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냉전/소련 수상함)] ||
[[파일:크리박-I급 호위함 란디.jpg|width=100%]] || || [[파일:Project_1135M_Pytlivyy_2009_G1.jpg|width=100%]] || || {{{#0000cd '''Сторожевые корабли проекта 1135 (1135М,11352,11353) «Буревестник»'''}}} || [목차] == 개요 == 프로젝트 1135형 부레베스트니크는 [[소련 해군]]이 건조하여 [[러시아 해군]]과 [[우크라이나 해군]]이 운용하는 [[호위함]]으로, [[NATO 코드명]]은 크리박급(Krivak-class)이다. 함명인 부레베스트니크(Буревестник)의 유래는 러시아어로 [[바다제비]]를 의미하며 대잠수함 교전을 고려한 대잠 호위함으로 설계되었다. 세부적으로 해군 운용 목적의 크리박-I/II급 및 [[해안경비대]] 운용 목적의 크리박-III급으로 나눌 수 있다. == 제원 == ||<-999><:>'''크리박급의 제원''' || ||<-3> ||<:>'''크리박-I급'''||<:>'''크리박-II급'''||<:>'''크리박-III급'''||<:>'''Project 1135.2'''|| ||<-3><:>'''기준 배수량''' ||<-4>3,300 톤 || ||<-3><:>'''만재 배수량''' ||<-4>3,575 톤 || ||<|2><:>'''추진''' ||<-2><:>'''추진방식'''||<-4>[[COGAG]] || ||<:><-2>'''동력''' ||<-4>2 x M-8k [[가스터빈]][br](40,000마력)(부스트)[br]2 x M-62 [[가스터빈]][br](14,950마력)(순항용) || ||<-3><:>'''최대속도''' ||<-4>32노트 || ||<-3><:>'''작전반경''' ||<-4>4,995 nmi (9,251 km) || ||<-3><:>'''승조원''' ||<-4>200명|| ||<-3><:>'''길이''' ||<-4>123.5 m || ||<-3><:>'''폭''' ||<-4>14.1 m || ||<-3><:>'''흘수''' ||<-4>4.6 m || ||<:><|6>'''전자장비''' ||<-2><:>'''레이더''' ||<-2>1 x MR-310A Angara-A/Head Net-C 대공/대수상 3차원 레이더 ||<-2>MR-755 Fregat-M/Half Plate 대공/대수상 3차원 레이더|| ||<-2><:>'''소나''' ||<-2>MG-332/Titan 2/2T 선저소나[br]MG-325 Vega 가변심도 견인소나||MGK-345 Bronza/Ox Yoke LF 선수소나[br]Ox Tail LF 가변심도 소나||MG-332/Titan 2T 선저소나[br]MG-325 Vega 가변심도 견인소나|| ||<|3><:>'''사격통제'''||<:>'''대잠'''||<-4>Purga 시스템 || ||<:>'''대함''' ||<-2>2 Drakon/Eye Bowl SS-N-14 통제 레이더 ||SS-N-14제거로 제거||2 Drakon/Eye Bowl SS-N-14 통제 레이더 || ||<:>'''대공''' ||<-4>2 MPZ-301 Baza/Pop Group SAM통제 레이더|| ||<-999><:>'''크리박급의 무장'''|| || ||<:>'''크리박-I급'''||<:>'''Project 1135.2'''||<:>'''크리박-II급''' ||<:>'''크리박-III급''' || ||<|2><:>'''대잠''' ||<-3>1 × 4 URK-5 ([[SS-N-14]] 사이렉스) 대잠/대함 [[미사일]] ||헬리콥터 탑재를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해 제거|| ||2 × [[RBU-6000]] 12연장 대잠 [[로켓]]||[[Kh-35]]로 대체||<-2>2 × [[RBU-6000]] 12연장 대잠 [[로켓]]|| ||<:>'''대함'''||1 × 4 URK-5 ([[SS-N-14]] 사이렉스) 대잠/대함 [[미사일]] ||2 × 1 [[Kh-35]] 발사관||1 × 4 URK-5 ([[SS-N-14]] 사이렉스) 대잠/대함 [[미사일]]|| || ||<:>'''대공''' ||<-4>2 × [[SA-N-4|Osa-MA]] SAM systems [[SA-N-4]] 게코 [[대공미사일]]|| ||<:>'''함포''' ||<-2>4 × [[AK-726|76 mm AK-726 함포]] (2×2)||2 × 1 [[AK-100 100mm 함포]] ||||1 × [[AK-100 100mm 함포]][br]2 × [[AK-630|AK-630 30mm CIWS]] || ||<:>'''어뢰''' ||<-999>2 × 4 533 mm [[어뢰]] 발사관|| ||<:>'''헬리콥터'''||<-3> ||[[Ka-27|Ka-27 Helix]] × 1|| == 함생 == === 건조 === 소련 해군에서 기존 [[리가급 호위함]]을 운용한 경험을 바탕으로 1950년대 후반부터 후계함급을 계발하였으며 1970년대에 이르러서는 크리박급 호위함의 초도함이 건조되었다. 기존 설계 대비 운용 목적만 동일하다고 볼 정도로 다른 함선이었으며 소련 해군의 주요 호위함으로 임무를 시작하게 되었다. 처음 크리박급이 그 모습을 드러냈을때 서방에서는 크리박급이 공세적인 수상작전을 위해 디자인 되었다고 생각하였지만 실제로는 크리박급은 당시 방어적 목적의 대잠 호위함으로 설계되었다. 이는 타국 주력 호위함 대비 더 빠르고 중무장한 모습이었기에 앞선 오해를 가져오기 충분하였던 상황이었던 것이라 볼 수 있다. 특히 [[크레스타급 순양함]]과 [[카라급 순양함]]과 같은 대형 함정 보다는 저강도 위협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저렴한 함정으로 설계되었으며 이로인해 크리박급은 전체적으로 기존 순양함급의 설계를 축소한 형태가 되었다. 만재 3,000톤급의 배수량의 설계는 기존 만재 1,000톤급의 호위함 대비 대형화되었으므로 여러 대책이 마련되었다. 두 개의 가스터빈엔진이 1개의 샤프트를 작동시키는 [[COGAG]] 방식의 추진방식을 채택했고 특이하게도 같은 출력의 엔진4개가 아닌 다른 출력을 가진 부스트용의 40,000축마력을 가진 M-8K 엔진 1쌍과 순항용의 14,950축마력을 가진 M-62엔진 1쌍을 탑재하였다. == 성능 == 함수에 위치한 SS-N-14 대잠/대함 [[미사일]]은 잠수함뿐만아니라 수상함도 타격할 수 있어 대잠 임무가 아닌 대수상 임무도 수행할 수 있다. 주무장인 함포는 크리박-I급에는 2연장의 AK-726 76 mm 함포, 크리박-II/III급에는 [[AK-100 100mm 함포]]로 무장하였다. || [[파일:INS Tabar firing an RBU rocket.jpg|width=100%]] || [[파일:Krivak_II_class_frigate,_masts_and_antenna.jpg|width=100%]] || || 대잠로켓 무장 || 레이더 무장 || [[RBU-6000]] 12연장 대잠로켓은 능동유도 방식의 탄두부분에 19.5 kg의 [[성형작약]]을 탑재하여 수심 1000 m 위에 있는 [[잠수함]]에 타격을 줄 수 있으며 [[어뢰]]나 잠수 요원을 상대로도 발사 가능하다. 레이더인 MR-310A Angara-A/Head Net-C은 약 180 km 탐지범위를 가진다. == 파생형 == === 크리박-I급 === || [[파일:Krivak_I_class_frigate_BDITELNY.jpg|width=100%]] || || 해군의 크리박-I급 호위함 || 초기형 크리박급 호위함으로 76 mm 함포 4문과 함수 대부분을 차지한 4연장의 [[SS-N-14|SS-N-14 사이렉스]] 발사관이 특징이다. 1970년부터 1982년까지 총 21척이 취역되었다. === 크리박-II급 === || [[파일:Krivak_II_class_frigate,_port_beam_view.jpg|width=100%]] || || 해군의 크리박-II급 호위함 || 크리박-I급 호위함 주요 지적 사항이었던 76 mm 함포 대신 [[AK-100 100mm 함포]] 2문을 탑재하였고 [[소나]](VDS)가 개량 되었다. 1975년 부터 1982년까지 총 11척이 취역되었다. === 크리박-III급 === || [[파일: krivakIII-FSB.jpg|width=100%]] || || 해안경비대의 크리박-III급 호위함 || 해군의 군함이 아닌 [[해안경비대]] 운용 목적의 무장 변경 함정이다. 함수의 [[SS-N-14]] 대잠/대함 미사일 발사관을 제거하고 함미에 있던 [[AK-100 100mm 함포]]를 1문으로 줄여 함수로 이동하였다. 함미에는 [[헬리콥터]] 탑재를 위한 데크와 격납고를 설치하여 대잠전 능력은 감소했지만 [[헬리콥터]]를 탑재할 수 있었고 [[AK-630|AK-630 30mm CIWS]]를 추가적으로 장착했다. 총 8척이 취역하였다. === 프로젝트 11352형 호위함 === 신형 함정이라기 보다는 기존 크리박-I급 호위함의 성능 개량형 함선으로 계획되었다. [[RBU-6000]] 대잠 [[로켓]]대신 [[Kh-35]] [[대함 미사일]]을 탑재하고 개량된 [[레이더]], [[소나]], [[ECM]]을 도입하였다. [[1990년]] ~ [[1992년]] 동안 초도 물량 4척의 크리박-I급을 개량하였으며 이후 나머지 크리박-I급의 개량이 계획되었지만 소련 해체 여파로 개량된 크리박-I급들은 NATO에 의해 분류하기 쉬운 크리박-IV급으로도 불렸다. === 운용 === [[소련 해군]]에서 총 40척이 가량이 운용 중인 상태로 [[소련 해체|소련이 붕괴]]되어 크리박급 호위함은 소련 해군을 이어 받은 개별적인 국가의 해군에 종속되게 되었다. 주요 전력화 당시 기준 32척은 소련 해군에, 8척은 [[KGB]] 산하의 [[해안경비대]]에 소속되었다. 함령이 노후화되며 최신 호위함이 작전하는 현대 전장에서 대부분이 퇴역한 상태에다 운용중인 숫자도 불명확하여, 현재는 초저강도 위협과 같은 상황에 대처하도록 상태 좋은 일부 함정만이 남아있다.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러시아]] : 총 4척을 운용, 해군에서 2척, [[FSB]] 산하 [[해안경비대]]에서 2척.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우크라나]] : 총 1척을 기함으로서 운용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발발 후 노획 방지 목적으로 자침시켰다. * [[파일:북한 국기.svg|width=23]] [[북한]] : 총 1척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나 운용 여부는 불투명하다.[* 북한의 크리박급 호위함 보유는 상당히 복잡하고 현재 진행형 문제이다. 최초 2004년 [[조선인민군 해군]]이 고철 용도로서 해군 전투함 설계의 크리박-I/II급도 아닌 해안경비대 함정이었던 크리박-III급을 들였으며, 굴릴만큼 굴려 잔존가치가 없어진 녹슨 고철 상태의 매물을 업자 상대로 국가가 나서 [[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4&pn=0&num=184824|매입]]했다. 당연히 수십년을 묵은 고철로 들어온거라 함포, 레이더, 미사일, 엔진들이 전부 철거된 빈 깡통이니 [[북한/경제|경제난]]와 [[조선인민군/열악한 현실|열악한 현실]]을 이기고 성공할 수 있을까 큰 관심을 받았다. 만약 실전에 배치된다면 북한 해군의 최대 함선인 [[나진급 구축함]]의 3배가 넘는 크기인 전투함이나, 현재는 이를 복구하기 위한 20년 가량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력화는 커녕 [[압록급 호위함]]이 대신 공개되었다.2022년 남포항에 계류되어있는걸 확인할수 있으며 무장이 전혀 없는 상태인걸로 보아 여전히 전력화는 여려운것으로 보인다.][* 이후 2023년 9월 15일자 VOA 코리아는 북한 해군의 압록급 호위함이 지난 1992년부터 크리박급의 마지막 함선으로 건조되다가 중단된 '크라스니 빔펠'함의 선체를 입수, 제작된 것이라고 [[https://www.voakorea.com/a/7269011.html|보도했다]].] 본 크리박급 호위함의 운용 경험과 설계 능력을 바탕으로 [[인도 해군]]의 [[탈와르급 호위함]]이 설계되었고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호위함]]의 설계로 최종 발전하였다. == 크리박급 호위함 목록 == ||<:>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퇴역''' ||<:> '''기타''' || ||||||||||||||||<:> {{{#ffffff '''Project 1135/크리박 I''' 21척}}} || ||||||||||||||||<:>'''칼리닌그라드, 얀타르 조선소'''|| ||<:> 1 ||<:> Bditelnyy ||<:> 1968.7.21 ||<:> 1970.3.28 ||<:> 1970.12.31 ||<:> 1996년 퇴역 ||<:> || ||<:> 2 ||<:> Bodryy ||<:> 1969.1.15 ||<:> 1971.4.28 ||<:> 1971.12.31 ||<:> 1997년 퇴역 ||<:> || ||<:> 3 ||<:> Svirepyy ||<:> 1970.6.15 ||<:> 1971.1.27 ||<:> 1972.12.31 ||<:> 1993년 퇴역 ||<:> || ||<:> 4 ||<:> Silnyy ||<:> 1971.3.15 ||<:> 1972.8.29 ||<:> 1973.6.30 ||<:> 1994년 퇴역 ||<:> || ||<:> 5 ||<:> Storozhevoy ||<:> 1972.7.20 ||<:> 1973.3.21 ||<:> 1973.12.30 ||<:> 2002년 퇴역 ||<:> 발레리 사블린 반란사건 발생 || ||<:> 6 ||<:> Razumnyy ||<:> 1972.6.26 ||<:> 1973.7.20 ||<:> 1974.9.30 ||<:> 1998년 퇴역 ||<:> || ||<:> 7 ||<:> Razyashchiy ||<:> 1972.9.28 ||<:> 1974.7.22 ||<:> 1974.12.30 ||<:> 1992년 퇴역 ||<:> || ||<:> 8 ||<:> Druzhnyy ||<:> 1973.10.12 ||<:> 1975.1.22 ||<:> 1975.9.30 ||<:> 2002년 퇴역 ||<:>박물관 개장계획이 있음[* [[https://en.wikipedia.org/wiki/Krivak-class_frigate]]] || ||||||||||||||||<:>'''케르치, 카미쉬 버룬(Kamysch-Burun) 조선소'''|| ||<:> 9 ||<:> Dostoynyy ||<:> 1969.8.11 ||<:> 1971.5.8 ||<:> 1971.12.31 ||<:> 1993년 퇴역 ||<:> || ||<:> 10 ||<:> Doblestnyy ||<:> 1970.12.30 ||<:> 1973.2.22 ||<:> 1973.12.28 ||<:> 1993년 퇴역 ||<:> || ||<:> 11 ||<:> Deyatelnyy ||<:> 1972.6.21 ||<:> 1975.4.5 ||<:> 1975.12.25 ||<:> 1995년 퇴역 ||<:> || ||<:> 12 ||<:> Bezzavetnyy ||<:> 1976.5.28 ||<:> 1977.5.7 ||<:> 1977.12.30 ||<:> 2000년 퇴역 ||[[타이콘데로가급]] USS Yorktown과 충돌 || ||<:> 13 ||<:> Bezukoriznennyy ||<:> 1978.7.12 ||<:> 1979.6.3 ||<:> 1979.12.29 ||<:> 2000년 퇴역 ||<:> || ||<:> 14 ||<:> Ladnyy ||<:> 1979.5.25 ||<:> 1980.5.7 ||<:> 1980.12.29 ||<:> 현역 ||<:> || ||<:> 15 ||<:> Poryvistyy ||<:> 1980.5.21 ||<:> 1981.5.16 ||<:> 1981.12.29 ||<:> 1994년 퇴역 ||<:> || ||||||||||||||||<:>'''레닌그라드, 즈다노프 조선소'''|| ||<:> 16 ||<:> Retivyy ||<:> 1974.6.12 ||<:> 1976.8.14 ||<:> 1976.12.28 ||<:> 1995년 퇴역 ||<:> || ||<:> 17 ||<:> Zadornyy ||<:> 1977.12.10 ||<:> 1979.3.25 ||<:> 1979.8.31 ||<:> 2005년 퇴역 ||<:> || ||||||||||||||||<:> {{{#ffffff '''Project 1135.2,1135.3(크리박 I개량)''' 4척}}} || ||||||||||||||||<:>'''레닌그라드, 즈다노프 조선소'''|| ||<:> 18[br](1) ||<:> Leningradskiy Komsomolets ||<:> 1974.4.22 ||<:> 1977.4.1 ||<:> 1977.9.29 ||<:> 2003년 퇴역 ||<:> || ||<:> 19[br](2) ||<:> Letuchiy ||<:> 1977.3.9 ||<:> 1978.3.19 ||<:> 1978.8.10 ||<:> 2005년 퇴역 ||<:> || ||<:> 20[br](3) ||<:> Pylkiy ||<:> 1977.5.6 ||<:> 1978.8.20 ||<:> 1978.12.28 ||<:> 2012년 퇴역 ||<:> || ||<:> 21[br](4) ||<:> Zharkiy ||<:> 1974.4.16 ||<:> 1975.12.3 ||<:> 1976.6.29 ||<:> 2002년 퇴역 ||<:> || ||||||||||||||||<:> {{{#ffffff '''Project 1135M/크리박 II''' 11척}}} || ||||||||||||||||<:>'''칼리닌그라드, 얀타르 조선소'''|| ||<:> 1||<:> Rezvyy ||<:> 1973.12.12 ||<:> 1975.5.30 ||<:> 1975.12.30 ||<:> 2001년 퇴역 ||<:> || ||<:> 2||<:> Rezkiy ||<:> 1974.7.28 ||<:> 1976.2.17 ||<:> 1976.9.30 ||<:> 1995년 퇴역 ||<:> || ||<:> 3||<:> Razitelnyy ||<:> 1975.2.11 ||<:> 1976.7.1 ||<:> 1976.12.31 ||<:> 2004년 퇴역 ||<:> || ||<:> 4||<:> Grozyashchiy ||<:> 1975.5.4 ||<:> 1977.2.7 ||<:> 1977.9.30 ||<:> 1995년 퇴역 ||<:> || ||<:> 5||<:> Neukrotimyy ||<:> 1976.2.22 ||<:> 1977.9.7 ||<:> 1977.12.30 ||<:> 2009년 퇴역 ||<:> [[2012년]] [[발트해]]에서 침몰 || ||<:> 6||<:> Bessmennyy ||<:> 1977.2.11 ||<:> 1978.8.9 ||<:> 1978.12.26 ||<:> 1998년 퇴역 ||<:> || ||<:> 7||<:> Gordelivy ||<:> 1977.7.26 ||<:> 1979.5.3 ||<:> 1979.9.20 ||<:> 1994년 퇴역 ||<:> || ||<:> 8||<:> Ryanyy ||<:> 1978.3.1 ||<:> 1979.9.1 ||<:> 1979.12.31 ||<:> 1997년 퇴역 ||<:> || ||<:> 9||<:> Revnostnyy ||<:> 1978.3.1 ||<:> 1979.9.1 ||<:> 1979.12.31 ||<:> 2003년 퇴역 ||<:> || ||<:> 10||<:> Pytlivyy ||<:> 1979.6.27 ||<:> 1981.4.16 ||<:> 1981.11.30 ||<:> 현역 ||<:> || ||<:> 11||<:>? ||<:> - ||<:> - ||<:> - ||<:> ? ||<:> || ||||||||||||||||<:> {{{#ffffff '''Project 11351/크리박 III''' 8척}}} || ||||||||||||||||<:>'''케르치, 카미쉬 버룬(Kamysch-Burun) 조선소'''|| ||<:> 1||<:> [[멘진스키]](Menzhinsky)[* 뱌체슬라프 멘진스키(Vyacheslav Menzhinsky)([[1874년]] 8월~ [[1934년]] [[5월 10일]]) [[러시아 제국]]의 [[공산주의]] 혁명가이자,[[소련 공산당]] 지도자로 [[스탈린]]의 [[대숙청]]에 참여했다.] ||<:> 1981.8.14 ||<:> 1982.12.31 ||<:> 1983.12.29 ||<:> 1998년 퇴역 ||<:> || ||<:> 2||<:> [[제르진스키]] ||<:> 1983.1.20 ||<:> 1984.3.20 ||<:> 1984.12.29 ||<:> 현역 ||<:> || ||<:> 3||<:> Oryol ||<:> 1983.9.26 ||<:> 1985.11.2 ||<:> 1986.11.1 ||<:> 현역 ||<:> || ||<:> 4||<:> [[프스코프]] ||<:> 1985.12.26 ||<:> 1987.2.18 ||<:> 1987.12.29 ||<:> 2002년 퇴역 ||<:> || ||<:> 5||<:> Anadyr ||<:> 1987.4.2 ||<:> 1988.3.2 ||<:> 1988.12.30 ||<:> 2002년 퇴역 ||<:> || ||<:> 6||<:> Kedrov ||<:> 1988.4.4 ||<:> 1989.4.30 ||<:> 1989.12.28 ||<:> 2002년 퇴역 ||<:> || ||<:> 7||<:> Vorovskiy ||<:> 1989.5.15 ||<:> 1990.7.28 ||<:> 1990.12.29 ||<:> 2017년 퇴역||<:> || ||<:> 8||<:> Hetman Sahaydachniy ||<:> 1990.10.5 ||<:> 1992.3.29 ||<:> 1993.4.2 ||<:>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2022년 자침]]||<:>[[우크라이나군|우크라이나 해군]] 소속|| ||<:> -- 9 --||<:> Krasny Vympel ||<:> 1992.12.27 ||<:> - ||<:> - ||<:> 취소됨||<:>북한 해군 압록급 호위함의 선체로 활용|| == 기타 == 1975년에는 크리박-I급 호위함 "스트로제보이(Сторожевой)"에서 열렬한 볼셰비키주의자이자 [[정치장교]]였던 [[발레리 사블린]](Валерий Саблин)이 반란을 일으켰다. [[소비에트]] 정부와 자본주의 세계 간의 타협적 태도와 [[노멘클라투라|부패]]를 혐오한 인물로서의 신념은 부패한 관료주의 체제를 타도하겠다는 야망으로 커졌으며 [[소련 공산당]] 관료 집단들을 [[러시아 혁명|10월 혁명]]을 배신한 자로 간주하여 제거되어야 할 자로 경멸하던 생각을 행동으로 옮긴 것이었다. 사블린은 동료 알렉산더 세인과 함께 승조원들을 설득한 뒤 선상 반란을 일으켜 함선을 장악한 후 동쪽의 [[레닌그라드]]로 가서 제2의 [[10월 혁명]]을 시도하려고 하였으나 곧 진압되었다. 동료이자 공범인 알렉산더 세인은 10년형을 선고받았고 발레리 사블린은 사형에 처해졌다. 이 인상 깊은 내부 반란 사건은 냉전 당시였던 [[미국]]에도 알려져 [[톰 클랜시]]의 소설 [[붉은 10월]]에 큰 영감을 주었다. 운용 역사가 깊은 만큼 다양한 사건도 많이 겪었던 함선이다. 1988년에는 [[흑해]]에서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인 "요크타운(USS Yorktown)"과 크리박-I급 호위함 "베자베트니(Беззаветный)"가 충돌하는 사고가 있었다. 1990년대에는 우리나라에서 크리박급을 고철로 수입하여 해체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함선)]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해안경비대 함선)]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include(틀:현대전/북한 함선)] == 관련 문서 == * [[군사력]] * [[호위함]] * [[국가별 해군]] * [[무기 관련 정보]] [[분류:호위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소련군/장비]][[분류:러시아군/군함]][[분류:우크라이나군/군함]][[분류:1970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