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 제118대 상원의원)] ---- ||<-2>
'''{{{#white 미합중국 제111-117대 연방 상원의원[br]{{{+1 크리스토퍼 앤드류 쿤스}}}[br]Christopher Andrew Coon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Chris_Coons,_official_portrait,_112th_Congress.jpg|width=100%]]}}} || || '''이름''' ||'''크리스 쿤스[br]Chris Coons''' || ||<|2> '''출생''' ||[[1963년]] [[9월 9일]] ([age(1963-09-09)]세) || ||[[코네티컷 주]] 그리니치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정당''' ||[include(틀:민주당(미국))] || || '''학력''' ||[[애머스트 칼리지]] {{{-1 (화학 , 정치학 / B.A. )}}} [br] [[예일 대학교]] {{{-1 (윤리학 / [[석사|M.A.R.]])}}} [br] [[예일 대학교]] {{{-1 (법학 / [[박사|J.D.]])}}} || || '''종교''' ||[[개신교]] ([[장로회]]) || || '''가족''' ||배우자 애니 링겐펠터 {{{-2 (결혼: 1996~)}}}[br]슬하 자녀 3명 || || '''경력''' ||뉴캐슬 카운티 의회 의장 {{{-2 (2001~2005)}}}[br] 뉴캐슬 카운티 행정관 {{{-2 (2005~2010)}}}[br]'''연방 상원의원 {{{-2 (2010~현재 / 델라웨어)}}}'''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합중국]]의 정치인으로, 제46대 미국 대통령인 [[조 바이든]]의 최측근이다. == 생애 == 코네티컷 주 출신으로 부모는 어릴 때 이혼했으며 1977년에 어머니가 [[고어텍스]]를 특허낸 사업가 로버트 윌리엄 고어 (1937~2020) 와 재혼했다. 고어텍스 특허가 1969년이었기 때문에 쿤스는 억만장자의 아들로 자랐다. 애머스트 대학교에 들어가서 화학과 정치학을 복수전공하고 [[예일대학교]] 대학원과 로스쿨을 졸업했는데 트루먼 재단에서 운영하는 케냐 여름학기 프로그램에 등록해 [[나이로비]]에서 수학하기도 했다. 대학교 때는 한때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의 대선 캠페인에 참여하고 빌 로스 상원의원의 보좌관 역할을 맡는 등 열렬한 [[공화당(미국)|공화당]]원이었지만 1988년을 기점으로 민주당으로 당적을 바꿨다. 이후 뉴캐슬 카운티 의회 의장 및 행정관을 맡으며 지역 정치에 종사하다가 2010년에 [[조 바이든]]의 부통령 당선으로 공백이 된 상원의원 보궐 선거에 출마해[* 원래 2008년 이후 2년간 테드 카우프만이 지명 상원의원을 지냈으나 선거에는 출마하지 않았다.] 공화당 크리스틴 오도넬 후보를 크게 누르고 승리해 드디어 연방 단위 정치로 발걸음을 옮겼다. 2020년, 연방 상원의원 선거에서 공화당 로렌 위츠케 후보를 21%p라는 큰 차이로 따돌리고 무난히 3선에 성공했다. 특히 델라웨어에서 오랜 기간 연방 상원의원을 지냈던 [[조 바이든]]이 대선 후보 자리에 오르면서 델라웨어 주민들이 압도적인 지지를 보내 주지사 선거, 광역구 연방하원의원 선거에서 모두 민주당 후보가 압승을 거뒀는데 덕분에 모든 후보가 한동안 공화당 손을 들어주던 켄트 카운티에서도 승리를 거뒀다. 만약 2020년 대선에서 바이든 후보가 승리할 경우, 유력한 [[국무장관]] 후보로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http://www.newspim.com/news/view/20201020000019|#]] 하지만 오바마 행정부 시절 연방정부 각료를 지낸 [[토니 블링컨]]이 초대 국무장관으로 내정되면서 성사되지는 못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미합중국 연방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0 || 미국 델라웨어 뉴캐슬 카운티의회 선거 ||<|3> 델라웨어 뉴캐슬 카운티 ||<|6> [include(틀:민주당(미국))] || '''113,050 (56.38%)''' || '''당선 (1위)''' || '''초선''' || || 2004 || 미국 델라웨어 뉴캐슬 카운티 행정관 선거 || '''131,397 (58.45%)''' || '''당선 (1위)''' || '''초선''' || || 2008 || 미국 델라웨어 뉴캐슬 카운티 행정관 선거 || '''194,005 (100.00%)''' || '''당선 (1위)''' || '''재선'''[* 2010. 11. 15. 연방 상원의원 보궐선거 출마를 위해 사임] || || 2010 || [[2010년 미국 중간선거|미국 연방상원의원 보궐선거]] ||<|3> [[델라웨어주|델라웨어]] || '''174,012 (56.61%)''' || '''당선 (1위)''' || '''초선''' || || 2014 || [[2014년 미국 중간선거|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130,655 (55.83%)''' || '''당선 (1위)''' || '''재선''' || || 2020 || [[2020년 미국 양원·주지사 선거|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291,804 (59.44%)''' || '''당선 (1위)''' || '''3선''' || [[분류:미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미국 상원의원]][[분류:1963년 출생]][[분류:그리니치(코네티컷) 출신 인물]][[분류:미국 민주당 소속]][[분류:미국의 장로회 신자]][[분류:애머스트 칼리지 출신]][[분류:예일 대학교 출신]][[분류:잉글랜드계 미국인]][[분류:독일계 미국인]][[분류:아일랜드계 미국인]][[분류:스코틀랜드계 미국인]][[분류:네덜란드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