 의사이다.] * 개신교 신자이며, 10대 초반 손가락을 다쳐 한동안 연주를 못하게 되었을 때, CCM 작곡을 하기도 했다. 한예종 입학 초에는 복음성가를 작곡하고 직접 불렀다. 노래도 꽤 하는 편이다.[* 20대 초반인 2006년 자신이 직접 작곡하고 부른 노래를 녹음한 데모 CD를 들은 미국의 한 음반 제작자(1990년대를 대표하는 디바 [[셀린 디옹]]의 담당자였다고 한다)로부터 가수 제의를 받았다는 일화가 있었을 정도.] * 2010년 [[커니]]의 후원을 받았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04696222?sid=103|인디애나폴리스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International Violin Competition of Indianapolis)에서 우승한 실력파 한국계 바이올리니스트 클라라 주미 강이 경영 컨설팅 전문기업인 AT커니 코리아의 후원을 받음]] * 2018년 기준 [[삼성]]문화재단에서 후원받은 1708년산 [[스트라디바리우스]]를 쓰고 있다. 그 전에는 역시 삼성문화재단에서 후원받은 1725년산 과르네리 델 제수를 사용했다. * 2016년부터 [[베를린]]에서 거주중이라고 밝혔다. * 자신보다 1살 위인 [[피아니스트]] [[손열음]]과 매우 친한 사이이며, 자주 함께 연주를 한다. [[한예종]] 재학 시 친해졌다고. 전술한 것 처럼 2016년에는 슈만, 브람스의 곡들을 담은 음반을 발표하고 연주회를 가지기도 했다. 또한 손열음이 감독으로 활동 중인 평창 대관령 음악제에도 매년 열성적으로 참가 중이다. * [[한국어]], [[독일어]], [[영어]] 3개 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 본인 말로는 영어가 가장 편하다고. [[한예종]]에 진학하기 위해 한국에 처음 왔을 때는 한국어가 잘 안돼서 힘들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자세히 들어도 [[교포]]인 티가 거의 안 날 정도로 유창하게 구사한다. * 디시인사이드에 클라라 주미 강 갤러리가 별도로 있으며 해당 갤러리에서는 갤주로 불리고 있다. * 2022년 7월 6일 [[SBS 나이트라인]] 초대석에 출연하여 인터뷰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812057|영상]] [[분류:한국예술종합학교 출신]][[분류:독일의 바이올리니스트]][[분류:한국계 독일인]][[분류:1987년 출생]][[분류:만하임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