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 [[유희왕]]의 마법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CrossAttack-OW.png|width=450]] || 한글판 명칭 ||'''크로스 어택'''|| || 일어판 명칭 ||'''クロス・アタック'''|| || 영어판 명칭 ||'''Cross Attack'''|| ||<-2> 일반 마법 || ||<-2>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같은 공격력을 가진 몬스터 2장을 선택하고 발동한다. 이 턴, 선택한 몬스터 중 1장은 상대 플레이어를 직접 공격할 수 있다. 다른 1장의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다.|| [[유희왕 ZEXAL]]에서는 [[츠쿠모 유마]]가 [[텐조 카이토]]와의 1차전에서 사용. 오버레이 유닛을 1개 제거해서 공격력을 500 올린 [[No.17 레비아단 드래곤]]과 [[No.39 유토피아]]가 있을 때 발동하였다. 이후 [[쿠니타치 카케루]]와의 듀얼에서 사용. [[주바바 나이트]]의 직접 공격을 위해서 발동했다. 이 카드의 앞에서 두 팔을 X자로 하고 있는 캐릭터는 [[통한의 호소]] 등 다른 카드의 일러스트에도 출연 중이다. 또한, 뒤에서 포즈를 잡고 있는 캐릭터 역시 유마가 사용한 다른 카드의 일러스트에도 그려져 있는 녀석이다. 단, 그 카드가 발매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는게 함정. === [[유희왕/OCG|OCG]]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5119_1.jpg]] || 한글판 명칭 ||'''크로스 어택'''|| || 일어판 명칭 ||'''クロス・アタック'''|| || 영어판 명칭 ||'''Cross Attack'''|| ||<-2> 일반 마법 || ||<-2>자신 필드 위에 앞면 공격 표시로 존재하는, 같은 공격력을 가진 몬스터 2장을 선택하고 발동한다. 이 턴에, 선택한 몬스터 1장은 상대 플레이어에게 직접 공격할 수 있다. 나머지 1장의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다.|| [[빛의 충격파]]에서 OCG화. 자신 필드의 공격력이 동일한 몬스터 2장을 대상으로 지정하는 마법 카드로, 한 쪽의 공격을 포기하는 대신에 다른 쪽의 몬스터가 직접 공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효과를 해결할 때 대상으로 선택한 몬스터 중 1장이라도 필드에서 벗어나게 되었을 경우, 직접 공격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재정이 나와있기 때문에 주의할 것. 이 카드를 발동한 이후에 다른 한 쪽의 몬스터의 공격력이 변경되거나 몬스터가 필드에서 벗어나도 직접 공격 가능하다는 재정이 있다. 일단 이 카드를 쓰기 위해서는 덱에 넣는 몬스터의 공격력을 일치시키거나, 다른 카드와의 콤보를 이용하는 등의 아이디어를 구상할 필요가 있다. 덱에 공격력이 동일한 몬스터를 넣어도 그것을 동시에 나열시키려는 노력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사실, [[기계 복제술]], [[트라이 저주받은 하인 존]], [[동성동명동맹]] 등의 같은 이름의 몬스터를 전개시켜주는 카드를 사용하면 발동 조건을 맞추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 이런 카드로 전개되는 몬스터들의 공격력은 낮은 경우가 많아서 직접공격하는 의미가 없어진다. 저주받은 하인 덱에서는 훨씬 편하게 [[광학위장 아머]]를 쓸 수 있지만. 아니면 직접 공격하는 몬스터의 화력을 올리기 위해 [[물려받은 힘]]을 이용해서 공격 선언할 수 없는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직접 공격하는 몬스터의 공격력을 배로 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다른 카드로는 [[레스큐 래빗]]의 효과를 써서 같은 이름의 몬스터를 전개하는 방법도 있다. 같은 이름의 몬스터에 집착하지 않는 방법 중에는 [[궁극 시계신 세피론]]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세피론 자체의 공격력 4000에, 효과로 되살리는 몬스터의 공격력이 4000이 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공격력 4000의 몬스터 2장을 놓을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총 공격력 8000 중에서 절반을 포기하고 4000으로 직접 공격하는 꼴이 돼서 아쉬울지도 모른다. 혹은 [[천 제왕 아이테르]]의 효과로 공격력 2800의 몬스터를 리쿠르트하는 방법도 있기는 하다. 이 카드를 써먹기 위해서는 디메리트를 상쇄하여야 한다. [[배틀 왈츠]]를 쓴다면, 싱크로 몬스터와 공격력이 동일한 토큰이 나오게 된다. 이 토큰은 전투 데미지를 주지 못하니까 그나마 디메리트가 덜 아깝게 느껴질 수도 있다. 혹은, [[흑염탄]]을 발동한 후의 [[붉은 눈의 흑룡]]이라면, 공격 선언을 어차피 할 수 없으므로 다른 동일한 공격력의 몬스터를 놓아서 직접 공격할 수도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JP048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EN048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빛의 충격파]] ||PHSW-KR048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관련 카드 == === [[혼신의 일격]] === === [[타오르는 투지]] === === [[통한의 호소]]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혼신의 일격, version=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