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FC/간략)] [include(틀:스코티시 프리미어십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D2C5A 5%, #00003E 5%, #00003E 10%, #1D2C5A 10%, #1D2C5A 15%, #00003E 15%, #00003E 20%, #1D2C5A 20%, #1D2C5A 25%, #00003E 25%, #00003E 30%, #1D2C5A 30%, #1D2C5A 35%, #00003E 35%, #00003E 40%, #1D2C5A 40%, #1D2C5A 45%, #00003E 45%, #00003E 50%, #1D2C5A 50%, #1D2C5A 55%, #00003E 55%, #00003E 60%, #1D2C5A 60%, #1D2C5A 65%, #00003E 65%, #00003E 70%, #1D2C5A 70%, #1D2C5A 75%, #00003E 75%, #00003E 80%, #1D2C5A 80%, #1D2C5A 85%, #00003E 85%, #00003E 90%, #1D2C5A 90%, #1D2C5A 95%, #00003E 95%);" {{{#ffffff '''크레이그 고든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SFWA 올해의 선수 #s-2|[[파일:SFWA-logo-mast.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529f; font-size: 0.9em;" [[SFWA 올해의 선수 #s-2|{{{#fff '''SFWA 올해의 선수'''}}}]]}}} ||<-3>2005-06 · 2014-15 · 2021-22 || ||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올해의 선수 #s-2|[[파일:스코티시 프리미어십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52A6E; font-size: 0.7em"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올해의 선수 #s-2|{{{#ffffff '''2021-22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올해의 선수''' }}}]]}}}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파일:PFA Scotland.jp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D2C5A; font-size: 0.9em;"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fff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 ||<-3>[[틀:2014-15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2014-15]] · [[틀:2021-22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2021-22]] || }}}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든2021.png|width=100%]]}}} || ||<-2><#a0122d> {{{#f6bf5f '''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FC No.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bf5f; font-size: .8em" {{{#a0122d '''C'''}}}}}} || ||<-2> {{{#a0122d,#f6bf5f '''{{{+1 크레이그 고든}}}'''[br] '''Craig Gordon'''}}} || || {{{#f6bf5f '''본명'''}}} ||크레이그 싱클레어 고든 [br] Craig Sinclair Gordon || ||<|2> {{{#f6bf5f '''출생'''}}} ||[[1982년]] [[12월 31일]] ([age(1982-12-31)]세) ||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 || {{{#f6bf5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include(틀:국기, 국명=스코틀랜드)]) || || {{{#f6bf5f '''신체 조건'''}}} ||193cm, 83kg || || {{{#f6bf5f '''포지션'''}}} ||[[골키퍼]] || || {{{#f6bf5f '''주발'''}}} ||왼발 || || {{{#f6bf5f '''유소년 클럽'''}}} ||[[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FC]] (2000~2003) || || {{{#f6bf5f '''소속 클럽'''}}} ||'''[[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FC]] (2001~2007)'''[br]→ {{{-1 [[카우덴베스 FC]] (2001~2002 / ^^임대^^)}}} [br]'''[[선덜랜드 AFC]] (2007~2012)'''[br]'''[[셀틱 FC]] (2014~2020)''' [br] '''[[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FC]] (2020~ )''' || || {{{#f6bf5f '''국가대표'''}}} ||74경기[* 2022년 11월 17일 기준.]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스코틀랜드]] / 2004~ )^^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코틀랜드]]의 축구선수. [[골키퍼]]이며 현 소속팀은 [[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FC]]이다. [[데이비드 시먼]]의 은퇴 이후 잉글랜드에서 마땅한 주전 골리를 찾지 못하고 헤매는 사이 [[영연방]] 최고의 골키퍼라는 수식어가 붙었던, 2000년대 후반, 2010년대 초중반에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활약한 후 현재까지도 스코틀랜드의 주전 수문장 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대기만성형 골키퍼. == 플레이 스타일 == 40살이 다 되어가는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한 기량을 선보일 만큼 자기관리가 뛰어난 선수지만, 전성기 시절 잔부상이 많았던 선수다. 동물적인 반사신경을 통한 슈퍼세이브, 큰 키를 이용한 공중볼 처리 등 좋은 기량을 갖추었지만, 부상이 잦은 2010년대 후반부터 폼이 감소하는 듯 했다. 하지만, 좋은 몸관리를 통해 현재까지도 예전의 폼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선방력은 전성기에 비해서는 감소한 편. == 클럽 경력 == === [[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FC]] 1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UxNODc4MjQ1MTA=.jpg|width=100%]]}}} || [[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FC|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유스 출신으로 2002년 10월 6일, [[리빙스턴 FC|리빙스턴]]을 상대로 프로에 데뷔했다. 이후 6시즌을 소화하며 뛰어난 재능으로 주목받았으며, 차세대 스코틀랜드 수문장으로 거듭나기에 이르었다. === [[선덜랜드 AF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_methode_times_prodmigration_web_bin_5b4b2a77-6752-38a1-8e63-5f5df081a742.jpg|width=100%]]}}} || 자국 무대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선보인 고든은 2007년 8월,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프리미어리그]]에 진출해 [[선덜랜드 AFC|선덜랜드]]로 이적했다. 이적료가 900만 파운드(약 169억원)이었으며, 이는 당시 영국 축구 사상 가장 비싼 골키퍼였다.[* 2011년 [[데헤아]]가 [[맨유]]로 이적하면서 이 기록은 깨지게 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Rlh8K_6cbE)]}}} || || '''{{{#fff EPL 역사상 최고의 세이브로 알려진 볼턴 원더러스전 선방장면}}}''' || 고든은 선덜랜드에서도 인상적인 활약을 이어가며 주전 골키퍼로도 활약했다. 특히 2010년 12월 18일 [[볼턴 원더러스 FC|볼턴]]과의 경기에서 [[잿 나이트]]의 슛을 동물적인 반사신경으로 막아내는 장면은 현재까지 회자가 될 정도로 역대급 선방이었다. 그러나 부상이 그의 발목을 잡게 됐는데[* 2008-09 시즌에도 무릎 부상으로 수개월간 결장하면서 백업이었던 마르틴 풀롭이 한동안 경기에 나서기도 했다.], 2010년 팔 골절, 2011년 십자인대가 파열되는 등 여러 큰 부상을 당하면서 오랜 기간동안 나오지 못했고, 그러는 사이 주전에서 밀려버리고 말았다. 이 때 고든을 밀어내고 선덜랜드의 주전 수문장을 찼던 골키퍼가 바로 [[시몬 미뇰레]]. 워낙 큰 부상을 자주 당한지라 2012년 여름 계약만료로 선덜랜드를 나온 이후 두 시즌을 무적 신세로 지냈으며, 고든 역시 당시 선수로 돌아갈 가능성이 거의 없고 코치로 축구 생활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만 30세도 되지 않은데다 비교적 롱런하는 포지션이라는 골키퍼가 필드 플레이어 기준으로도 한창인 나이에 은퇴를 거론했다는 것부터가 얼마나 부상으로 고생이 심했는지 느낄 수 있는 대목. 고든은 실제로 스코틀랜드 하부리그 팀인 [[덤바턴 FC|덤바턴]]에서 코치 생활도 하면서 선수 생활을 접는듯 보이기도 했으나, 2013-14 시즌 중 [[레인저스 FC|레인저스]]에서 훈련을 받으며 선수 복귀 가능성을 타진해 팬들이 다시 고든을 주목하기 시작했다. === [[셀틱 F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_93865819_13260739.jpg|width=100%]]}}} || 결국 레인저스와 계약이 이루어지진 않았으나 2014-15 시즌을 앞두고 [[셀틱 FC|셀틱]]과 계약하며 전격적으로 현역에 복귀하게 되었다. 셀틱 입장에서는 부동의 주전이던 [[프레이저 포스터]]가 [[사우스햄튼 FC|사우스햄튼]]으로 이적하면서 골키퍼 자리에 공백이 생겼기 때문에, 전성기 시절 기량만큼은 확실했던 고든을 영입한 것. 2년간 뛰지 못했기 때문에 기량 저하와 실전감각 부족 등의 문제로 우려하는 팬들도 많았지만, 고든은 녹슬지 않은 기량을 선보이며 곧바로 주전 수문장 자리를 꿰찼고, 셀틱이 5시즌 연속 리그 우승을 하는데 일조를 했으며, 본인도 스코틀랜드 챔피언십 올해의 팀에 선정되며 화려한 부활을 알렸다. 다만 노쇠화가 진행되면서 2018-19 시즌에는 후반기 들어 세컨 키퍼였던 [[스콧 베인]]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고, 2019-20 시즌에는 임대로 합류한 [[프레이저 포스터|포스터]]에게 밀리면서 백업으로 완전히 밀렸다. 나이는 어쩔 수 없는 모양. 그러나... === [[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FC]] 2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_methode_times_prod_web_bin_e31bb386-1d5d-11eb-8696-f5d5fcef88fd.jpg|width=100%]]}}} || 2020년 여름, 13년만에 자신의 친정팀이었던 하트 오브 미들로시언으로 복귀하더니 불혹을 앞둔 38살의 나이에 주전으로 맹활약하며 노익장을 과시하고 있다. 나이를 잊은 활약 덕분에 아직까지도 국가대표 명단에 이름을 올리고 있는 건 덤. 비록 국대에서는 [[데이비드 마셜]]에 이은 세컨 키퍼지만 은퇴를 해도 이상하지 않을 나이에도 대표팀 승선을 하고 있다는 것 자체가 대단한 일이다. 그리고 유로 2020 최종명단에도 이름을 올리며 만 38세의 나이로 생애 첫 메이저 대회에 출전하게 되었으며, 이와 함께 유로 2020에 출전하는 선수들 중 최고령 선수로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2021-22 시즌, 하츠를 리그 3위 자리에 올려놓은 일등공신이며 이 활약으로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에 선정되었다. 또한 스코틀랜드 축구기자협회와 [[스코티시 프로페셔널 풋볼 리그]]에서 선정한 올해의 선수상도 수상했다. 6월 9일,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올해의 팀에 선정되었다. 2022년 12월 24일, 리그 18R [[던디 유나이티드 FC|던디 유나이티드]]와의 경기에서 상대 공격수 [[스티븐 플레처]]와의 충돌로 다리가 이중 골절되는 끔찍한 부상을 당하면서 안타깝게도 시즌을 마감하고 말았다. == 국가대표 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_JS247692041.jpg|width=100%]]}}} || 2002년 U-21 대표팀에 데뷔했고, 2003년까지 5경기를 소화했다. 이후 자국의 촉망받는 유망주로 이름을 날리며 2004년 5월 30일,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국가대표팀|트리니다드 토바고]]와의 홈경기에서 성인 대표팀 데뷔까지 성공한다. 곧바로 자국의 넘버원으로 거듭났고, 유로 2008 지역예선에서도 주전으로 활약하며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열린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전에서 수차례 선방은 몰론이고 제임스 맥파든의 결승골을 어시스트하며 1:0 승리에 큰 역할을 했다. 덕분에 팀은 프랑스를 상대로 무실점으로 2전 2승을 거두는 이변을 연출하며 예선 10차전까지 선두를 달렸으나 승점 2점만 보태도 본선진출이 확정되는 남은 두 경기에서 [[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조지아]]와의 원정경기에서 0:2패,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전와의 홈경기에서 1:2로 연달아 패하며 거짓말같이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010년부터는 연이은 부상으로 [[앨런 맥그레거]], [[데이비드 마셜]]에게 한동안 주전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그렇게 점점 잊혀져 갈때쯤 셀틱에서 화려하게 복귀에 성공하며 다시 A대표팀에 이름을 올리게 됐고, 2017년에는 러시아 월드컵 지역예선 기간동안 주전으로 출전했다. 이후에는 다시 마셜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며 서브 키퍼로 밀려났고, 대표팀이 23년만에 출전한 국제 메이저 대회 [[UEFA 유로 2020]] 최종명단에 승선하며 본선 출전 선수 중 최고령 선수로 이름을 올리게 되었지만 본선 3경기 모두 벤치를 지켜야했다. 그러나 대회를 마친 뒤 마셜이 소속팀에서 서브로 밀려나자 9월부터는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유럽)/F조|카타르 월드컵 지역예선]]에서 주전 키퍼로 팀의 약진을 이끌며 플레이오프 진출에 힘을 보탰다. 그리고 이듬해 6월 2일[* 본래는 3월에 예정되어 있었으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경기가 연기되었다.],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우크라이나]]와의 대망의 플레이오프 경기에도 선발로 나섰지만, 팀은 상대 우크라이나의 강한 정신력과 월등한 개인기량, 결정적으로는 여전히 고질적인 문제점인 한숨 나오는 골결정력과 치명적인 수비력 문제를 여실히 드러내며 홈경기 임에도 불구하고 1:3으로 패하면서 그렇게 고든의 마지막 월드컵 도전기는 마무리되었다. 사실 고든 입장에서도 뭐 어떻게 해볼 수 없는 상황이었던게, 핵심 수비수인 [[키어런 티어니]]의 부재와 팀의 키맨인 [[앤드류 로버트슨]]이 고된 시즌 일정으로 인해 과부하를 드러냈고, 나머지 수비진들도 덩덜아 붕괴됐던 터라 좋은 경기력을 보일 수 없었다. 불과 작년까지 예선에서 훌륭한 행보를 보이다가 결정적인 순간에 홈에서 무기력한 경기를 보였기에 더욱 아쉬운 부분. 이후 네이션스 리그 3연전에 모두 선발로 나서면서 여전히 대표팀 넘버원 위치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당장 이번 시즌 스코틀랜드 리그 베스트 골키퍼였기에 아직 기량적인 부분은 문제가 없어 감독이 세대교체를 단행하거나, 본인 스스로 은퇴를 천명하지 않는 한 다가오는 [[UEFA 유로 2024]] 참가에 도전할 것으로 보인다. == 여담 == * 슬하에 네 아이[* 2남 2녀, 장남과 차남은 2021년과 2022년에 태어난 연년생이다.]를 둔 [[다둥이]] 아버지이다. 그 중 넷째인 막내는 고든의 A매치 경기날 아침에 태어났다고 한다. == 수상 == === 대회 기록 === * [[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FC]] (2001~2007 / 2020~ ) * [[스코티시 챔피언십]]: 2020-21 * [[스코티시컵]]: 2005-06 * [[셀틱 FC]] (2014~2020) *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 [[스코티시컵]]: 2016-17, 2017-18 * [[스코티시 리그컵]]: 2014-15, 2016-17, 2017-18, 2018-19, 2019-20 === 개인 수상 === *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 2014-15, 2021-22 *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올해의 선수]]: 2021-22 *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올해의 팀]]: 2014-15, 2021-22 * [[스코티시 프리미어 리그]] 올해의 영플레이어: 2003-04 * [[스코티시 프리미어 리그]] 이달의 영플레이어: 2003년 12월 * [[SFWA 올해의 선수]]: 2005-06, 2014-15, 2021-22 * SFWA 올해의 영플레이어: 2003-04 * SFWA 올해의 국가대표 선수: 2009-10 *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공로자 명단]]: 2017 * [[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FC]] 명예의 전당: 2009-10 == 같이 보기 == [include(틀: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FC)] [include(틀: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include(틀: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UEFA 유로 2020))] [[분류: 1982년 출생]][[분류:2001년 데뷔]][[분류:스코틀랜드의 축구선수]][[분류: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FC/현역]][[분류:카우덴베스 FC/은퇴, 이적]][[분류:선덜랜드 AFC/은퇴, 이적]][[분류:셀틱 FC/은퇴, 이적]][[분류:스코틀랜드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20 참가 선수]][[분류:에든버러 출신 인물]][[분류:골키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