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드림웍스 장편 애니메이션)] [include(틀:쿵푸팬더 시리즈)] ||<-5> {{{+1 '''쿵푸팬더 4'''}}} (2024) [br] Kung Fu Panda 4 || ||<-5>{{{#!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쿵푸팬더4 메인 포스터.jpg|width=100%]]}}} || ||<-5>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북미 포스터 ▼ [[파일:쿵푸팬더 4 해외 포스터.jpg|width=100%]]}}} }}} || ||<-5> '''[[드림웍스 애니메이션|{{{#d49d3a 드림웍스}}}]]''' '''장편 애니메이션''' || || [[트롤: 밴드 투게더]] || → || '''쿵푸팬더4''' || → || [[와일드 로봇]] || || '''장르''' ||<-4>[[애니메이션]], [[액션]], [[코미디]], [[버디물]] || || '''감독''' ||<-4>마이크 미첼[* [[스카이 하이(영화)|스카이 하이]]&[[슈렉 포에버]]의 감독.], 스테파니 스타인 || || '''각본''' ||<-4>조나단 에이벨, 글렌 버거 || || '''제작''' ||<-4>레베카 헌틀리 || || '''기획''' ||<-4> || || '''촬영''' ||<-4> || || '''편집''' ||<-4>크리스토퍼 나이츠 || || '''음악''' ||<-4>[[한스 짐머]], 스티브 마자로 || || '''미술''' ||<-4> || || '''의상''' ||<-4> || || '''출연''' ||<-4>[[잭 블랙]], [[아콰피나]], [[비올라 데이비스]], [[더스틴 호프먼]], [[키호이콴]] 외 || || '''제작사''' ||<-4>[[드림웍스 애니메이션]]|| || '''배급사''' ||<-4>[[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유니버설 픽처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UPI 코리아]]|| || '''스트리밍''' ||<-4> || || '''제작 기간''' ||<-4> || || '''개봉일''' ||<-4>[[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2024년]] [[3월 7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4년]] [[3월 8일]][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2024년]] [[3월 28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4년]] [[4월 10일]] || || '''화면비''' ||<-4>1.85 : 1, 2.35 : 1 || || '''상영 타입''' ||<-4>[[2차원|2D]] | [[Dolby Cinema]] | [[4DX]] | [[ScreenX]][* 쿵푸팬더 시리즈 중 최초로 SCREENX 적용.] || || '''상영 시간''' ||<-4>94분 (1시간 33분 31초)[* 1편과 2편보다는 각각 2분, 3분씩 길고, 3편보다는 1분 짧다.] || || '''제작비''' ||<-4>'''8,500만 달러'''[* 쿵푸팬더 시리즈는 대부분 제작비가 1억 달러 이상이었는데, 이번편 한정으로 1억 달러 미만이며, 이번편은 아이맥스 포맷으로 개봉하지 않는다.] || || '''북미 박스오피스''' ||<-4>'''$188,827,635''' ^^(2024년 5월 7일 기준)^^ || || '''월드 박스오피스''' ||<-4>'''$520,987,635''' ^^(2024년 5월 7일 [[https://www.boxofficemojo.com/releasegroup/gr361583109/|기준]])^^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4>'''1,708,298명''' ^^(2024년 5월 9일 [[https://www.kobis.or.kr/kobis/business/main/main.do|기준]])^^ || || '''[[영상물 등급 제도|{{{#d49d3a 상영 등급}}}]]''' ||<-4>[[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파일:PG 로고.svg|height=20]]]]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전체 이용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width=30]] {{{#373a3c,#ddd 전체 관람가}}}]]'''[* [[ https://www.kmrb.or.kr/kor/CMS/TotalSearch/gradeResultView.do?mCode=MN132&site_code=&category_code=ORS&category_code2=MV&category_code3=&grade_name=%EC%A0%84%EC%B2%B4%EA%B4%80%EB%9E%8C%EA%B0%80&rcv_no=2432366&return_url=&searchKeyword=%EC%BF%B5%ED%91%B8%ED%8C%AC%EB%8D%94]] ]|| || '''링크''' ||<-4> || [목차] [clearfix] == 개요 == [[드림웍스]] 애니메이션 [[쿵푸팬더 시리즈]]의 4번째 장편영화. == 개봉 전 정보 == 2021년, [[미국]] 발 루머에 의하면 쿵푸팬더 4편의 제작이 거의 다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관련 루머에 의하면 4편에는 포의 아들이 등장하고[* [[쿵푸팬더 2|2편]]부터 [[타이그리스]]와 포의 연애 노선이 보이기는 했다. 본 세계관에서도 이종간의 교배는 안 되는데 아들이 나온다면 포의 배우자가 누가 될지 궁금해진다.], [[쿵푸팬더 3|3편]]의 [[카이(쿵푸팬더)|카이]]가 유출 루머에는 재등장한다고 하나 자세한 것은 불명. 2022년 8월 13일, 드림웍스 애니메이션 공식 [[X(SNS)|트위터]] 계정에 공식적인 제작 발표와 함께 4편 개봉 일자가 올라왔다. [[https://twitter.com/Dreamworks/status/1558181533055193088|#]] 2024년 3월 8일 개봉 예정. 영화의 대략적인 줄거리는 포가 평화의 계곡을 떠나 용의 전사의 역할을 대신할 새로운 후계자를 찾기 위해 대도시로 떠나야 하는 과정을 따라간다. 또한, 새로운 위협인 카멜레온과 대면하게 된다. 카멜레온은 여성 마법사로, 포가 상대했던 과거 악당들의 [[네크로맨서|영혼을 소환할 수 있다고 한다.]] [[https://collider.com/kung-fu-panda-4-plot-details/|#]] 포의 성우인 [[잭 블랙]]의 밴드 [[터네이셔스 D]]가 엔딩곡을 맡게 됐다. 12월 13일 영화 장면 몇 장, 포스터가 유출되었다. [[무적의 5인방]]이 본작에 돌아온다. [[https://collider.com/kung-fu-panda-4-villains-tai-lung/|#]]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쿵푸팬더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쿵푸팬더4 메인 포스터.jpg|width=100%]]}}} || || '''티저 포스터''' || '''메인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Kung Fu Panda Dolby Cinema.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Kung Fu Panda 4 ScreenX.jpg.jpg|width=100%]]}}} || || '''Dolby Cinema 포스터'''[* 한국 메인 포스터 배경에다가, 해외 메인 포스터(한국 티저 포스터)와 ScreenX 포스터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을 그대로 복붙했다. 대부분의 인물들은 구도까지 기울어져 있다.] || '''ScreenX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쿵푸팬더4 용의 전사 포.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쿵푸팬더4 젠.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쿵푸팬더4 빌런 카멜레온.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쿵푸팬더4 마스터 시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쿵푸팬더4 토끼들.jpg|width=100%]]}}} || ||<-5> '''캐릭터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돼지팬더.jpg|width=100%]]}}} || || '''Mr beast 특별출연 포스터'''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b0yAOYIvP1Y)]}}} || || '''1차 예고편''' || 1차 예고편에 나온 노래는 [[화이트 스트라입스]]의 노래인 [[Seven Nation Army]]를 중국풍으로 리믹스한 것으로 보인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kZfiTsfD1_U)]}}} || || '''듄듄한 팬더 컴백 예고편'''[* [[듄(2021)|듄]]을 패러디한 장면은 본편에는 나오지 않는다] || === 기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nWFLuCMSBL0)]}}} || || '''레전드 팬더 두둥 등장''' || == 시놉시스 == >'''오랜만이지! 드림웍스 레전드 시리즈 마침내 컴백!''' > >마침내 내면의 평화 냉면의 평화가 찾아왔다고 믿는 용의 전사 포 >이젠 평화의 계곡의 영적 지도자가 되고, 자신을 대신할 후계자를 찾아야만 한다. >이제 용의 전사는 그만둬야 해요? > >용의 전사로의 모습이 익숙해지고 새로운 성장을 하기보다 지금 이대로가 좋은 포 >하지만 모든 쿵푸 마스터들의 능력을 그대로 복제하는 강력한 빌런 카멜레온이 나타나고 >그녀를 막기 위해 정체를 알 수 없는 쿵푸 고수 젠과 함께 모험을 떠나게 되는데 >포는 가장 강력한 빌런과 자기 자신마저 뛰어넘고 진정한 변화를 할 수 있을까? == 등장인물 == * [[포(쿵푸팬더)|포]] - [[잭 블랙]] ([[엄상현]]) * [[핑(쿵푸팬더)|핑]] - [[제임스 홍]] ([[기영도]]) * [[마스터 시푸]] - [[더스틴 호프먼]] ([[김기현(성우)|김기현]]) * [[쿵푸팬더 시리즈/등장인물#s-2.2.1|리 샨]] - [[브라이언 크랜스턴]] ([[임채헌]]) * [[젠(쿵푸팬더)|젠]] - [[아콰피나]] ([[김나율]]) * [[무적의 5인방]][* 타이그리스, 맨티스를 제외한 나머지는 대사없이 잠깐 나오지만 타이그리스, 맨티스도 기합소리만 내고 제대로 된 대사가 없다.][* 국내 성우들이 바뀌었는데 기합소리만 내는거라서 중복으로 시키기위해서 잠깐 교체한걸로 보인다.] * [[타이그리스]] - [[안젤리나 졸리]] ([[이주은(성우)|이주은]])[* 작 중 언급에 따르면 먼곳으로 수행 갔다고 한다.] * [[무적의 5인방#s-3.2|몽키]][*성우미참여 대사없이 잠깐 나온다.] * [[무적의 5인방#s-3.3|크레인]][*성우미참여] * [[무적의 5인방#s-3.4|바이퍼]][*성우미참여] * [[무적의 5인방#s-3.5|맨티스]] - [[세스 로건]] ([[김희승(성우)|김희승]]) * [[타이렁]] - [[이언 맥셰인]] ([[안장혁]]) * [[셴(쿵푸팬더)|셴]][*성우미참여] * [[카이(쿵푸팬더)|카이]][*성우미참여] * [[카멜레온(쿵푸팬더)|카멜레온]] - [[비올라 데이비스]] ([[성선녀]]) * [[쿵푸팬더 시리즈/등장인물#s-2.3.1|한]] - [[키호이콴]] ([[박기욱]]) * [[쿵푸팬더 시리즈/등장인물#s-2.3.2|토끼 삼총사]] - 케케 발렌티나, 오드리 브룩, 링컨 나카무라 ([[신나리(성우)|신나리]], [[이눈솔]], [[이주은(성우)|이주은]]) * 할머니 멧돼지 - 로리 탄 친 ([[이눈솔]]) * [[쿵푸팬더 시리즈/등장인물#s-2.3.3|피쉬]] - 로니 챙 ([[김희승(성우)|김희승]]) * 스콧 - 핸리 셤 주니어 * [[쿵푸팬더 시리즈/등장인물#s-1.7|돼지팬더]] - [[MrBeast|제임스 도널슨]][* '''그 유명한 [[MrBeast]]이다!'''] ([[Jimmy]]) * [[쿵푸팬더 시리즈/등장인물#s-2.1.2|황소 사부]][*성우미참여] * [[쿵푸팬더 시리즈/등장인물#s-2.1.2|악어 사부]][*성우미참여] * 곰 사부[*성우미참여][* 3편에 잠시 등장했던 사부.]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어느 날 저녁 산양들이 일하는 광산에서 죽은 줄 알았던 [[타이렁]]이 공격해온다. 생각치도 못한 인물의 등장에 산양들은 혼비백산하여 도망가고, 곧이어 시점은 핑의 국수가게로 옮겨진다. 국수가게에서는 용의 전사 포와 함께 하는 신메뉴 공개 이벤트가 준비 중이었다. 약속 시간까지 포가 오지 않자 별 일 있겠냐는 리와 특유의 호들갑으로 걱정하는 핑의 대화가 오가고, 그 시각 포는 어떤 마을을 습격한 가오리를 물리치는 중이었다.[* 가볍게 연출되긴 하지만 이 가오리, '''아기 돼지 삼형제를 입 안에 넣고 있었다.''' 시리즈 사상 처음으로 동물들끼리 잡아먹는 묘사가 처음으로 등장한 것이다. 물론 인격체인 다른 수인들과는 달리 이 가오리는 철저히 짐승으로 표현되긴 했다.] 임무를 마치고 마을 사람들의 환대를 받으며 돌아온 포. 사인도 해주고 초상화 모델도 서주는 등[* 포와 함께 포즈를 잡고 있으면 왠 화가가 정신 나간 속도로(...) 초상화를 그려주는 이벤트. 흔히 볼 수 있는 스타와 사진 찍기 이벤트와 같은 맥락이다. 카메라가 없는 시대니까...] 다양한 팬서비스를 선보이지만, 결국 아까부터 계속 포를 찾는 시푸의 성화에 못 이겨 같이 제이드 궁전으로 올라간다. 시푸가 포를 찾은 이유는 다름 아닌 용의 전사의 후계자를 찾으라는 것. 이제 전사를 그만두고 우그웨이처럼 현자로서 마을의 정신적 지주가 되어라는 것이다. 포는 자신이 전혀 그럴만한 그릇이 못 되고 아직 용의 전사로서의 영웅 활동이 재밌어서 이를 거절하지만 시푸의 등살에 떠밀려 용의 전사 선발 대회를 열게 된다. 다양한 기술과 묘기를 선보이는 고수들이 많이 찾아왔지만 자리를 내 줄 생각이 없었던 포는 차기 용의 전사로 자신을 지목하고(...) 선발 대회는 별다른 의미없이 끝난다. 심란한 와중에 명상이 도움이 된다는 시푸의 조언에 따라 온갖 내면의 목소리와 싸워가며 애를 쓰던 순간, 포의 눈에 누군가 선현(先賢)을 모시는 전당에 침입하는 모습이 들어온다. 따라 들어온 포의 눈을 속여가며 각종 보물을 훔치던 침입자는 이내 우그웨이 동상에 모습이 반사되어 모습이 발각된다. 침입자의 정체는 바로 회색 여우 젠. 젠은 포를 조롱하며 날랜 몸놀림으로 지혜의 지팡이까지 훔치지만 이내 포의 꾀에 넘어가 포박되고 만다. 하지만 이송되는 와중에도 뻔뻔한 태도에다 타이렁의 재등장 소식을 듣고 조롱하는 등 포의 신경을 단단히 긁어놓는다. 얼마후 감옥을 방문한 포에게 젠은, 그 타이렁의 정체는 변장의 귀재인 카멜레온이란 작자이며 그녀의 소재를 알고 있다고 딜을 해온다. 젠을 믿기로 한 포는 주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그녀를 따라 카멜레온을 찾으러 떠난다. 한편 아들이 걱정돼 견딜 수 없었던 핑과 리는 포가 떠난 후 몰래 그 뒤를 밟는다. == 사운드트랙 == ||<-6>
{{{#d1a722 '''Kung Fu Panda 4''' }}} [br]{{{#d1a722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 || ||<-6>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파일:쿵팬4 사운드트랙.jpg|width=100%]]}}} || || {{{#d1a722 '''No''' }}} || {{{#d1a722 '''제목'''}}} || {{{#d1a722 '''아티스트 ''' }}} || {{{#d1a722 ''' 재생시간 '''}}} || {{{#d1a722 ''' 듣기 '''}}} || {{{#d1a722 ''' 비고 '''}}} || || 1 || Journey ||<|21> [[한스 짐머]], 스티브 마자로 || 1:52 || [[https://www.youtube.com/watch?v=zz0iHZfcMa0|[[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2 || Opening Day || 3:00 || [[https://www.youtube.com/watch?v=DU7BmjlkgK8|[[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3 || Tai Lung Has Returned || 1:53 || [[https://www.youtube.com/watch?v=o_cT5lC6s-A|[[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4 || No Footprint Too Small || 2:12 || [[https://www.youtube.com/watch?v=XNcMUDczE44|[[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5 || Juniper City || 1:29 || [[https://www.youtube.com/watch?v=OpEFWmqtNPI|[[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6 || A Den of Thieves || 0:54 || [[https://www.youtube.com/watch?v=8Kzk9P8k-PU|[[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7 || The Happy Bunny Tavern || 2:08 || [[https://www.youtube.com/watch?v=M4U0a5cN3Ew|[[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8 || Tavern Fight || 1:29 || [[https://www.youtube.com/watch?v=OadG2zToi1s|[[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9 || Looking for Po || 2:09 || [[https://www.youtube.com/watch?v=2ju2K2holBY|[[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10 || She Could Be Anyone || 2:46 || [[https://www.youtube.com/watch?v=CELDp3uJp8M|[[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11 || Sharing Stories || 1:49 || [[https://www.youtube.com/watch?v=ziHvV7450GI|[[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12 || Teach Me Your Kung Fu || 2:59 || [[https://www.youtube.com/watch?v=HqrS2_XPebw|[[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13 || A Different Path || 3:13 || [[https://www.youtube.com/watch?v=9bK5fO7tbTM|[[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14 || Who Are You Rooting For || 2:40 || [[https://www.youtube.com/watch?v=Rp9WCpc5FtE|[[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15 || I Am The Dragon Warrior || 2:25 || [[https://www.youtube.com/watch?v=oBRFeFEyU2E|[[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16 || You're Our Son || 1:35 || [[https://www.youtube.com/watch?v=fl1nlQlfjAc|[[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17 || My Master Plan || 1:13 || [[https://www.youtube.com/watch?v=uugqAr7mq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18 || Be the Pit || 2:40 || [[https://www.youtube.com/watch?v=i_6Lo_e7eUg|[[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19 || It's Pronounced Skadoosh || 2:31 || [[https://www.youtube.com/watch?v=47cLlk8tyj0|[[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20 || Inner Peace || 2:23 || [[https://www.youtube.com/watch?v=KzKIGMA05pU|[[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21 || Crazy Train || 2:05 || [[https://www.youtube.com/watch?v=ecft7LcGW1w|[[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22 || [[...Baby One More Time(싱글)|... Baby One More Time]] (from Kung Fu Panda 4) || [[잭 블랙]] || 3:13 || [[https://www.youtube.com/watch?v=abz-YvKjLgY|[[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원곡은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곡이다. 엔딩곡으로 사용되었다.] || == 평가 ==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IMDb=tt21692408, IMDb_user=6.4, IMDb_highlight=display, ## IMDb_list=, IMDb_rank=, ## IMDb_date=, 로튼토마토=kung_fu_panda_4, 로튼토마토_tomato=72, 로튼토마토_popcorn=86,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메타크리틱=kung-fu-panda-4/, 메타크리틱_critic=54, 메타크리틱_user=6.3,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kung-fu-panda-4, 레터박스_user=2.8,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 레터박스_list=, 레터박스_rank=, ## 레터박스_date=, ## 알로시네=306226, 알로시네_presse=, 알로시네_spectateurs=,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 MYmoviesit=kung-fu-panda-4, MYmoviesit_MYMOVIES=, MYmoviesit_CRITICA=, MYmoviesit_PUBBLICO=, ## MYmoviesit_highlight=display, 키노포이스크=5078842, 키노포이스크_user=6.7,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 야후재팬=, 야후재팬_user=, ## 야후재팬_highlight=display, Filmarks=114138, Filmarks_user=3.6, ## Filmarks_highlight=display, ## 도우반=26715496, 도우반_user=, ## 도우반_highlight=display, 무비스=fken21692408, 무비스_user=9.5, ## 무비스_highlight=display, 왓챠=m5GorkB, 왓챠_user=3.0, ##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12759, 키노라이츠_light=76.61, 키노라이츠_star=3.0,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네이버영화=쿵푸팬더4, 네이버영화_audience=7.20, ## 네이버영화_highlight=display, ## 네이버영화코드=, 네이버영화_audience=, ## 네이버영화코드_highlight=display, CGV=87948, CGV_egg=94, ## CGV_highlight=display, 롯데시네마=20703, 롯데시네마_user=9.4, ## 롯데시네마_highlight=display, 메가박스=23094900, 메가박스_user=8.6, ## 메가박스_highlight=display, MRQE=kung-fu-panda-4-m100147433, MRQE_user=48, ## MRQE_highlight=display, 시네마스코어=A-, ## 시네마스코어_highlight=display, TMDB=1011985-kung-fu-panda-4, TMDB_user=68, ## TMDB_highlight=display, ## 무비파일럿=, 무비파일럿_user=,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RogerEbertcom=kung-fu-panda-4-2024, RogerEbertcom_user=1.5, ## RogerEbertcom_highlight=display, ## MyDramaList=, MyDramaList_user=, ## MyDramaList_highlight=display, ## 라프텔=, 라프텔_user=, ## 라프텔_highlight=display, ## MyAnimeList=, MyAnimeList_분야=, MyAnimeList_user=, ## MyAnimeList_highlight=display, ## GooglePlay무비=, GooglePlay무비_user=, ## GooglePlay무비_highlight=display, ## 네이버시리즈온=, 네이버시리즈온_user=, 네이버시리즈온_heart=, ## 네이버시리즈온_highlight=display, ## JustWatch=kung-fu-panda-4, JustWatch_user=, ## JustWatch_highlight=display, ## 맥스무비=M000119568, 맥스무비_user=, ## 맥스무비_highlight=display, ## 씨네21=M000119568, 씨네21_expert=, 씨네21_user=, ## 씨네21_highlight=display, ## 갤럭시시네마=kung-fu-panda-4, 갤럭시시네마_user=, ## 갤럭시시네마_highlight=display, ## 파리부시네벌스=kung-fu-panda-4-filmi, 파리부시네벌스_user=, ## 파리부시네벌스_highlight=display, 엠파이어=kung-fu-panda-4, 엠파이어_user=3, ## 엠파이어_highlight=display, 인디와이어=kung-fu-panda-4-review-jack-black-1234959791, 인디와이어_user=B-, ## 인디와이어_highlight=display)] > Kung Fu Panda 4 offers enough eye-catching entertainment to sustain the franchise's young fans, although it's starting to feel like this series is running out of steam. > ---- > '''쿵푸팬더 4는 프랜차이즈의 젊은 팬들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눈길을 끄는 즐거움을 제공하지만, 이 시리즈는 활력이 떨어지는 것처럼 느껴지기 시작했습니다.''' > - 로튼 토마토 총평 > '''훈훈한 캐릭터만 남았다''' > - [[이용철]] '''(★★☆)''' > '''이제는 혹독한 수련 없이도 이르는 고수의 경지''' > - 유선아 '''(★★☆)''' > '''판다로 충분한데 강제로 덤을 주려 한다''' > - 최현수 '''(★★☆)''' > '''서운해도 탄력과 활력 덕분에''' > - [[박평식]] '''(★★★)'''[* 서운하다는 표현이 있지만 평론가들 중 가장 높은 점수를 주었다. 여담으로 박평식은 [[쿵푸팬더]]에는 '거꾸로 보고 뒤집어 생각하라' 라며 박평식 기준 고점인 7점(별 3개 반)을, [[쿵푸팬더 2]]에는 '귀염둥이의 고뇌라니'라며 5점(별 2개 반)을 준 바가 있다.] > '''[[푸바오]]도 가고, [[동열이도 없고, 종범이도 없고|쿵푸팬더도 가고]][* 사실 엄청난 엔딩 스포인데 젠이 새로운 용의 전사로 된것을 감안하면 포의 용의 전사는 끝났다는 의미로 받아질 수 있다.]''' > - [[이동진]] '''(★★☆)''' 예고편이 공개된 후 개봉 전부터 기존 쿵푸팬더 시리즈 팬들에게 반응이 별로 좋지 못했다. 스토리 자체가 뇌절이라는 느낌이 강하다는 점,[* 이미 포가 3편을 거쳐 용의 전사까지 되는 등 거의 성장과 스토리가 완성되었는데, 억지로 또 이어나가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 메인 빌런인 카멜레온이 전작 빌런들에 비해 비주얼과 등장씬 등이 포스가 부족하고 매력이 없어 보인다는 점, 그러면서 전작의 매력적이었던 빌런들을 맥없이 넉 아웃시켜버리고 [[전투력 측정기]]로 쓰는 점 등이 있다.[* 타이렁도 1편 후반부에서 포에게 농락당하며 망가지는 모습이 있었고, 3편에서는 카이에게 옥패로 봉인된 것까지 카메오로 지나가긴 했지만 그렇다고 해도 갑자기 등장한 신규 빌런에게 맥없이 리타이어하는 장면이 나온 것은 불호의 의견이 많다.] 게다가 [[셴(쿵푸팬더)|셴]]도 카멜레온이 변신한 모습으로 등장했는데, 나오자마자 셴도 타이렁처럼 카멜레온에게 전투력 측정기로 쓰이거나 어중간하게 갱생하는 등 캐릭터 망가지는 거 아니냐며 타이렁보다 더 크게 우려를 하였었다.[* 따지고 보면 타이렁은 앞서 말했듯 1편에서도 포에게 털리며 이미 개그캐로 망가지기도 했고 시푸와의 관계를 생각하면 갱생할 수도 있다고 치지만 셴은 완벽하게 등장해 깔끔하게 퇴장하여 시리즈를 넘어 드림웍스 빌런 중 가장 매력적인 빌런으로 꼽히기 때문에 망가지든 갱생되든 더 이상 건드리기 굉장히 까다로운 캐릭터이다.] 그나마 [[카이(쿵푸팬더)|카이]]의 경우는 타이렁이나 셴과 달리 여러모로 캐릭터성이 평면적인 탓에 매력이나 인기가 떨어져서 관심이 덜한 편. 또한 새로운 캐릭터 [[젠(쿵푸팬더)|젠]]의 경우 디자인이 너무 밋밋하고 개성이 없다는 의견이 많고, 본작의 포스터 역시 너무 성의없이 만든 티가 난다며 불호의 의견이 있다. 시리즈 마다 각각 '''현재''', '''과거''', '''미래'''를 상징하는 주제와 그에 비견되는 교훈을 가지고 있는데 4편은 그 주제와 교훈이 도통 모르겠으며 억지로 '현재에 안주하지말고 변화'를 받아들여라 라고 쳐도 이게 관객들에게 와닿지 않다는게 비판점이다. 로튼토마토 신선도가 70점 초반을 기록하고 있는데, 전편들에 비해 평론가 평이 낮아졌다. 관객 점수는 평론가 점수와는 반대인데, 86점으로 시리즈 작품 중 1위이다. 다만 전반적으로 평가는 그렇게 좋은 편이 아닌데, 예고편이 나왔을 때부터 예상된 우려와 혹평들이 여러 부분 들어맞았기 때문이다. 메인 빌런인 카멜레온의 경우 상대의 능력을 카피한다는 점과 시리즈 내 유일한 여성 빌런이라는 점 등으로 인해 내심 기대도 컸으나, 정작 실상은 카이보다도 빈약한 서사에 전작 빌런들을 [[전투력 측정기]]로 쓰다 보니 전편들의 빌런들 중 가장 평가가 나쁘다.[* 사실상 [[메리 수]] 캐릭터로 취급하는 의견도 있다.] 새로나온 주연 캐릭터인 젠의 경우도 꽤 호불호가 갈리는데, 이는 4편이 시리즈중 유일하게 버디무비로 포커싱을 잡아생긴 문제점으로, 젠의 분량은 본 작에서 포를 제외하면 가장 분량이 많고, 과거 스토리까지 세세하게 나오는 걸로 보이는데 이 젠의 스토리가 밋밋하고 지루하다는 평이 국내에서는 지적되는 문제점이다. 전작의 빌런들 역시 예상대로 대우가 상당히 좋지 않다. 타이렁, 셴, 카이 모두 카멜레온의 전투력 측정기로 쓰였으며, 그나마도 타이렁을 제외하면 나머지 둘은 비중도 짤막하고 대사도 전혀 없는 등, 사실상 등장하나 마나한 수준이다. 카이는 그렇다 치더라도 타이렁과 셴은 굉장히 완성도 높은 캐릭터성을 바탕으로 본작에서 풀어낼 수 있는 서사[* 타이렁은 시푸와의 화해, 셴은 포와의 재대결이나 대화.]가 분명 존재했고 특히 타이렁과 시푸의 재회는 많은 팬들이 기대했으나 작중에선 전혀 나오지 않은 채 퇴장했다. 카이의 경우는 앞서 말했듯 크게 기대나 우려하진 않았으나 역시 보여준 것 하나 없이 퇴장한 것을 좋게 보지는 않는 편이다. 다른 캐릭터들은 예산 문제로 성우를 기용할 수 없었다는 현실적인 사정이 있었더라도 굳이 성우까지 섭외했으면서 가장 중요하고 기대가 큰 스토리를 넣지 않은 타이렁은 빼도박도 못할 제작진의 실책이라는 평. 무적의 5인방 역시 개봉 전의 예상대로 비중이 신 캐릭터 젠에게 완전히 뺏겨 마지막에야 한 번 등장하고 대사도 없는 등 사실상 출연이 없는 수준이다.[* 그나마 이는 이해가 가능한데, '''안젤리나 졸리와 성룡을 어떻게 매번 부르겠는가?'''] 그나마 나은 평가로는 작품의 일부 전투 신이나 OST, 타이렁이 돌아와 갱생해서 포를 용의 전사로 인정하고 화해하는 전개 정도이다. 허나 앞서 말했듯 이마저도 가장 기대했던 시푸와의 만남이 없었고 비중과 서사가 없던 와중에 나온 것이라 아쉽다는 평가를 딱히 반전시키진 못했다. 이에 대해서 유니버설이 드림웍스에 제작비를 적게 줬다보니 제작진 입장에선 이게 나름 최선을 다한게 아닐까 추측도 있다.[* 실제로 드림웍스에서 대량의 직원해고가 일어나기도 했고, 유니버설에서는 일루미네이션의 투자는 빵빵한 편이나 드림웍스에게는 그에 비해 투자도 마케팅도 덜한 결과물이 워낙 많기도 했다. 다만 일루미네이션의 평균적인 제작비가 드림웍스랑 큰 차이는 많이 없는데 이번 대량의 직원해고가 전작들보다 적게 든 제작비의 원인 중 하나로 보인다.][* 다만 그렇다해도 쿵푸팬더3~4 사이에서 TV 시리즈를 내면서 일부 성우들을 교체해서(대표적으로 중요 조역인 타이그리스역은 안젤리나 졸리 대신 카리 월그런으로 담당했다.) 방영했는데 4편 주제가 변화라면 굳이 안젤리나 졸리나 성룡을 쓰지 않고 성우들을 교체하고 스토리를 탄탄하게 하는편이 나았을 것이다. 흥행에 따라 차기작이 결정된다지만 시놉시스는 6편까지 있는것을 감안하면 4편 시점에서 포를 제외한 중요 조역들의 교체 시기였다.(1편에서 2편까지 개봉텀이 3년이고 2편에서 3편까지는 4~5년 3편에서 4편까지는 무려 8년이라는 시간인걸 감안하면 5,6편은 잭 블랙조차 나올수 있는지 불투명 하다.)][* 만약 포의 성우 잭 블랙을 교체한다면 아니 마스터 시푸나 핑 성우를 교체 한다면 시리즈가 끝장 났을 거라고 할 정도로 위기지만 무적의 5인방 성우를 전원 교체해도 무리가 없다. 다만 성우 기용이 힘들어 이들의 역할을 3편 이하의 공기 수준으로 만든것은 [[본말전도]]인셈.] == [[/흥행|흥행]]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쿵푸팬더 4/흥행)] == 기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FtqIt5VX04I)]}}} || [youtube(abz-YvKjLgY)] || || [[유니버설 픽처스]] 영상 || 풀버전 음원 || * 엔딩 곡으로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Baby One More Time(싱글)|Baby One More Time]]을 [[잭 블랙]]이 [[록 음악|록]] 버전으로 부르고 편곡한 곡이 쓰였는데, [[OST는 좋았다|영화의 평가와는 별개로 꽤나 좋은 퀄리티와 중독성으로 해외에서 높은 인기을 끌고 수많은 밈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작년 개봉했던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2023년 영화)|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영화]]의 잭 블랙이 쿠파 역 성우로 부른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2023년 영화)#Peaches|Peaches]]에 이어서 잭 블랙 보컬의 곡이 들어간 두 번째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 시푸는 본작에 조연으로 출연하지만, [[우그웨이 대사부]]는 영화에 출연하지 않는다.[* 우그웨이 대사부를 담당한 각국 성우들의 나이가 많은 편이다. 더 안타까운 건 일본 측 성우인 [[토미타 코세이]]는 영화 개봉 4년 전인 2020년에 사망하여 성우 변경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무적의 5인방]]도 [[https://thedirect.com/article/kung-fu-panda-4-furious-five-missing-why-exclusive|감독과의 인터뷰]]에 나오듯이 본편 스토리에는 개입하지 않으며, [[https://comicbook.com/movies/news/kung-fu-panda-4-furious-five-characters-show-up-credits-tigress-mantis/|엔딩 크레딧에 카메오로 나온다.]] * 1차 트레일러 영상에서 공개된 번역이 [[초월 번역|좋은 평]]을 받았다. 2편부터 중요한 개념으로 나오는 '내면의 평화'를 이용한 말장난으로, 원문에서는 내면의 평화의 원문이 이너 피스(inner peace)인데, 이를 포가 입맛을 다시며 발음이 비슷한 '''디너 플리즈(Dinner please, 저녁밥 주세요)'''로 읽는 장면이다. 이걸 한국판에서는 내면과 비슷한 발음의 [[냉면]]으로 바꿨고, 여기에 이어지는 대사를 "겨자랑 식초 팍팍 쳐줘요"[* 원문은 Dinner with peas in a sesame soy glaze(참깨 간장 소스 뿌린 완두콩을 곁들인 저녁 줘요). peas와 peace가 발음이 비슷함을 이용한 말장난.]로 의역하며 [[확인사살]]했다. 이는 더빙판에서도 동일.[* 이전에는 평정심으로 번역되었다.] * 한국 개봉일은 [[4월 10일]]인데, 이 날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있는 [[공휴일]]이다. 그리고 유일하게 이 시리즈에서 본토인 [[미국]]보다 늦게 개봉하는 영화이다.[* 미국 등 선개봉한 여러 나라에서의 평이 좋다면 공휴일 당일 흥행이 가능할 수 있으나, 반대로 평이 안 좋다면 그만큼 전편들만큼의 수요가 들 수 없기에 여러모로 국내 개봉일을 늦춘 것은 양날의 검이라 할 수 있다.][* 국내 애니메이션 오프닝 순위 1위가 [[슈렉 3]]의 63만 명인데 이는 2007년 기록에다가 같은 드림웍스 작품이고, 국내에서의 시리즈 인기는 슈렉 시리즈보다 쿵푸팬더 시리즈의 인기가 더 높기에 본작의 평가가 전편들처럼 높다면 당일 오프닝 기록을 갈아치울 가능성이 높았지만, 안타깝게도 개봉 당일날 본작이 호불호가 꽤 갈렸고, 예매율도 당일 저녁에 범죄도시4에게 밀리는 수모까지 겪는등 전편들보단 흥행력이 낮을 전망이다.] * 해외 팬들 사이에서는 전작까지만 해도 드림윅스의 오프닝 로고가 2D 애니메이션풍에 캐릭터들이 등장해 패러디하는 전통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기본 오프닝 로고가 등장하여 기대했다가 맥빠졌다는 평이 많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bLUeWUKyBkQ)]}}} || * 1차 예고편에서도 나왔지만 작중 초반에 포가 가오리[* 종은 [[매가오리]]로 추정]와 맞붙는데, 이 가오리는 쿵푸팬더 시리즈에 등장하는 다른 캐릭터들과 달리 말을 하지 않고 으르렁 거리는 것으로 보아 지성이 없는 것처럼 보이고, 돼지 세 마리를 입 안에 넣은 상태로 나온다. 다행히 포가 가오리를 제압하면서 잡아먹힌 줄 알았던 아기 돼지들도 무사히 구출되는데, 개그씬으로 넘어가긴 했지만 온갖 동물들이 지성체로서 하나의 캐릭터로 나오고 [* 당장 이번 작품에서 같은 어류 캐릭터로 피쉬(종은 [[아로와나]])라는 캐릭터가 나온다.] 세계관 설정상으로도 작중 모든 등장인물들이 채식주의자로 묘사되었던 쿵푸팬더 시리즈에서 최초로 동물끼리 잡아먹는다는 사실이 묘사된 장면이다. * 한국 개봉 시점이, 4월 3일 에버랜드 인기 스타였던 자이언트 판다 [[푸바오]]가 중국으로의 반환, 쌍둥이 판다 [[루이바오]] & [[후이바오]]의 대중 공개로 인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695902?sid=103|한국에서의 영화 흥행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있다.]] 실제 개봉 이전에 [[애버랜드]] 유튜브 채널을 통한 홍보도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mLSL5vib_w|#]] * [[쿵푸팬더|1편]]과 [[쿵푸팬더 2|2편]]의 미국 배급사는 [[파라마운트 픽쳐스]], [[쿵푸팬더 3|3편]]은 [[20세기 스튜디오|20세기 폭스]]였지만 이번작은 [[유니버설 픽처스]]로 바뀌었다. 마찬가지로 1편부터 3편까지의 한국 배급사는 [[CJ 엔터테인먼트]]였지만 이번작은 [[UPI 코리아]]로 바뀌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 주간 박스오피스 1위 영화/2024년)] [include(틀:That's The Ticket)] [include(틀:오리지널 티켓)] [[분류:쿵푸팬더 시리즈]][[분류:미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4년 애니메이션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