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큰지느러미오징어}}}[br]Bigfin Squid}}}'''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ngArmSquid.jpg|width=100%]]}}}|| ||<#f93> [[학명|{{{#000 '''학명'''}}}]] || ''' ''Magnapinna'' ''' Vecchione & Young, 1998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s-2.2|{{{#000 '''계'''}}}]] ||[[동물계]] || || [[생물 분류 단계#s-2.3|{{{#000 '''문'''}}}]] ||[[연체동물문]](Mollusca) || || [[생물 분류 단계#s-2.4|{{{#000 '''강'''}}}]] ||[[두족강]](Cephalopoda) || || '''아강''' ||✲연막아강(Coleoidea) || || '''상목''' ||[[십완상목]](Decapod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s-2.5|{{{#000 '''목'''}}}]] ||개안목(Oegopsida) || || [[생물 분류 단계#s-2.6|{{{#000 '''과'''}}}]] ||✲'''큰지느러미오징어과(Magnapinnidae)''' || || [[생물 분류 단계#s-2.7|{{{#000 '''속'''}}}]] ||✲'''큰지느러미오징어속(''Magnapinna'')''' || [목차] [clearfix] == 개요 == [[심해]]에 서식하는 개안목의 대형 [[오징어]]. 국명은 없으며 영명을 번역한 큰지느러미오징어, 혹은 학명에서 따온 [[마그나피나 오징어|마그나피나]]로 불린다.[* 마그나피나 또한 큰지느러미를 의미하는 것을 생각하면 둘은 동의어이다.] 관측 영상에서 분석된 사항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알려진 것이 없는 [[미지]]의 종. == 상세 == 크기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7m까지는 자란다. 이름답게 몸집에 비해 유달리 큰 지느러미를 가졌으며, 오징어 중 유일하게 팔에 꺾인 관절을 가지고 있다. 습성이나 생태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 없으며, 표본 또한 매우 적고 성체의 표본은 포획된 바 없다. 학자들은 꺾인 팔에 주목하여 팔을 수중이나 해저에 넓게 늘어뜨린 채 걸리는 먹이를 포획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아성체는 꺾인 관절이 없이 짧은 팔을 가지며, 성체와 비슷한 수심의 해저에서 몇 미터 떨어진 곳에 활동한다. [youtube(IPRPnQ-dUSo, width=480px, height=270px)] [[로열 더치 쉘]]의 자회사인 쉘오일에서 소유한 석유 채굴장 펄디도(Perdido)에서 촬영된 큰지느러미오징어. 청록색 조명과 기이하게 정적이면서도 활발히 움직이는 지느러미, 화면을 크게 돌려야 전부 보이는 거대한 크기의 늘어진 다리 덕에 [[공포]] 분위기를 자아내며, 일부에서는 [[러브크래프트]] 호러를 연상한다. [youtube(95I25CATMx8, width=480px, height=270px)] 유영 중인 큰지느러미오징어. 국내에서 Bigfin Squid를 검색하면 흰오징어가 나온다. 이쪽은 영명이 Bigfin Reef Squid. [youtube(43IVqU_7fHg, width=480px, height=270px)] 가장 최근인 2023년 4월에 발견된 고화질의 큰지느러미오징어. 최근인 만큼 고화질로 큰지느러미오징어를 자세히 관찰 할 수 있다. == 하위 분류 == * ''Magnapinna atlantica'' Vecchione & Young, 2006 * ''Magnapinna pacifica'' Vecchione & Young, 1998 * ''Magnapinna talismani'' (Fischer & Joubin, 1907) * ''Magnapinna'' sp. B * ''Magnapinna'' sp. C == 대중 매체 == [[옥토넛]]에서 등장했다. 여기서는 특유의 괴기스런 모습 때문에 콰지는 아예 바다 유령이라고 부르며 무서워하고 페이소도 처음 보고는 괴물이라며 비명을 지르며 달아난다. 하지만 사실은 촉수가 난파선에 엉켜 고립돼 도움을 청한 것이었고, 페이소의 도움으로 탈출한다. [[오버워치]] 루시우와 솜브라의 상호대사에서 언급되었다. 루시우가 좋아하는 동물이 뭐냐고 묻자 솜브라는 큰지느러미오징어(bigfin squid)라고 대답했다. 하지만 한국어판은 커다란 오징어로 오역되었다. [[분류:개안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