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필라델피아 필리스/로스터)] ---- ||
'''{{{#ffffff 크리스티안 파체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Atlanta_Braves_logo_champion_2021.png|height=70]][br]'''월드 시리즈 우승 반지''' || || '''[[2021년 월드 시리즈|{{{#ffffff 2021}}}]]''' || ---- ||<-5> '''{{{#FFF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FFF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번호 14번}}}''' || || [[맷 조이스]][br](2019) || {{{+1 →}}} || '''크리스티안 파체[br](2020)''' || {{{+1 →}}} || [[조나단 루크로이]][br](2021) || ||<-5> '''{{{#FFF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FFF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번호 25번}}}''' || || [[타일러 플라워스]][br](2016~2020) || {{{+1 →}}} || '''크리스티안 파체[br](2021)''' || {{{+1 →}}} || [[알렉스 디커슨]][br](2022) || ||<-5> '''{{{#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20번}}}''' || || [[마크 칸하]][br](2015~2021) || {{{+1 →}}} || '''{{{#003831 크리스티안 파체[br](2022)}}}''' || {{{+1 →}}} || [[잭 겔로프]][br](2023~) || ||<-5> '''{{{#ffffff [[필라델피아 필리스|{{{#ffffff 필라델피아 필리스}}}]] 등번호 19번}}}''' || || [[맷 비얼링]][br](2021~2022) || {{{+1 →}}} || '''크리스티안 파체[br](2023~)'''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필리스파체23.jpg|width=100%]]}}} || ||<-2> '''필라델피아 필리스 No.19''' || ||<-2> '''{{{+2 크리스티안 파체}}}[br]Cristian Pache''' || || '''본명''' ||크리스티안 라파엘 파체[br]Cristian Rafael Pache || ||<|2> '''출생''' ||[[1998년]] [[11월 19일]] ([age(1998-11-19)]세) || ||[[산토도밍고|산토 도밍고 센트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도미니카 공화국)] || || '''신체''' ||188cm / 97kg || || '''포지션''' ||[[중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5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애틀랜타 브레이브스|ATL]]) || || '''소속팀'''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20~2021)[br][[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22) [br] [[필라델피아 필리스]] (2023~) || || '''계약''' ||Pre-Arb / $710,000 || || '''연봉''' ||2022 / $710,000 || || '''SNS''' ||[[https://www.instagram.com/cristianpache15/|[[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ristianpache25,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필라델피아 필리스]] 소속 [[중견수]]. == 선수 경력 ==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체.jpg|width=100%]]}}} || 2015년에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을 맺고 입단했다. 계약금은 140만 달러를 수령했다. 마이너에서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괜찮은 타격 포텐셜을 보여줬고, 수비에 있어서 매우 높은 평가를 받았다. 2019년부터는 BA와 MLB 파이프라인 양쪽에서 동시에 유망주 순위 Top 100에 이름을 올리기 시작했다. 2019년에는 더블A에서 0.8이 넘는 OPS를 기록하며 커리어하이 시즌을 만들었다. ==== 2020 시즌 ==== 시즌을 앞두고 룰5 드래프트에서 보호하기 위해 40인 로스터에 포함되었다. 이후 대체훈련지에서 개막을 맞았으나 8월 18일 [[닉 마카키스]]가 부상자 명단에 오르며 처음으로 빅리그에 콜업되었다. 사흘 후인 21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홈 경기에서 9번타자 좌익수로 선발 출장하며 빅리그에 데뷔하였다. 첫 세 타석에서는 범타로 물러났으나 6회 말 네 번째 타석에서 [[콜 어빈]]을 상대로 우전 안타를 기록하며 통산 첫 안타를 때려냈다. 다음날인 22일 경기에서는 9회 초 [[마르셀 오즈나]]의 대수비로 교체 출전하여 1이닝 수비를 소화했으나 타석에는 들어서지 못했다. 이것이 올 시즌 마지막 빅리그 출장이 되었고, 8월 25일 부상자 명단에 올라있던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의 자리를 만들기 위해 옵션되었다. 이후 다시 콜업되지는 못했다. 짧았던 빅리그 최종 기록은 2경기 4타수 1안타. 이후 [[신시내티 레즈]]와의 [[2020 내셔널 리그 와일드카드 시리즈]] 로스터에 포함되었고, 1차전에서 13회 말 동점 상황에서 1루주자 [[닉 마카키스]]의 대주자로 투입되었다. 이후 [[프레디 프리먼]]의 끝내기 안타때 홈을 밟으며 결승 득점을 기록했다. 이후 와일드카드 2차전과 [[마이애미 말린스]]와의 [[2020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디비전 시리즈]] 세 경기에서 우익수 대수비로 출장하였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2020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챔피언십 시리즈]]에선 전 경기에 출장하였다. 1차전에서는 2회 초 [[애덤 듀발]]의 대타로 타석에 들어서 볼넷을 기록했고, 이후 볼넷 하나를 추가했으나 안타를 기록하진 못했다. 2차전에선 9번타자 중견수로 선발 출장하여 2-0으로 앞선 5회 초 [[토니 곤솔린]]을 상대로 2루주자 [[닉 마카키스]]를 불러들이는 1타점 적시 2루타를 기록했다. 이는 파체의 빅리그 첫 타점이다. 이어지는 3차전에서는 15-0으로 크게 뒤진 3회 말 [[훌리오 유리아스]]를 상대로 리드오프 홈런을 때렸다. 챔피언십시리즈를 통틀어 25타석 .182/.280/.364, 2루타 1개, 1홈런, 4타점으로 분전했으나 팀의 탈락을 막지는 못했다. ==== 2021 시즌 ==== 시즌을 앞두고 유망주 랭킹에서 BA 7위, MLB 파이프라인 12위라는 고순위에 랭크되며 명실상부 브레이브스의 탑 유망주임을 재확인했다.[* 비슷한 수준의 (역대) 톱급 유망주들의 성적은 [[메이저 리그 유망주 순위]]를 참조.] 그러나 정규시즌 들어서는 빅리그에서 22경기 68타석의 기회를 받았으나 .111/.152/.206이라는 처참한 슬래시라인과 2볼넷 25삼진이라는 처참한 볼삼비를 보여줬고, 트리플A에서도 .744의 평범한 OPS로 그닥 발전하지 못했다. 결국 2022 시즌을 앞둔 유망주 랭킹에서 BA 84위, MLB 파이프라인은 재평가 이전 38위로 하락하며 평가가 크게 떨어졌다. 포스트시즌에서는 타석에 들어서지 못했고, [[2021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디비전 시리즈]] 4차전과 [[2021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챔피언십 시리즈]] 2차전에서 각각 대수비와 대주자로 출전한 것이 전부이다. [[2021년 월드 시리즈]]에서는 출장하지 못했으나 로스터에 들어 있어 우승 반지를 획득했다.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애슬레틱스파체.webp|width=100%]]}}} || 결국 2022년 3월 14일, [[맷 올슨]] 영입을 위한 1:4 트레이드의 칩에 포함되며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로 트레이드되었다. 유망주 [[셰이 랭글리어스]], [[조이 에스테스]], 라이언 큐식이 함께 넘어갔다. 파체는 트레이드 발표 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애틀랜타를 떠나게 돼 마음이 아프다며, 응원해준 팬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전했다. 또 오클랜드에서 중요한 선수가 되겠다는 다짐 역시 남겼다. ==== 2022 시즌 ==== 지난해 외야 주전 [[마크 칸하]]와 [[스탈링 마르테]]가 동시에 [[뉴욕 메츠]]로 이적하면서 파체에게 많은 기회가 갈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특히 시즌 초반에는 [[라몬 로리아노]]가 금지약물 징계로 출전이 불가하기 때문에 주전 중견수를 맡을 가능성도 있다. 3월 18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와의 시범경기 개막전에서 5회 초 중견수 대수비로 출장하였고, 이어지는 5회 말 데이비스 다니엘을 상대로 3루타를 기록하였다. 이후 두 타석에선 3루수 땅볼과 좌익수 직선타로 물러났다. 주전 중견수 라몬 로리아노가 남은 80경기 중 28경기 출장금지가 남았기에 개막 초반 주전 중견수로 출장할 전망이다. 리빌딩을 하는 오클랜드 입장 상 파체에게 기회를 줘서 경험치로 잠재력을 터뜨리려는 것으로 보인다. 4월 9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경기에서 9번타자 중견수로 선발 출장하였다. 3타수 무안타 1삼진으로 침묵했다. 4월 10일 필리스와의 시리즈 마지막 경기에서 4타수 2안타 2루타 1개를 기록하며 활약했다. 특히 9회 2루타를 치고 나가 [[토니 켐프]]의 적시타 때 홈을 밟으며 포효하는 등 분위기메이커 역할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4월 11일 [[탬파베이 레이스]]와의 원정 시리즈 첫 경기에서 9번타자 중견수로 선발 출장하여 5타수 1안타 2득점 1삼진을 기록했다. 시즌 타율은 .267, OPS는 .600이 되었다. 4월 14일 [[탬파베이 레이스]]와의 시리즈 마지막 경기에서는 9번타자 중견수로 출장하였다. 2회 초 2사 1,2루에서 [[조시 플레밍]]을 상대로 평범한 안타를 때려냈는데 좌익수 [[랜디 아로자레나]]가 그 타구를 발에 맞춰 뒤로 흘리는 어처구니없는 실수를 범하여 자신을 포함한 모든 주자가 홈을 밟았다. [[폭스 스포츠]]는 이걸 보고 리틀야구 홈런이라고 했다. 이후 4회에 안타 하나를 추가했다. 4타수 2안타 1득점 1타점 1삼진을 기록했다. 4월 16일 [[토론토 블루제이스]]와의 경기에서 8번타자 중견수로 선발 출장하였다. 앞선 세 타석에선 안타를 기록하지 못했으나 9회 초 동점상황 1사 1루에서 타석에 들어서 우월 결승 투런포를 쏘아올렸다. 시즌 자신의 첫 번째 홈런. 팀은 파체의 홈런에 힘입어 7-5로 승리했다. 4월 19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와의 홈 경기에서 8번타자 중견수로 선발 출장하였다. 2회 초에는 1사 1루 상황 [[켈빈 구티에레즈]]의 우중간 깊은 장타성 타구를 저글링 후 건져내며 실점을 막았고, 8회 초에는 선두타자 [[오스틴 헤이스]]의 깊은 타구를 건져내며 출루를 막았다. 이렇게 수비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였으나 타석에서는 4타수 무안타에 그쳤다. 타율은 .220, OPS는 .537로 상당히 떨어졌다. 4월 20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와의 경기에서도 9번타자 중견수로 선발 출장했으나 3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4월 21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와의 경기에서 선발투수 [[타일러 웰스]]를 상대로 시즌 두 번째 홈런을 신고하였다. 4월 22일 [[텍사스 레인저스]]와의 경기에서 2타수 무안타 1볼넷 2삼진으로 침묵했다. 시즌 타율 .200, OPS .556으로 적어도 타격에선 답이 없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4월 26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7번타자 중견수로 선발 출장하였고, 7회 초 [[도미닉 레온]]을 상대로 안타를 뽑아낸 후 [[세스 브라운]]의 2루타 때 득점에 성공했다. 3타수 1안타 1볼넷 1득점을 기록했다. 이후 4월 30일부터 5월 8일까지 7경기 24타수 1안타 '''타율 .042, OPS .083'''으로 구제불능한 성적을 찍고 있다. 시즌 OPS는 .456으로 수직하강중. 5월 10일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와의 더블헤더 1차전에서 8번타자 중견수로 선발 출장했으나 3타수 무안타로 또 침묵했다. 이어진 더블헤더 2차전에서는 7회 초 [[앤드류 셰이핀]]을 상대로 1타점 적시타를 뽑아내며 무려 14타수만의 안타, 15경기만의 타점을 기록했다. 시즌 최종 성적은 91경기 타율 .166, OPS .459, fWAR -1.0. 팀을 바꾸었지만 전혀 타격에서 개선을 이루지 못하며 매우 부진한 한 해를 보냈고, 구단과 많은 팬들을 실망시켰다. AAA에 내려가서도 OPS .687, wRC+ 68에 그쳤다. 그나마 장점인 수비에서는 매우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91경기만에 OAA 7을 기록했으나 이런 엄청난 수비력에도 불구하고 승리기여도가 음수일 만큼 타격이 도저히 메이저 수준이라고 보기 힘들 정도로 나쁜 상황이다.[* 비슷한 선수로는 현재 [[에반 화이트]]가 있는데 이쪽은 장타력이 봐줄 만한 대신 1루수이다.] 오프시즌에 [[션 머피]] 트레이드를 통해 포지션이 겹치는 [[에스테우리 루이즈]]가 영입되며 파체의 입지가 나빠졌다. === [[필라델피아 필리스]] === 2023년 3월 29일, 빌리 설리반을 상대로 필라델피아로 트레이드되었다. ==== 2023 시즌 ==== 트레이드 된 이후 외야진이 탄탄한 필리스이기에 주로 대수비나 대주자, 체력 안배용 백업 외야수로 기용 되었다. 4월에는 대타라는 적은 기회속에서 3할 타율을 기록했지만 5월에 부상으로 재활군으로 넘어가 6월 중순에 돌아왔지만 적은 기회 속에서 어떻게든 3할을 유지하던 도중 또 부상을 입으며 8월 통째로 결장, 9월에 복귀한다. 9월에는 와일드카드 압도적 1위라서 주력 외야수들 체력안배에 들어가면서 선발출정 7경기와 도중투입 등 많은 기회를 받기 시작했는데 9월 한달에만 월 타율 '''0.091'''라는 최악의 컨택력을 선보이면서 개인 타율마저 2할 3푼으로 추락하였다. == 플레이 스타일 == == 수상 내역 == * [[월드 시리즈]] 우승 ([[2021년 월드 시리즈|2021]]) == 연도별 성적 == ||<-20>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크리스티안 파체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wRC+ || fWAR || bWAR || || 2020 ||<|2> [[애틀랜타 브레이브스|ATL]] || 2 || 4 || 1 || 0 || 0 || 0 || 0 || 0 || 0 || 0 || 2 || .250 || .250 || .250 || .500 || 31 || 0.0 || -0.1 || || 2021 || 22 || 68 || 7 || 3 || 0 || 1 || 6 || 4 || 0 || 2 || 25 || .111 || .152 || .206 || .358 || -8 || -0.7 || -0.7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wRC+ || fWAR || bWAR || || 2022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OAK]] || 91 || 260 || 40 || 5 || 2 || 3 || 18 || 18 || 2 || 15 || 70 || .166 || .218 || .241 || .459 || 35 || -1.0 || -0.6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2시즌)''' || 115 || 332 || 48 || 8 || 2 || 4 || 24 || 22 || 2 || 17 || 97 || .156 || .205 || .234 || .439 || 26 || -1.7 || -1.4 || == 여담 == [각주] [[분류: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분류:1998년 출생]][[분류:2020년 데뷔]][[분류:산토도밍고 출신 인물]][[분류:우투우타]][[분류:외야수]][[분류:애틀랜타 브레이브스/은퇴, 이적]][[분류: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은퇴, 이적]][[분류:필라델피아 필리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