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스마트 디바이스]] [목차] [[파일:quickchargeREV2019.gif]] == 개요 == [[퀄컴 스냅드래곤]] AP를 탑재한 스마트폰 한정으로 제공되는 급속 충전 기술이다. [[https://www.qualcomm.com/products/features/quick-charge|공식 사이트]] 표준 방식은 아니지만, 플래그십 안드로이드폰의 상당수에 Snapdragon AP가 들어가 있는 만큼, [[사실상 표준|가장 대중적이고 널리 알려졌던 급속충전 방식이다.]] 대략 2015년부터 2020년 즈음까지 고속충전의 기준 지위가 유지되었으며, 이후 고속충전 규격으로 [[USB PD]] 방식이 도입되고, 삼성전자에서 퀵차지 지원을 하지 않으면서, [[LG전자/MC사업부|LG Mobile]]이 망하면서, [[MediaTek]] AP를 채택한 기기들이 늘어나면서 예전만큼 Quick Charge를 지원하는 기기들을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다. == Quick Charge 1.0 == 2013년 2월에 공개했다. 기존 충전기보다 40%가량 향상된 충전 효율을 보여 준다. 출력 전압은 5V이며, 2A로 전류(A)를 늘리는 방식으로 충전 효율을 증가시킨다. 최대 10W까지 지원. 현재는 일반 충전, 유선충전의 수준이다. == Quick Charge 2.0 == 5V, 9V, 12V 최대 '''18W'''를 지원하는 급속 충전 규격이다. [[퀄컴 스냅드래곤]] 800, 801, 805, 808과 [[퀄컴 스냅드래곤/8XX 라인업/810(MSM8994)|810]]을 지원한다. 3300mAh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한 기기를 기준으로, 퀵차지 2.0은 60%까지 충전하는 데 대략 30분이 걸리며, 퀵차지 1.0은 동일한 시간에 30%, 일반 충전(5V 1A)으로는 동일한 시간에 12% 충전에 그친다는 퀄컴의 주장이 있다. 그러나 실제 충전을 해보면 실측 시간과는 다소 갭이 있을 수 있으니 정말 '''참고만''' 하기 바란다. 그래도 일반 충전에 비해 충전 시간이 매우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USB 충전기 자체는 25W 짜리도 있지만 QC2.0 스마트폰이 18 W까지만 지원하므로 충전이 더 빨라지지는 않는다. 샤오미의 신형 10,000 mA 보조배터리 [[미 파워 뱅크|Mi Powerbank Pro]]는 QC 2.0을 지원하고 있다.[* 다만 이거는 PLM01ZM만 해당이며, 현재 리뉴얼돼서 판매 중인 PLM03ZM은 퀵 차지 2.0은 물론 퀵 차지 3.0도 지원한다.] [[삼성전자]]의 모델 중 Snapdragon을 채택한 모델(PMIC 단에서 지원을 안 하는 S5 등 일부기기 제외)이나 [[갤럭시 S 시리즈]], [[갤럭시 노트 시리즈]]와 같이 엑시노스를 사용하더라도 로컬모델들에서 스냅드래곤을 채택하여 라이센싱을 맺은 모델의 경우(커널, PMIC단에서 호환성을 확보한 경우) Adaptive Fast Charging 지원만 표기되어 있더라도 퀵차지와 호환성을 가진다. == Quick Charge 3.0 == 2015년 9월에 발표한 기술. 배터리를 80% 충전하는 데 35분 정도면 충전이 가능하다. 충전기와 스마트폰 사이의 조율로 충전 전압을 3.6V에서 20V 사이에서 0.2V 단위로 가변해서 최적화할 수 있어서 에너지 손실과 발열량을 줄었다. 2.0보다 효율을 최대 38% 높였지만 전력은 최대 18W로 그대로 같아서 충전속도는 크게 늘어나지 않았다. 하지만 속속 나오는 12V 신형 퀵차지 3.0 충전기들의 경우 [[LG V20]]을 기준으로 번들로 주는 충전기(2.0 지원)와 90% 충전까지 13~20분 정도의 차이를 내는 등 어느 정도 개선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Snapdragon 430, 617, 650, 652, 820에서 지원되나, 퀵차지 2.0에서의 전례를 고려할 때 장치별로 지원 여부는 달라질 수 있다. 예로 삼성전자의 갤럭시 S 시리즈 중 [[갤럭시 S7]]과 그 이후 모델들은 삼성전자의 어댑티브 패스트 차징과의 형평성을 위해 퀵차지 2.0까지만 지원한다. 문제는 저 어댑티브 패스트 차징의 속도가 2.0과 별다를 게 없다는 것. 다음 버전인 Quick Charge 4.0 은 차세대 충전 규격인 USB-PD에 밀려서 버려진 규격이 됐으며 지원하는 기기나 충전기도 손에 꼽을 정도로 작아서 사실상 3.0 버전이 마지막 Quick Charge 규격 취급을 받고 있다. 2020년 현재 저가형 충전기는 Quick Charge 3.0, 고가형 충전기는 USB-PD 규격을 지원하는 것으로 완전히 굳어진 상태. == Quick Charge 4 == 2016년 11월 17일 Qualcomm이 Snapdragon 835와 함께 발표한 퀵차지 신기술이다. [[https://www.qualcomm.com/news/snapdragon/2016/11/17/qualcomm-quick-charge-4-five-minutes-charging-five-hours-battery-life|퀄컴 보도자료]] Quick Charge 4는 3.0보다 충전 속도가 20% 빨라졌으며, 30% 더 효율적으로 충전하고, 발열이 5도 더 낮아졌다. 0%에서 50%까지 15분 충전이 가능하다고 한다. Google은 Pixel 출시(16년10월) 이후 Android의 급속 충전 기술을 USB-PD만 쓰고 USB 규격에 맞지 않는 [[급속충전]] 기술은 쓰지 말도록 강력히 권고하였다. Qualcomm은 이에 순응하여 기존 Quick Charge 규격과는 호환성이 없지만 USB-PD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새로운 규격을 Quick Charge 4 기술로 발표하였다. USB-PD 규격을 준수하면서도 효과적인 배터리 충전을 위한 기능을 추가한 상위규격인 셈. 그러므로 굳이 퀵 차지 4 규격의 충전기가 아니라도 USB-PD 규격을 준수하는 충전기이기만 하면 다소 효율이 저하되기는 해도 고속충전이 가능하다. Quick Charge 4는 2017년 상반기 상용화 예정이다. USB-PD 규격에 비해 Quick Charge 4에서 추가된 기능은 충전 최적화와 배터리 보호 기능. 최적의 충전 효율을 위해 충전 전압과 전류를 스마트폰과 교섭하는 기능과 향상된 배터리 보호 기능으로 전압, 전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면서 여러 단계로 충전을 하며, 과충전을 보호하고, 더 최적화된 전압 설정값을 가진다. 그리고 듀얼 충전 기술로 인해 전류를 나눠서 충전하면 더 효율적으로 열을 발산하고,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만 Quick Charge 3.0 이하의 규격과 하위 호환성이 없다는 점 때문인지 Snapdragon 835 MSM8998을 탑재한 스마트 디바이스 중에서도 퀵 차지 4를 지원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대신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장치에서는 Quick Charge 3.0까지만 지원하게 하고 별도로 USB-PD 규격을 지원하게 해서 하위 호환성도 잡고 주류 규격도 지원하도록 하고 있다. == Quick Charge 4+ == 2017년 6월 1일 4를 발표하고 상당히 짧은 기간에 새로운 버전을 공개했다. 4의 장점을 더 개선한 버전이다. Quick Charge 4+는 Quick Charge 4 대비 온도를 3도 낮췄고 충전 속도는 15% 빨라졌으며 전력 효율 역시 30%가량 개선됐다. 0~50%까지 15분 만에 충전할 수 있고 5분 충전으로 5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퀵차지 2.0과 3.0 표준과 호환도 가능해졌다. 2개의 전원 관리 칩을 이용하는 '''Dual Charge'''는 충전 전류를 분할해 발열을 잡고 충전 시간을 단축하는 것으로 Quick Charge 4에도 적용된 것인데, 더욱 개선되며 온도를 3도 낮췄고 충전 속도도 빨라졌다. 온도가 낮은 곳으로 전류의 움직임을 지능적으로 분산하는 Inteligent Thermal Balancing 기술이 개선된 덕분인 듯하다. 또한 충전 기기와 단자의 온도를 체크하는 Advanced Safety 기술이 적용되어 충전 단자의 과열과 손상을 막아 준다. == Quick Charge 5 == 2020년 7월 27일 발표되었다.[[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6889|#]] == 지원 기기 == [[https://www.qualcomm.com/content/dam/qcomm-martech/dm-assets/documents/Accessory_List_QCOM_Quick_Charge_022823.pdf|지원 기기 목록(2023년 2월)]][* 공식 사이트를 통해, 접속 가능] ''''__Quick Charge 1.0 지원 기기__'''' 다수의 [[퀄컴 스냅드래곤]]을 탑재 기기들을 지원한다. 한국에서는 아직 [[급속충전]] 마케팅이 없었을 때, [[베가 R3]]가 2A를 이용한 급속충전을 주요 마케팅 포인트로 내세웠던 적이 있다. 삼성 갤럭시 기준으로 [[갤럭시 S III]]부터 10W 충전을 지원한다. ---- ''''__Quick Charge 2.0 지원 기기__'''' * [[Alcatel]] * [[알카텔 IDOL 4(제품군)#s-3.1|IDOL 4]] * [[알카텔 IDOL 4(제품군)#s-3.2|IDOL 4S]] * [[ASUS]] * [[ASUS ZenFone 2(제품군)#s-2.1|ASUS ZenFone 2]] * [[ASUS ZenFone 3(제품군)#s-2.1|ASUS ZenFone 3]] * [[ASUS ZenFone 3(제품군)#s-2.3|ASUS ZenFone 3 Ultra]] * [[블랙베리(기업)|Blackberry]] * [[블랙베리 프리브]] * [[모토로라|Motorola]] * [[모토로라 모토맥스]] * [[모토로라 모토 X#s-2.3.1|Moto X Force]] * [[모토로라 모토 X#s-2.3.2|Moto X Style]] * [[Fujitsu]] * [[후지쯔 Arrows NX 시리즈#s-2.3|Fujitsu Arrows NX F-05F]] * [[후지쯔 Arrows NX 시리즈#s-2.4|Fujitsu Arrows NX F-02G]] * [[Google]] * [[넥서스 6]] * [[HTC]] * [[HTC Butterfly 시리즈#s-2.3|HTC Butterfly 2]] * [[HTC 디자이어#s-2.10|HTC 디자이어 EYE]] * [[HTC ONE M8]] * [[HTC ONE M9]] * [[교세라|Kyocera]] * [[교세라 토크]] * [[LG전자]] * [[LG G Flex 2]] * [[LG G4]] * [[LG V10]] * Nextbit * [[Nextbit Robin]] * Panasonic * [[파나소닉 루믹스 CM1]] * [[삼성전자]] * [[갤럭시 A8]] - KDDI au 모델만 해당 * [[갤럭시 S6]] 이후의 모든 [[갤럭시 S 시리즈]][* 단, [[갤럭시 S5]]의 일본 출시 모델도 지원] * [[갤럭시 노트4]][* [[갤럭시 노트 엣지]] 포함.] 이후의 모든 [[갤럭시 노트 시리즈]] * [[삼성 노트북 Pen S]] * [[Sony]] * [[엑스페리아 Z 시리즈]]: Z3 이후 출시모델 및 Z2 지역파생모델(SO-03F) [* Z3 같은 경우 일본 내수용은 가능하나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버전은 소프트웨어적으로 막아 놓았다. 마그네틱 도킹 충전을 하면 고속충전이라고 뜨나 실제는 일반 충전하는 것이다.] * [[엑스페리아 Z3 태블릿 컴팩트]] * [[엑스페리아 Z4 태블릿]] * [[엑스페리아 X 퍼포먼스]] * [[ZTE]] * Axon Pro * Axon Max, Z9 * [[ZTE Trek 2]] * [[Xiaomi]] * Mi3 * Mi4 * Mi4C * Mi Note * Mi Note Pro * Mi Powerbank Pro * Red Mi Note * Mi Max * 요타디바이스 * Yota Phone 2 * [[Microsoft]] * [[Lumia 950 XL]] * [[Lumia 950]] ---- ''''__Quick Charge 3.0 지원 기기__'''' * [[LG G5]][* 번들 충전기는 Quick Charge 2.0까지만 지원한다.] * [[LG V20]] * [[LG Q8]] * [[LG G6 ThinQ]] * [[LG V30 ThinQ]] * [[LG V30S ThinQ]] * [[LG SIGNATURE Edition]] * [[LG Q7]] * [[LG Q8(2018)]] * [[LG Q9]] * [[LG Q9 One]] * [[LG Q70]] * [[샤오미 Mi 시리즈#s-2.5.1|Mi 5]] * [[샤오미 Mi 시리즈#s-2.5.2.1|Mi 5s]] * [[샤오미 Mi 시리즈#s-2.5.2.2|Mi 5s Plus]] * [[샤오미 Mi 시리즈#s-2.6|Mi 6]] * [[샤오미 Mi Max|Mi MAX Pro]] * [[샤오미 Mi MIX|Mi MIX]] * [[POCO F1|샤오미 Pocophone POCO F1]] * [[Letv Le Max|LeTV Le MAX Pro]] * [[HTC]] - [[HTC 10|10]], [[HTC ONE 시리즈/기타 라인업#s-2.1.1|One A9]] * [[샤프 아쿠오스 S3]] * General Mobile GM5+[* 안드로이드 원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출시된 스마트폰.] * Elite x3 * NuAns NEO * Asus ZenFone 3 * Asus ZenFone 3 Deluxe * Asus ZenFone 3 Ultra * Lenovo ZUK Z2 Pro * Nubia Z11 * Nubia Z11 Max * TCL Idol4S * TCL Idol4S-VDF * Vodafone Smart platinum 7 * ZTE Axon 7 * [[엑스페리아 XZ|소니 엑스페리아 XZ]] * [[엑스페리아 XZ1|소니 엑스페리아 XZ1]] * Blackberry KEYone * Blackberry KEY2 * Blackberry KEY2 LE ---- ''''__Quick Charge 4 지원 기기__'''' * [[LG G7 ThinQ]] : QC 2.0 도 지원 * [[LG G8 ThinQ]] : QC 2.0 도 지원 * [[LG V40 ThinQ]] : QC 2.0 도 지원 * [[LG V50 ThinQ]] : QC 2.0 도 지원 * Redmi Note 7 * Redmi Note 7 Pro * ZenFone 6 * Lenovo Z6 Pro *[[Nothing Phone (1)]] *[[Nothing Phone (2)]] ---- ''''__Quick Charge 4+ 지원 기기__'''' * [[Razer Phone]] * [[Razer Phone 2]] * [[삼성]] [[갤럭시 A70]] * Mi 8 * Mi 8 Explorer Edition * Mi 8 Pro * [[Mi 9]] * Mi A2 * Redmi K20 * Redmi K20 Pro * [[LG V60 ThinQ]] * [[LG VELVET]] * [[샤오미 Mi 10 Lite 5G]] ---- ''''__Quick Charge 5 지원 기기__'''' TBD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급속충전, title=급속충전, version=717, paragraph=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