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중국의 공항]] [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802224><-2><:>'''{{{#white 쿤밍 우자바 국제공항}}}[br] {{{#white Kunming Wujiaba International Airport }}}''' [br] {{{#ffffff 昆明巫家坝国际机场}}} || ||<-2> [[파일:kmg old.jpg|width=100%]] || ||<-2><:>IATA: '''KMG''' / ICAO: '''ZPPP'''|| ||<-2><#802224><:>'''{{{#white 개요}}}'''|| || 국가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중국]] || || 주소 ||[[윈난성]] [[쿤밍시]] [[관두구]][br]云南省昆明市官渡区|| || 폐쇄일 ||2012년 6월 27일 || ||<-2><#802224><:>'''{{{#white 활주로}}}'''|| || 제1활주로 ||'''03L/21R 3400m 콘크리트''' || || 고도 ||1,895m (6,217 ft) || || 좌표 ||북위 24도 59분 32초[br]동경 102도 44분 36초 || ||||<#802224><:>'''{{{#white 지도}}}'''|| ||<-2>[include(틀:지도,장소=昆明巫家坝国际机场,너비=100%,높이=200px)]|| [clearfix] [목차] == 개요 == [[쿤밍 창수이 국제공항]]이 생기기 전 쿤밍의 관문 역할을 했던 국제공항으로 현재는 우자바중앙공원(巫家坝中央公园) 등으로 재개발되어 있다. == 역사 == 청나라 광서 33년 (1907년), 군대를 육성하기 위해 우자바 일대에 포병막사를 새웠으나 1917년 [[호법전쟁]]으로 운남성의 지역군벌 이었던 [[탕지야오]](唐继尧)가 윈난지역을 장악하면서 윈난지역의 항공산업 발전을 위해 1922년도에 그 자리에 조종사를 양성하는 윈난항공학교(云南航空学校)을 설립하고 활주로를 건설한게 모태다. 중화민국 26년(1937년)의 [[루거우차오 사건]]으로 항일전쟁이 발발하면서 일본군에 의해 항저우가 폭격을 당하자 항저우에 있었던 중앙항공군관학교(中央航空军官学校)가 이곳으로 이전을 하고 조종사의 양성과 군사편제가 개편이 되면서 이곳에 남아 있는 학생들은 모두 광시에 위치한 중앙항공학교 류저우분교로 옮겨가서 훈련을 받게 되어 윈난항공학교의 역사는 막을 내렸지만 공항의 기능은 군사적인 필요에 의해 너비 1300m 이상으로 확장되여 1938년 말에 완공된다. 1941년 태평양전쟁이 발발하고 일본군이 동남아전역에 영향을 미치자 1945년도에 총 길이 2,500미터, 평균 폭 1,300미터 규모로 확장하였지만 일본군의 패망으로 1947년도에는 민간공항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1949년 신중국 건국이후인 [[1958년]]과 [[1993년]], [[1999년]]에 3차례 확장공사를 진행하였는데 당시 승객처리량은 중국 전역에서 4위였다고 한다. 2011년 도심에 위치한 공항특성상 제약이 많고 추가적인 확장이 필요한 까닭에 항공당국은 신공항 건설계획을 착수하고 [[2012년]] [[6월 28일]]에 완성한 외곽의 [[쿤밍 창수이 국제공항|신공항]]에 역할을 넘기고 폐쇄시켰다. == 폐쇄 이후 == 현재 공항 부지는 현재 신도시로 재개발되는 중으로 위 사진에서 반원 모양의 건물이 여객청사가 남아 있었으나 바이두지도상의 룽후톈제(龙湖天街) 라는 상업시설과 아파트시설로 재건되어 남아있지 않는 상태다. == 참고 자료 == * [[https://ishare.ifeng.com/c/s/7m1x4bRHaf4| 退出历史舞台的昆明巫家坝国际机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