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98px-Kuji_teruyoshi.jpg|width=100%]]}}} || |||| 쿠지 테루요시 [br] 久慈 照嘉, くじ てるよし / Teruyoshi Kuji || || '''생년월일''' || [[1969년]] [[4월 19일]] ([age(1969-04-19)]세) || ||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출신지''' || [[일본]] [[야마나시현]] [[코후시]] || || '''포지션''' || [[2루수]], [[유격수]] || || '''투타''' || [[우투좌타]] || || '''학력''' || [[도카이대학]] 부속 코후 고등학교 || || '''프로입단''' || 1991년 드래프트 2위 || || '''소속팀''' || [[ENEOS 야구부|일본석유]](1988~1991) [br] [[한신 타이거스]] (1992~1997) [br] [[주니치 드래곤즈]] (1998~2002) [br] [[한신 타이거스]] (2003~2005) || || '''지도자''' || [[한신 타이거스]] 1군 수비, 주루 코치 (2009~2013) [br] 한신 타이거스 1군 내야수비 및 번트코치 (2016~2022)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 [[한신 타이거스]] 선수 및 1군 내야수비, 번트담당 코치. == 프로 생활 전 == 야마나시현 코후시 출신으로 초, 중, 고등학교를 전부 고향인 코후에서 다녔다. 코후 고등학교 시절엔 [[타츠나미 카즈요시]]와 라이벌 관계를 구축하기도 했다. 다만, 고등학교 졸업 후 바로 프로에 데뷔한 타츠나미와는 달리 프로 지명을 받지 못하고 일본 석유 사회인 야구단으로 들어가서 4년간 활약하다가 1991년 드래프트를 통해 [[한신 타이거스]]에 입단하면서 프로에 데뷔했다. == [[한신 타이거스]] 시절 == 당시 극심한 암흑기에 빠져있던[* 이미 [[4466566664]] 이전인 1987년 구단 사상 최악인 '''승률 .331'''로 최하위를 찍으며 암흑기에 돌입했다. 이후 1989년 5위를 기록한 것 외엔 1992년 전까지 줄창 최하위만 찍어대며 66566이란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는데, 1992년의 반짝 2위가 아니었으면 윗 항목의 숫자들을 더 연장시켜 버릴 뻔했다.] [[한신 타이거스]]의 주전 내야수로 급부상, 첫 시즌부터 주전 유격수 자리를 꿰차면서 타격에선 타율 .245, '''0홈런''' 으로 아쉬운 모습을 보였지만[* 그래도 그 해 센트럴리그 최다인 3루타 8개를 기록하며 그럭저럭 봐줄 만한 성적은 냈다.] 신인치고는 준수한 수비력으로 아쉬운 타격을 보완하면서 이해 한신을 리그 2위로 이끈 공로로 그 해 신인왕을 수상했다. 이 신인왕은 '''[[센트럴리그]] 최초의 무홈런 타자 신인왕'''이기도 했다.[* 이후 2009년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외야수 [[마츠모토 테츠야]]가 2번째 무홈런 신인왕 수상자가 되었다. 아쉽게도 마츠모토는 신인왕 시즌 이후엔 이렇다할 활약을 보여주지 못한 채 주전 경쟁에서 밀려나면서 결국 '''통산 0홈런'''으로 선수생활을 끝마쳤다.][* KBO와 [[퍼시픽 리그]]는 아직까지 무홈런 신인왕이 나온 적이 없다. 2012년 [[서건창]]과 2014년 [[박민우]]가 홈런 1개로 신인왕에 선정된 적은 있다.] 당시 [[키스톤 콤비|키스톤]]을 함께 이루던 [[와다 유타카]], 클린업이었던 [[신조 츠요시]][* 쿠지와 마찬가지로 1992년 주전 [[외야수]]로 정착하여 [[규정타석]]엔 미달했지만 '''타율 .278, 11홈런 46타점'''의 준수한 성적을 기록하며 함께 신인왕 경쟁을 벌였으나 아쉽게 수상에 실패했다.], [[히야마 신지로]]와 함께 [[4466566664]]라는 비밀번호를 작성하던 [[한신 타이거스]]의 암울한 시기에 나름의 빛이고 희망이었으나, 1992~1996 다섯 시즌 동안 실책은 [[유격수]]임을 감안해도 적다는 말을 못할 정도였다. 각각 17-13-11-11-18, 수비율은 .966-.975-.982-.972-.987을 기록했다. 여기에 타격에서도 아쉽기 그지 없었는데, 역대 최초 무홈런 신인왕이란 기록에서 보이듯이 통산 홈런이 단 6개에 한 시즌 최다 홈런은 겨우 3개였다.[* 물론 당시만 해도 [[유격수]]의 덕목은 수비여서 타격에서 다소 아쉬운 모습을 보여줬어도 용납이 되던 시기였다. 하지만 2000년대 중반 이후 공수를 두루 갖춘 유격수인 [[토리타니 타카시]], [[사카모토 하야토]]가 대두한 이후부턴 유격수도 이전보단 타격을 조금 더 중시하게 되었다.] == [[주니치 드래곤즈]] 시절 == 1997 시즌 종료 후, 준주전 외야수던 [[세키카와 코이치]]와 함께 [[주니치 드래곤즈]]로 [[트레이드]] 되었다. 주니치에서는 쿠지를 주전 2루수로 쓰려고 했는데, 당시 주전이던 토리고에 유스케[* 현 [[치바 롯데 마린즈]] 2군 감독]가 [[탈세]] 혐의에 걸려 1998 시즌에 뛰지 못하게 되어서 그 대체자로 쿠지를 점찍은 것이었다. 주니치에서는 [[타이호 야스아키]][* 1997 시즌이 [[나고야 돔]] 입주 첫 시즌이었는데 홈런이 1/3토막이 나면서 완벽히 망했다. [[호시노 센이치]] 감독이 팀 체질 개선을 위해 쿠지와 세키카와를 원했던 거고 그 트레이드 대상으로 지목됐다.]와 [[야노 아키히로]][* 1991년 주니치 입단 이래 포수로서는 출전 기회가 적었다.]가 트레이드로 건너왔다. 주니치로 간 그는 [[이종범]]을 외야로 보내고[* 다만, [[이종범/선수 경력]]에 나온 대로, 당시 [[호시노 센이치]] 주니치 감독은 일찌감치 이종범을 주전 유격수가 아니라 외야수로 분류하고 있었고 또 실제로 그렇게 했다. 외야수로 전환한 이종범은 당시 주니치에 있었던 [[이상훈]], [[선동열]]과 함께 주니치의 1999 시즌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주전 유격수 자리를 차지하는 듯 했으나[* 원래는 [[후쿠도메 고스케]]를 유격수로 세우려고 했으나 후쿠도메는 그 이종범보다도 더 유격수에 안 맞아서 결국 이종범과 후쿠도메는 나란히 외야로 가게 되었다. 다만 [[이종범/플레이 스타일]]에 적힌 대로 과연 이종범의 수비가 유격수에 안 맞았느냐에 대해선 말이 많다.], 이마저도 오래는 못 갔고, 2001년 [[이바타 히로카즈]]가 포텐을 터뜨리며 유격수 주전 자리에 앉자[* 이바타는 이 때부터 [[아라키 마사히로]]와 같이 아라이바 콤비를 이뤄 2013년까지 주니치의 [[키스톤 콤비|2-유간]]을 지켰다. 현재까지도 회자되는 역대 최강의 키스톤 콤비다.] 백업으로 밀려나며 출전 기회가 줄어들었다.[* 여담으로 이 해 한정으로 등록명을 '테루'(テル) 딱 두 글자로 줄였던 적이 있다.] == 한신 타이거스 복귀 == 2002시즌 종료 후 주니치에서 전력외 통보를 받았고, 2003년 [[한신 타이거스]]에 재입단해 2005 시즌까지 뛰고 은퇴했다. 통산 성적은 1199경기 811안타 6홈런 타율 .257 / 출루율 .343 / 장타율 .307 / OPS .650. == 지도자 경력 == 2009년부터 13년까지 한신의 내야 수비 및 주루코치를 맡았고, 13시즌 종료 후 잠시 평론가 생활을 하다가, 2016년에 다시 한신에 코칭스탭으로 들어와 2022년까지 1군 내야수비 및 번트 담당 코치로 재직했다가, 2022 시즌 후 사임하였다. [각주] [[분류:일본의 야구 선수]][[분류:한신 타이거스/은퇴, 이적]][[분류:주니치 드래곤즈/은퇴, 이적]][[분류:고후시 출신 인물]][[분류:1969년 출생]][[분류:1992년 데뷔]][[분류:2005년 은퇴]][[분류:내야수]][[분류:우투좌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