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크리티카/캐릭터)] [[파일:external/allmbiz2015.cafe24.com/CHR_215849.jpg|width=570]] '''Creator, 차원이 다른 막강 화력의 창조자!''' [목차] 2016년 현재 개인 웹 메뉴를 열 수 없어 제대로 알 수 없다. 전직 증표는 대기 시 소환되는 대형 화염방사기. MVP 대사는 [[도짓코|"어, 어라라? 으아아아~!!"]] 에구구~~ 바리에이션도 있다. 부활시 대사는 "내가 질리가 없잖아요!", ''왜에에~ 한 판 더 할 거에요'' == 개요 == 중화기를 소환해 사용하는 노블리아의 1차 전직. [[던전 앤 파이터|옆동네]]로 치면 겉은 [[마도학자]]인데 속은 [[런처(던전 앤 파이터)/여자|런처]]인 진성 [[화력덕후]] 캐릭터이다. --옆동네 [[크리에이터(던전 앤 파이터)|크리에이터]]와는 완전 딴판이다-- 화염방사기, 개틀링포, 박격포, [[MLRS]]에서 핵무기(...)까지 사용하는 본격 [[아케미 호무라]]. ~~단, 시간 정지는 없다. 대신 테슬라 코일이 있지만.~~ 여담으로 크리에이터의 전직 일러의 아바타가 매우 잘 뽑혀 나온 터라 수요는 크리에이터를 키우는 유저에겐 거의 필수라고 하더라.~~사람이 없는 ㅈ망겜 특성상 매몰이 이미 씨가 말랐지만~~ == 특징 == 엄청난 화력과 사정거리가 압권. 그렇다고 근거리에서도 약하지 않고, 이동기도 있어서 발이 느린 것도 아니다. 메즈 성능도 그리 나쁜 편은 아니기에 자체 전투력이 엄청나게 높다. 대부분의 스킬에 슈퍼아머가 달려있어서 캐스팅도 잘 끊기지 않는다. 그렇다고 근접전을 추천할 만한 캐릭터는 아니긴 하지만, 애초에 원한다면 전투거리를 제멋대로 조정할 수도 있고 스킬 자체도 전부 공격성능이 뛰어나서 공격면에서는 사실상 거의 단점이 없다. 생존도 필요하다면 12초마다 무적 및 파티슈아를 걸어서 확보할 수 있는 보조직업의 역할도 수행이 가능하다. 쿨타임이 짧은 주력 스킬들은 좌/우클릭 파생을 통해, 상황에 맞는 스킬사용이 가능하다는 점도 특징. ~~이거 뇌쇄나찰한테 줘야 되는 거 아닌가~~ 사망했을 때의 대사 - 으억.. 아파.. 시작 대사 - 시작해 볼까나? 스테이지 클리어 대사 - 히힛 승자는 시선을 독점하는 법이죠~ 성별 - 여자 === 장점 === * '''진정한 화력덕후''' 스킬들의 데미지 퍼센트가 다른 캐릭터들에 비해 엄청나게 높다. 심지어 전 캐릭터 중 첫 '''65레벨 일반 스킬'''인 CodeName : 슈팅 스타의 경우 총합데미지가 90000%를 돌파하는데, 이전의 단일 스킬 최대 대미지를 갖고 있던 [[천랑주]]의 비상 낙뢰극-축퇴격이 77000%, 광전사의 허리케인 슬래쉬-크레이지 카니발이 74000% 정도였음을 생각하면 가히 정신나간 피해량. 대부분의 스킬이 사격형이라서인지 판정도 매우 좋으며, 대부분이 이펙트보다 범위나 사거리가 더 넓고 길다. * '''높은 자체 유틸성능''' 화력 캐릭터라고 하면 보통 단점으로 판정, 캐스팅 딜레이, 메즈성능 등을 꼽을 수 있지만, 이 캐릭터에게는 그런 거 없다. 기동력을 쉽게 커버해주는 앵커 런처부터 시작해서[* 기동력으로 따지자면 더 우수한 직업이 넘치지만 뚜벅이보다는 낫다.], 좀 늦게 생기기는 하지만 슈퍼아머 파괴기도 꽤 있고, 매지컬 호른-우클릭은 실제 쿨타임 12초마다 자신에게 이동 불가 무적+주변 적에게 대미지/둔화를 걸어버리는 고성능 생존기이며, 테슬라 코일 우클릭 역시 에클레어의 블레이드 워크급 경직을 자랑하는데 이 놈은 심지어 설치형이다. 게다가 좌/우클릭으로 나뉜 스킬들의 경우 [[런처|뽑아치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근거리에서도 불리한 점이 없고, 슈퍼아머도 주렁주렁 매달고 있다. === 단점 === * '''엄청난 선딜레이와 이펙트''' 화염 방사기, 추적폭탄, 매지컬 호른, 테슬라 스틱 초반 주력스킬 모두 즉발 무적이 없고, 무기를 꺼낼 때 데미지와 잠깐의 경직을 주는게 전부다. 그 사이 피격을 당하면 스킬은 그냥 캔슬된다. 그리고 후반스킬 로켓런처도 발사하는 1초동안 행동불가, 슈팅스타는 폭발까지 5초 대기시간이 있다. 특히 박격포는 2초 이상이나 제자리에서 멈춰서 포격을 한다는 점 또한 불안한 요소중 하나. 크리에이터는 테슬라 스틱(우)로 경직을 주고 스킬을 연계하는게 기본인데, 이 테슬라 스틱도 즉발경직이 아니다. 또 다른 렉의 화신. CodeName : 슈팅 스타의 경우 이펙트가 '''화면 전체'''를 가려버린다. 2016년 1월 현재는 신캐인만큼 유저수가 대단히 많은데, 자신을 제외한 3인 모두가 크리에이터일 경우 보스전에서 핵폭발만 3번을 보게 되며, 자신은 사양이 나쁠 경우 그 자리에서 굳을 수도 있다(...). 자신까지 크리에이터라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부실한 슈퍼아머 파괴기''' 슈퍼아머 파괴기가 일단 45레벨에 나온다. 이후 기술이 모두 슈퍼아머를 파괴하기 때문에 사실 갯수나 성능 자체에는 문제가 없지만, 입수할 때까지 꽤 오래 걸린다는 점과 45레벨 슈파기인 슈레드 전동 톱의 미묘한 성능에 50레벨 이후의 스킬들은 전부 쿨타임이 비교적 긴 주 공격 기술이라 함부로 쓰기 껄끄럽다는 점이 난점. 3월 17일 패치로 EX1에 슈퍼아머 파괴가 달렸다. * '''종이몸''' 기본 체력과 방어력이 꽤 낮다. 많은 스킬들이 슈퍼아머를 가지고 있지만, 방어력 낮은 마법 캐릭터가 슈퍼아머를 달고 있으면 뭐하나? 어차피 1대 맞으면 빈사상태가 되는데. 이 낮은 방어력이 선딜레이와 애매한 무적기의 삼위일체를 이룬다. 어느정도 가까이 다가가야 하는 테슬라 코일-우클릭이 필수이기에 단순 화력으로 해결되지 않는 후반던전에서는 솔플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 '''속성 선택의 부자유''' 화력덕후 방화범이니만큼 대부분의 주 공격 스킬이 화속성인데, 무속성인 스킬도 꽤 되는 편이다. 이로 인해 무기에 화염 속성 부여가 필수이며, 속성 강화 또한 화염으로 고정되는데 화염 속성이 시세가 비싼 편이라 이 또한 압박으로 다가온다. == [[크리에이터(크리티카)/스킬|스킬]] == [[크리에이터(크리티카)/스킬]]문서 참조 [[분류:크리티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