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간략(외야수))] ---- ||
'''{{{#ffffff 쿠리야마 타쿠미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미스터 레오)] ---- ||<-2>
[[파일:2008세이부.png|width=90]][br]'''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 '''[[2008년 일본시리즈|{{{#ffffff 2008}}}]]''' || ---- ||<-2>
[[파일:2008아시아시리즈챔피언.png|width=90]][br]'''아시아시리즈''' '''우승반지''' || || '''[[아시아시리즈|{{{#ffffff 2008}}}]]''' || ----- ||<-5>
[[퍼시픽 리그|[[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width=30]]]] '''[[베스트나인#s-2.2.2.7|{{{#ffffff 2008년 퍼시픽 리그 베스트나인 외야수 부문}}}]]''' || || [[이나바 아츠노리]][br]([[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br][[모리모토 히초리]][br]([[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br][[오오무라 나오유키]][br]([[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 || [[이나바 아츠노리]][br]([[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br][[릭 쇼트]][br]([[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br] '''[[쿠리야마 타쿠미]][br]([[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 || [[이나바 아츠노리]][br]([[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br][[이토이 요시오]][br]([[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br][[츠치야 텟페이]][br]([[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 ||<-5>
[[퍼시픽 리그|[[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width=30]]]] '''[[베스트나인#s-2.2.2.7|{{{#ffffff 2010~2011년 퍼시픽 리그 베스트나인 외야수 부문}}}]]''' || || [[이나바 아츠노리]][br]([[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br][[이토이 요시오]][br]([[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br][[츠치야 텟페이]][br]([[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 || [[타무라 히토시]][br]([[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br][[T-오카다]][br]([[오릭스 버팔로즈]])[br] '''[[쿠리야마 타쿠미]][br]([[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 || [[우치카와 세이이치]][br]([[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br][[이토이 요시오]][br]([[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br][[쿠리야마 타쿠미]][br]([[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 [[타무라 히토시]][br]([[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br][[T-오카다]][br]([[오릭스 버팔로즈]])[br] [[쿠리야마 타쿠미]][br]([[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 || [[이토이 요시오]][br]([[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br][[우치카와 세이이치]][br]([[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br] '''[[쿠리야마 타쿠미]][br]([[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 || [[우치카와 세이이치]][br]([[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br][[이토이 요시오]][br]([[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br][[카쿠나카 카츠야]][br]([[치바 롯데 마린즈]]) || ---- ||<-5>
[[퍼시픽 리그|[[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width=30]]]] '''[[베스트나인#s-2.2.2.8|{{{#ffffff 2020년 퍼시픽 리그 베스트나인 지명타자 부문}}}]]''' || || [[알프레도 데스파이네]][br]([[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 || '''쿠리야마 타쿠미[br]([[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 || [[곤도 겐스케]][br]([[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 ||
[[퍼시픽 리그|[[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width=30]]]] [br] '''[[골든글러브(일본프로야구)#s-3.7|{{{#ffffff 2008~2010년 퍼시픽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든 글러브}}}]]''' || ---- ||<-5>
[[퍼시픽 리그|[[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width=30]]]][br] '''[[일본프로야구|{{{#ffffff 2008년 퍼시픽 리그 최다 안타왕}}}]]''' || || [[이나바 아츠노리]][br]([[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 || [[카타오카 야스유키]][br]'''쿠리야마 타쿠미[br]([[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 || [[나카지마 히로유키]][br]([[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 ||<-5> '''{{{#fff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fff 세이부 라이온즈}}}]] 등번호 52번}}}''' || || 이노츠메 요시하루[br](2000~2001) || {{{+1 →}}} || '''쿠리야마 타쿠미[br](2002~2007)''' || {{{+1 →}}} || [[호시 히데카즈]][br](2008~2009) || ---- ||<-5> '''{{{#fff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fff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등번호 1번}}}''' || || [[호세 페르난데스(1974)|페르난데스]][br](2004~2005) || {{{+1 →}}} || '''{{{#000 쿠리야마 타쿠미[br](2008~)}}}''' || {{{+1 →}}} || 현역 || ---- ||<-5> '''{{{#fff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fff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역대 주장}}}''' || || [[나카지마 히로유키]][br](2011) || {{{+1 →}}} || '''{{{#fff 쿠리야마 타쿠미[br](2012~2016)}}}''' || {{{+1 →}}} || [[아사무라 히데토]][br](2017~2018)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리야마타쿠미.jpg|width=100%]]}}} || ||<-2> '''{{{#fff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No.1 }}}''' || ||||<:><#00bfff> '''{{{#000 {{{+2 쿠리야마 타쿠미}}} [br] 栗山巧/Takumi Kuriyama}}}''' || ||<:> '''생년월일''' ||[[1983년]] [[9월 3일]] ([age(1983-09-03)]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출신지''' ||[[효고현]] [[고베시]] [[니시구(고베)|니시구]] || ||<:> '''포지션''' ||[[외야수]], [[지명타자]]|| ||<:> '''투타''' ||[[우투좌타]] || ||<:> '''체격''' ||177cm, 85kg || ||<:> '''프로입단''' ||2001년 드래프트 4순위 || ||<:> '''소속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2002~)''' || ||<:> '''등장곡''' ||クレイジーケンバンド - あ、やるときゃやらなきゃダメなのよ。 || ||<:> '''응원가''' ||[* 勝利に向かって進め今こそ 生み出せチャンスをいざ栗山(승리를 향해 지금이야말로 나아가라. 찬스를 만들어내라 자 쿠리야마)] || ||<:> '''연봉''' ||¥108.000.000 (2024년) || ||<:> '''후원사''' ||[[미즈노(브랜드)|미즈노]][* 미즈노 재팬 후원] || [목차] [clearfix] == 개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쿠리야마2000.jpg|width=100%]]}}} || ||<-2> '''{{{#ffffff {{{+2 ONE ROAD TO 2000}}}}}}'''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소속의 프로야구 선수이자 세이부 토종선수로서 최초로 2000안타를 쳐낸 선수이다. 그리고 현재 세이부에서 얼마없는 원클럽맨 프랜차이즈 스타이기도 하다. ==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선수 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쿠리야마타쿠미.jpg|width=100%]]}}} || || '''{{{#fff 쿠리야마 타쿠미의 선수 경력}}}'''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0> '''통합 선수 경력''' :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2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e9afe 28.64%, #143D69 38.64%)" '''[[파일:NPB 로고.svg|width=40]]'''}}} || ||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s-2.1|{{{#ffffff '''~2004년'''}}}]] ||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s-2.2|{{{#ffffff '''2005년'''}}}]] ||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s-2.3|{{{#ffffff '''2006년'''}}}]] ||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s-2.4|{{{#ffffff '''2007년'''}}}]] || ||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s-2.5|{{{#ffffff '''2008년'''}}}]] ||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s-2.6|{{{#ffffff '''2009년'''}}}]] ||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s-2.7|{{{#ffffff '''2010년'''}}}]] ||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s-2.8|{{{#ffffff '''2011년'''}}}]] || ||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s-2.9|{{{#ffffff '''2012년'''}}}]] ||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s-2.10|{{{#ffffff '''2013년'''}}}]] ||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s-2.11|{{{#ffffff '''2014년'''}}}]] ||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s-2.12|{{{#ffffff '''2015년'''}}}]] || ||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s-2.13|{{{#ffffff '''2016년'''}}}]] ||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s-2.14|{{{#ffffff '''2017년'''}}}]] ||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s-2.15|{{{#ffffff '''2018년'''}}}]] ||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s-2.16|{{{#ffffff '''2019년'''}}}]] || ||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s-2.17|{{{#ffffff '''2020년'''}}}]] ||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s-2.18|{{{#ffffff '''2021년'''}}}]] ||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s-2.19|{{{#ffffff '''2022년'''}}}]] ||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s-2.20|{{{#ffffff '''2023년'''}}}]] || }}}}}}}}} || == 플레이 스타일 == === 타격 === 손끝까지 공을 불러들여 배트를 뿌리치는 타격을 자랑하며, 선구안, 출루능력, 투수로 하여금 [[이용규|상대 투수의 공을 소비하게 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또한 끈끈하고, 광각으로 쳐내는 타격기술을 가지고 있다.또 공을 당겨치는 타입이기 때문에 삼진이 적어 어떤 볼에도 대응할 수 있다는 등 타격 능력쪽에서는 좋은편이다. === 수비,주루 === 1군 정착 초기에는 좌익수나 지명타자로 기용되어 타격에 비해 수비 주루면이 과제로 여겨졌지만, 2009년 도중부터 "언젠가는 지키고 싶다"고 같은 해 개막 전에 말했듯이 중견수로 정착.그해에 레인지 팩터와 척살로 리그 톱의 수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다음 2010년은 리그 3위의 수비율.994를 기록해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지만, 수비 이닝 500이상의 선수 중에서는 worst 4위의 UZR-5.2로 숫자를 떨어뜨렸다.2011년 도중부터는 부상의 영향도 있었기 때문에 다시 좌익수로 기용되어 2012년에는 수비 이닝 500이상의 좌익수로 양리그 2위 UZR 13.9를 기록했다. 그러나 2017년 이후 지명타자로서의 출전이 많아져 수비에 나설 기회는 감소하고 있다. 주루면에서는 1루 도달까지 3.90초 만에 달릴수 있을정도로 꽤나 준수한 주력을 가지고있다. == 여담 == * [[나카무라 타케야]]와는 입단 동기로, 수많은 선수들이 팀을 탈출하는 와중에 [[나카무라 타케야]]와 팀 선배이자 세이부 2군 감독인 [[니시구치 후미야]]와 함께 꿋꿋이 제 자리를 지켜주며, 세이부의 프랜차이즈 스타로 남아있다. 덕분에 팬들의 충성도가 대단하며, 본인 스스로도 매우 겸손하고 진중한 성격에 성실하게 훈련을 하는 지라 뭇 후배들의 귀감으로 자리잡고 있다. * 어렸을때 [[오릭스 블루웨이브]] 팬이었다. 심지어 어렸을때 오릭스 팬클럽에 가입해서 [[스즈키 이치로]]의 싸인볼을 가질정도로 오릭스 팬이라고 밝혔다. * 악력이 87이나 된다. 심지어 자기보다 덩치가 더큰 동료 [[야마카와 호타카]]보다도 더 쎄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NPB)]] [각주] [[분류:일본의 야구 선수]][[분류:1983년 출생]][[분류:2002년 데뷔]][[분류:외야수]][[분류:우투좌타]][[분류:니시구(고베) 출신 인물]][[분류: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현역]][[분류:명구회 멤버]]